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N 1451: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5번째 줄:
}}
 
'''DIN 1451'''은 교통이나, 행정, 기술 [[응용프로그램]]에 널리 쓰이는 [[산세리프체]] [[글꼴]](typeface)이다.<ref name="FF DIN, the history of a contemporary typeface">{{서적 인용|last1=Pool|first1=Albert-Jan|authorlink1=Albert-Jan Pool|editor1-last=Spiekermann|editor1-first=Erik|editor2-last=Middendorp|editor2-first=Jan|editor1-link=Erik Spiekermann|title=Made with FontFont: type for independent minds|date=2007|publisher=Mark Batty Publisher|location=New York|isbn=0977985040|pages=66–73|edition=1st|chapter=FF DIN, the history of a contemporary typeface}}</ref>
 
특히 이 글꼴은 [[독일]]과 여러 다른 나라의 도로 표지판에 사용되고 있다. 지금은 주로 중간 정도인 미텔쉬리프트({{llang|de|Mittelschrift}}, {{llang|en|medium}})와 폭이 좁은 엥쉬리프트({{llang|de|Engschrift}}, {{llang|en|condensed}}) 버전이 쓰이고 있다. 폭이 넓은 브라이츠쉬리프트({{llang|de|Breitschrift}}, {{llang|en|extended}}, ) 버전은 1980년대 초 이후로는 더 이상은 쓰이지 않되, 독일의 오래된 도로 표지판 중에 일부 남아 있다.
12번째 줄:
 
== 역사 ==
1905년 왕립 [[프로이센]] [[철도청]]({{llang|de|Königlich Preußische Eisenbahn-Verwaltung}})은 모든 [[철도 차량]]에 사용할 도안을 "의장 디자인 IV-44"({{llang|de|Musterzeichnung IV 44.}})로 표준화했는데, 여기에 수작업으로 그리던 DIN 1451 엥쉬리프트의 기원이 있다. 빠르고 쉽게 재생산할 수 있도록 이 글꼴의 모든 도안은 애초부터 격자에 기반했고, 콤파스와 자를 이용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했다.
 
1915년 당시의 [[프로이센 국영 철도]]({{llang|de|Preußische Staatseisenbahnen}})는 모든 철도역과 승강장에는 글자를 표기할 때는 1905년의 표준을 따라야 한다고 결정했다.
 
1920년 모든 독일 철도 회사들이 [[독일 국영 철도]]로 합병되면서, 이것이 사실상의 국가 표준이 되었다. 그 후 [[독일 표준화 위원회]]의 글꼴 분과 위원회는 이 표준을 DIN 1451로 삼았다. 그 표준에는 DIN 엥쉬리프트만이 아니라 DIN 미텔쉬르프트도 포함되어 있었다. DIN 브라이트쉬리프트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거의 쓰이지는 않았다. 이 글꼴 분과 위원회를 이끈 사람은 [[지멘스]]의 기술자인 [[루트비히 골러]](Ludwig Goller,1884–1964)였다. [[루트비히 골러]]는 1920년과 1945년 사이에 [[베를린]]에서 [[지멘스-할스케|지멘스]](Siemens-Halske) 사의 중앙표준화실(the central standardization office)을 이끌었다.
 
[[File파일:Autobahn A9 Autobahndreieck Bayerisches Vogtland 1700 m from south.jpg|thumb|right|DIN 1451 미텔쉬리프트(왼쪽)와 엥쉬리프트(오른쪽) 글꼴을 모두 사용한 독일 도로 표지판]]
1931년 독일 산업 표준({{llang|de|Deutsche Industrienorm}}, 줄여서 DIN, {{llang|en|German Industry Standard}})을 제정하던 당시의 [[독일 표준화 위원회]]({{llang|de|Deutscher Normenausschus}}, 줄여서 DNA)는 DIN 1451-글꼴({{llang|de|Schriften}})이란 표준서식(standard sheet)에서 이 글꼴을 정의했다.<ref name="FF DIN: Digital Block Letters">{{웹 인용|last1=Pool|first1=Albert-Jan|authorlink1=Albert-Jan Pool|title=FF DIN: Digital Block Letters|url=https://www.fontfont.com/staticcontent/downloads/FF_DIN_Round_Digital_Block_Letters.pdf?1308319796|website=FontShop|accessdate=14 December 2016}}</ref> 그 전에는 이와 유사한 표준들은 [[스텐실]] 글자로 존재했다.<ref name="Hardwig Maier">{{웹 인용|last1=Hardwig|first1=Florian|last2=Maier|first2=Thomas|title=From Lettering Guides to CNC Plotters — A Brief History of Technical Lettering Tools|url=https://www.typotheque.com/articles/from_lettering_guides_to_cnc_plotters|website=Typotheque|accessdate=19 July 2017}}</ref>
 
1936년 조금 수정한 DIN 1451이 공식적으로 배포되었다.
 
1938년에는 독일의 새로운 [[아우토반]]에는 DIN 1451을 사용하도록 했는데, 그 결과 지금까지도 독일의 공공 표기에 DIN 1451이 압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