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무장 지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ByoungHyun Chun(토론)의 편집을 5warm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46번째 줄:
 
비무장 지대 내의 민간인 거주 마을로는 남측의 [[자유의 마을|대성동]], 북측의 [[기정동]]이 있다.
 
== 형성 및 변천 과정 ==
1951년 7월 10일 휴전회담이 시작되고, 그 해 7월 26일 협상 의제와 토의순서가 확정됨에 따라 7월 27일부터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의 설정문제에 대한 토의가 시작되었다. 유엔군측은 현재의 접촉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하자고 주장한 데 대하여 공산군측은 38도선을 군사분계선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0월 22일 공산군측의 요청으로 판문점에서 휴전회담이 재개되었다. 공산군측은 옹진반도에서 철수하는 대가로 유엔군에게 현재의 전선에서 최대 40㎞ 철수할 것을 요구하면서 문산 북방 16㎞ 부근의 지능동을 기점으로 하는 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하자고 주장하였다. 그 뒤 수차에 걸친 논의 끝에 공산군측이 유엔군측의 제안을 받아들여 군사분계선을 쌍방 군대의 현재 접촉선으로 하고, 남북으로 각각 2㎞씩 4㎞ 폭의 비무장지대를 설정하는 데 합의함으로써 11월 27일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설정협정이 조인되었다.
 
그러나 합의한 지 30일이 되는 그 해 12월 27일까지 휴전이 성립되지 않아 이 협정은 무의미하게 되었다. 그 후 휴전회담은 난항을 거듭하다가 1953년 6월 8일 포로 교환문제를 마지막으로 휴전회담 의제가 모두 타결됨에 따라 1953년 7월 22일 군사분계선이 다시 확정되고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ref>{{웹 인용|url=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8134&cid=46628&categoryId=46628|제목=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비무장 지대[非武裝地帶], 한국학중앙연구원|성=한국민족문화대백과|이름=|날짜=|웹사이트=비무장 지대[非武裝地帶]|출판사=|확인날짜=}}</ref>
 
== 자연 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