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리스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35번째 줄:
}}
 
'''멜리스산'''(<small>[[영어]]</small>: {{llang|en|melissic acid}}) 또는 '''트라이아콘탄산'''(<small>[[영어]]</small>: {{llang|en|triacontanoic acid}})은 [[화학식]]이 CH<sub>3</sub>(CH<sub>2</sub>)<sub>28</sub>COOH 인 30개의 [[탄소]]로 구성된 긴 사슬의 [[포화 지방산]]이다.
 
== 어원 ==
멜리스산은 벌을 유혹하는 꽃의 꿀에 풍부하기 때문에 벌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melissa"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 합성 ==
''n''-트라이아콘탄산은 블레이버그(Bleyberg), 울리치(Ulrich), G.M. 로빈슨(G.M. Robinson)에 의해 합성되었다.<ref name='Chibnall'>{{저널 인용| title = The isolation of n-triacontanol from lucerne wax | journal = Biochemical Journal | year = 1933 | first = Albert Charles | last = Chibnall |author2=Ernest Frank Williams |author3=Alfred Louis Latner |author4=Stephen Harvey Piper | volume = 27 | issue = 6 | pages = 1885–1888| pmid = 16745314 | pmc = 1253114}}</ref>
 
== 자기 조립 ==
트라이아콘탄산과 트라이아콘탄아마이드(triacontanamide, CH<sub>3</sub>(CH2)<sub>28</sub>-CONHI)는 자기 조립 될 수 있다.<ref name='Weinbach 1993'>{{저널 인용| title = Self-assembled Langmuir monolayers and trilayers at the air-formamide interface | journal =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 date = May 1993 | first = Susan P. | last = Weinbach |author2=Kristian Kjaer |author3=Jens Als-Nielsen |author4=Meir Lahav |author5=Leslie Leiserowitz | volume = 97 | issue = 20 | pages = 5200–5203| doi = 10.1021/j100122a003}}</ref>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http://www.lipidmaps.org/data/LMSDRecord.php?LMID=LMFA01010030 Melissic acid] at the ''Nature Lipidomics Gate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