편집
659
번
(활동시기 수정) |
(이름 스웨덴 식으로 변경) |
||
|레이블 = [[워너 브라더스]], [[프랙쳐드 트랜스미터]]
|웹사이트 = [http://www.meshuggah.net 메슈가 공식 홈페이지]
|구성원=[[옌스
'''메슈가'''(Meshuggah)/<span style="border-bottom:1px dotted"><span title="'m' in 'my'">m</span><span title="/ə/: 'a' in 'about'">ə</span><span title="/ˈ/: primary stress follows">ˈ</span><span title="/ʃ/: 'sh' in 'shy'">ʃ</span><span title="/ʊ/: 'oo' in 'foot'">ʊ</span><span title="/ɡ/: 'g' in 'guy'">ɡ</span><span title="/ə/: 'a' in 'about'">ə</span></span>/<ref>{{웹 인용|url=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meshuggah|제목=Meshuggah|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Merriam-Webster|언어=en|확인날짜=2010-8-9}}</ref>는 [[스웨덴]] [[우메오]]에서 [[1987년]] 결성된 메탈 밴드이다. 메슈가는 창립 구성원인 [[보컬]] [[옌스
메슈가는 1995년에 빠른 템포의 [[데스 메탈]], [[스래시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 [[재즈 퓨전]]의 요소의 결정체인 ''[[Destroy Erase Improve]]''를 통해 처음으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2002년 음반 ''[[Nothing]]''이후,메슈가는 [[7현 기타]]에서 [[다운튜닝]]한 [[8현 기타]]로 사운드의 교체를 꾀했다. 메슈가는 그들의 혁신적이고 복잡한 [[폴리미터]]의 곡 구성과 [[폴리리듬]]으로 잘 알려져있다. 메슈가는 [[롤링 스톤]]에서 '가장 중요한 10개의 [[하드 록]]/[[헤비 메탈]] 밴드'에서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얼터너티브 프레스]](Alternative Press)에서 '가장 중요한 [[헤비 메탈|메탈]] 밴드'로 선정되었다. 메슈가는 대중적인 성공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익스트림 뮤직]]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해냈으며 현대의 메탈 밴드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2000년대 후반, 메슈가는 [[프로그레시브 메탈]]의 하위 장르인 [[젠트]]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 결성, 그리고 ''Contradictions Collapse'' (1987-1994) ===
[[파일:Jens Kidman Meshuggah Live at Getaway Rock Festival 2012.jpg|왼쪽|섬네일|2012년 Getaway Rock Festival에서의 [[옌스
1985년, 기타리스트 프레드리크 토르덴달은 스웨덴에 있는 인구 약 105,000명의 [[대학가]]인 [[우메오]]<ref name=":4">{{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rtist/p169489|제목=Meshuggah Biography|성=Jason Ankeny and Bradley Torreano|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08-05-11}}</ref>에서 밴드를 결성했다.<ref name=":7">{{웹 인용|url=http://decibelmagazine.com/features/jun2005/meshuggah.aspx|제목=Cover History: Meshuggah|성=Smith|이름=Rod|날짜=2005-6|웹사이트=Decibel Magazine|출판사=|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51129013121/http://decibelmagazine.com/features/jun2005/meshuggah.aspx|보존날짜=2005-11-29|확인날짜=2008-12-01}}</ref> 이 당시 밴드의 이름은 메탈리엔(Mettalien)이었고 몇 개의 데모 테이프들을 녹음한 뒤 해체했다. 하지만 토르덴달은 새 밴드 구성원들과 함께 밴드의 이름을 계속 바꿔가면서 활동을 이어나갔다.<ref name=":4" />
1987년,<ref name=":8">{{웹 인용|url=http://www.meshuggah.net/bio/|제목=A short biography|성=Espn|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meshuggah.net|보존url=https://www.webcitation.org/query?url=http%3A%2F%2Fwww.meshuggah.net%2Fbio%2F&date=2008-11-16|보존날짜=2008-11-16|깨진링크=yes|확인날짜=2007-05-16}}</ref><ref name=":11">Jon Wiederhorn. [http://www.revolvermag.com/magazine/article/meshuggah/ "Meshuggah"]. ''Revolver''. Retrieved 2008-09-02.{{깨진 링크|date=April 2012|bot=H3llBot}}</ref> 보컬이자 기타리스트인 옌스
1989년 2월 3일, 메슈가는 3곡을 수록한, 셀프 타이틀 [[EP]] 음반 [[Meshuggah|''Meshuggah'']]를 발매했는데 이 음반은 ''Psykisk Testbild''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ref name=":20">{{웹 인용|url=http://www.rockdetector.com/artist/sweden/umea/meshuggah|제목=Meshuggah Rockdetector Biography|성=Garry Sharpe-Young|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Rockdetector|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18195401/http://www.rockdetector.com/artist/sweden/umea/meshuggah|보존날짜=2008-12-18|깨진링크=yes|확인날짜=2008-07-27}}</ref><ref name=":21">{{웹 인용|url=http://www.meshuggah.net/disco/psyk/|제목=Meshuggah - 1989|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meshuggah.ne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421151300/http://www.meshuggah.net/disco/psyk/|보존날짜=2008-4-21|확인날짜=2008-05-11}}</ref>(Psykisk Testbild는 '심리학 테스트용 사진'으로 번역된다.)<ref name=":8" /> 이 12인치 EP 레코드는 오직 약 1,000장만 발매되었고 지역 레코드 샵 개러지랜드에서만 판매되었다.<ref name=":20" /><ref name=":21" /> 이 EP의 뒷 커버는 얼굴에 치즈 더미들이 묻어있는 구성원들의 모습으로 되어 있다.<ref name=":21" />
1990년에 드러머를 니클라스 룬드그렌에서
그 시기에 목수로 일하고 있던 토르덴달은 그의 왼쪽 중지 끝이 사고로 절단되고 하케는 라우터 사고로 손에 부상을 입는다.<ref name=":4" /><ref name=":6" /> 그래서 밴드는 몇 달동안 활동을 중지하게 된다. 토르덴달의 손가락 끝은 나중에 재봉합 수술을 받게 되었고 이후 완치되었다.<ref name=":8" /> EP 음반 ''[[Selfcaged]]''는 1994년 4월과 5월에 녹음되었으나 이 사고들로 인하여 음반 발매는 1995년으로 미뤄졌다.<ref name=":4" /><ref name=":8" />
=== ''Destroy Erase Improve'' (1995–1997) ===
[[파일:Fredrik Thordendal 2012.jpg|섬네일|2012년 라이브에서의 [[프레드리크 토르덴달]]]]
1995년 1월, 메슈가는 그들의 레이블인 뉴클리어 블래스트가 주관한 짧은 유럽 투어에 참여하게 된다. 이후, 밴드는 프로듀서 다니엘 버그스트랜드(Daniel Bergstrand)<ref name=":20" />와 함께 [[웁살라]]에 있는 사운드프론트 스튜디오에서 ''[[Destroy Erase Improve]]''<ref name=":8" />를 녹음한다. 얼마 뒤, 밴드는 2달동안 [[머신헤드]]의 서포트 밴드로 유럽 투어에 참여한다.<ref name=":8" /> 투어 기간 동안 노르딘의 몸 상태가 악화되어 그의 내이 균형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이는 만성적인 어지럼증과 불면증으로 이어져서 노르딘은 투어를 그만둬야 했고 스웨덴으로 떠나게 되었다. 머신헤드의 베이시스트 [[아담 듀스]](Adam Duce)가 그를 대신하여 무대에 서겠다고 했으나 메슈가는 이를 거절하고 4인으로 계속해서 투어를 진행한다. 밴드는 기타 2대 체제로 공연했으나 때때로 토르덴달이 베이스를 연주하기도 했다. 이 라인업에서
''Destroy Erase Improve''는 1995년 5월에 발매되었고 비평가들로부터 "공격적인 템포와 추상적인 접근"이란 호평을 받았다.<ref name=":4" /><ref name=":0">{{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lbum/r228054|제목=Destroy Erase Improve review|성=John Serba|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08-06-10}}</ref>
1998년 중반, 메슈가는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에서 스웨덴 밴드 [[클로핑거]](Clawfinger)와 함께 짧은 투어를 진행했다. 노르딘은 병세 악화로 밴드를 탈퇴했고 투어 기간 동안 베이시스트 자리는 구스타프 히엘름이 메우게 되었다.<ref name=":20" /><ref name=":1">{{웹 인용|url=http://www.roadrunnerrecords.com/blabbermouth.net/news.aspx?mode=Article&newsitemID=101386|제목=Meshuggah Guitarist: 'We're Always Experimental In One Way Or Another' - July 22, 2008|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Blabbermouth.ne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6000420/http://www.roadrunnerrecords.com/blabbermouth.net/news.aspx?mode=Article&newsitemID=101386|보존날짜=2008-12-26|확인날짜=2008-07-25}}</ref> 1995년 말, 메슈가는 [[히포크리시]](Hypocrisy)와 한 달 동안의 투어를 진행했다.<ref name=":20" />
=== ''Chaosphere'' 그리고 ''Nothing'' (1998-2002) ===
[[파일:Meshuggah - Mårten Hagström 2 - 2008 Melbourne.jpg|섬네일|2008년 [[멜버른]] 공연에서의 [[모르텐
히엘른은 2년 이상 세션 구성원로 있다가 1998년 1월에 정식 구성원로 승격되어 밴드에 가입하였다. 뉴클리어 블래스트는 EP 음반 "None"의 수록곡을 더해서 ''Contradictions Collapse''음반을 재발매했다. 1998년 5월, 다음 음반의 제목인 ''[[Chaosphere]]''가 알려지게 되었고 녹음 작업이 시작되었다. 음반의 녹음 바로 다음에 메슈가는 짧은 미국 투어를 다녔고 음반은 1998년 11월에 발매되었다. 얼마 뒤에는 [[인툼드]](Entombed)와 함께 스칸디나비아로 투어를 다녔다.<ref name=":6" />
=== ''I'' 그리고 ''Catch Thirtythree'' (2003-2006) ===
[[파일:Meshuggah - Dick Lövgren - 2008 Melbourne.jpg|섬네일|2008년 [[멜버른]] 공연에서의 [[
2003년,
2004년 2월, 베이시스트
2005년 10월, 발매사 워너/체펠 뮤직 스칸디나비아와 첫 계약을 한지 10년이 지난 뒤, 메슈가는 회사와의 계약기간을 연장했다.<ref name=":13" /> 2005년 11월, 한 인터뷰에서 하케는 밴드가 ''Chaosphere''와 ''Nothing''의 프로덕션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투어를 다니느라 그 음반에 집중할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www.roadrunnerrecords.com/blabbermouth.net/news.aspx?mode=Article&newsitemID=44526|제목=Meshuggah Drummer Talks About Upcoming Studio Album, Possible DVD - Nov. 20, 2005|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Blabbermouth.net|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6000817/http://www.roadrunnerrecords.com/blabbermouth.net/news.aspx?mode=Article&newsitemID=44526|보존날짜=2008-12-26|확인날짜=2008-06-08}}</ref><ref name=":14">{{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lbum/r858485|제목=Nothing CD/DVD review|성=Thom|이름=Jurek|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18-03-26}}</ref>
=== 장르와 특징 ===
[[파일:Tomas Haake 2005.jpg|섬네일|2005년 공연 중인 [[
메슈가는 그들의 커리어를 걸어오면서 다양한 하위 장르에 대한 실험과 특색적인 변주와 변화들을 시도해왔다. 그들의 음악적 커리어는 일반적으로 헤비메탈의 하위 장르인 [[익스페리멘탈 메탈]]과 [[아방가르드 메탈]]로 정의될 수 있다. [[그루브 메탈]]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메슈가의 음악적 뿌리는 [[스래시 메탈]]이나 [[데스 메탈]] (또는 테크니컬 데스 메탈) 같은 [[익스트림 메탈]]이다. 또한 그들의 음악은 [[매스 록|매스 메탈]]이나 [[프로그레시브 메탈]]이라고도 불린다. 메슈가는 익스페리멘탈 재즈의 요소를 차용하기도 한다.<ref name=":4" /> [[Nothing|''Nothing'']]에 대한 리뷰에서, [[올뮤직]]은 메슈가를, "우주 미적분 메탈의 대가-또는 아인슈타인 메탈"이라고 묘사했다.<ref name=":3" /> 메슈가의 초기 작품은 [[얼터너티브 메탈]]이라고도 여겨진다.<ref>{{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lbum/mw0000239585|제목=Contradictions Collapse/None - Meshuggah|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18-03-26}}</ref> 메슈가는 청자에게 그들의 음악과 독특한 스타일<ref>{{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lbum/r742522|제목=Catch Thirty-Three - Meshuggah|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18-03-26}}</ref>에 대한 확실한 각인을 시킨다.<ref>{{웹 인용|url=http://www.exclaim.ca/articles/multiarticlesub.aspx?csid2=4&fid1=3907&csid1=70|제목=Meshuggah's One-Track Mind|성=Mikkelson|이름=Jill|날짜=|웹사이트=|출판사=''Exclaim!''|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0114927/http://www.exclaim.ca/articles/multiarticlesub.aspx?csid2=4&fid1=3907&csid1=70|보존날짜=2008-12-20|확인날짜=2008-07-05}}</ref>
메슈가의 음악과 작곡은 주로 [[폴리리듬]], [[박자|폴리미터]] 리프의 순환, 리드미컬한 [[싱코페이션]], 빠른 음정과 박자 변화, 네오-재즈적인 색채가 사용된다.
메슈가가 자주 사용하는 폴리미터의 예로는 드럼이 4/4박으로 연주하는 동안에 기타은 5/16박이나 17/16박같은 홀수 박자를 연주하는 것이 대표적이다.<ref name=":2" /> 하케가 폴리미터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하이햇과 라이드 심벌을 4/4박으로 연주함과 동시에 [[스네어 드럼]]과 [[베이스 드럼]]을 23/16박으로 연주하는 것이 있다.<ref name=":20" /><ref name=":10" /> 음반 ''Nothing''의 곡 "Rational Gaze"를 살펴봤을 때, 하케는 4/4박에서 16마디 동안 스네어를 3번째 박자마다 두드린다. 그 동안에 기타와 베이스는 같은 4분음표를 연주하지만 서로 다른 박자에서 연주한다. 그러면서도 64번째 박자에서 서로 다시 만나게 된다.<ref name=":9" />
=== 초기, ''Destroy Erase Improve''와 ''Chaosphere'' ===
획기적인 음반 ''Destroy Erase Improve''를 통해 메슈가는 [[데스 메탈]], [[스래시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의 융합을 일구어냈다.<ref name=":20" /><ref name=":0" /><ref>{{웹 인용|url=http://www.popmatters.com/music/reviews/m/meshuggah-catch.shtml|제목=Meshuggah Catch Thirtythree|성=Begrand|이름=Adrien|날짜=|웹사이트=|출판사=[[팝매터스]]|확인날짜=2008-06-10}}</ref> 올뮤직은 이 음반의 스타일을 "뛰어난 실력의 직선적인 [[스타카토]] 기타 리프와 칼을 간 듯이 정확한 드러밍과 기세있게 나아가는 하드코어 스타일의 샤우팅-이 세 가지는 계속해서 서로 다른 박자에서 논다."<ref name=":0" /> 토르덴달은 그의 리드 기타<ref name=":0" />로 멜로딕한 요소를 덧붙이며 오프닝 트랙 "Future Breed Machine"에서 쓰이기로 유명한 "[[보코더|호흡 조절기(breath controller)]]를 활용한다.<ref name=":10" /><ref>{{뉴스 인용|url=http://www.theskinny.co.uk/article/43732-meshuggah-the-garage-8-sep|제목=Meshuggah at The Garage Preview - The Skinny|언어=en|확인날짜=2018-03-26}}</ref>
''Chaosphere''는 빠르되<ref name=":10" />, 변박적인 데스 메탈을 차용한다. 올뮤직은 이 장르를 [[그라인드코어]]의 아버지격인 [[네이팜 데스]]와 비교하기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lbum/r382654|제목=Chaosphere - Meshuggah|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18-03-26}}</ref><ref>{{웹 인용|url=https://www.allmusic.com/artist/p4990|제목=Napalm Death Biography|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올뮤직|확인날짜=2018-03-26}}</ref> 록디텍터는 "팬들은 미로같이 구불구불한 길을 헤메는 동안, 비평가들은 하케의 4/4박과 23/16박의 이례적인 동시 사용,
=== Nothing, I 그리고 Catch Thirtythree ===
=== 현재 구성원 ===
* [[옌스
* [[프레드리크 토르덴달]](Fredrik Thordendal) – [[리드 기타]], [[백 보컬]] <small>(1987–현재)</small>, [[신시사이저]] <small>(1992-2001)</small>, [[베이스 기타]] <small>(2001–2004)</small>
* [[
* [[모르텐
* [[
{{col-2}}
=== 전 구성원 ===
* 니클라스 룬드그렌(Nicklas Lungren) – 드럼 <small>(1987–1989)</small>
*
* 구스타프 히엘름(Gustaf Hielm) – 베이스 기타 <small>(1995–2001)</small>
{{col-end}}
=== 투어 ===
* [[
== 수상 목록과 노미네이션 ==
=== 영상 자료 ===
* [https://www.youtube.com/watch?v=mH4T3Zq1eQQ 메슈가 - 더 무비], 비하인드 컷신 - 메슈가의 삶, 공식 메슈가 유튜브 채널
*
{{메슈가}}{{전거 통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