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16.36.134.252(토론)의 21150584판 편집을 되돌림
4번째 줄:
[[파일:당의.jpg|섬네일|당의]]
[[파일:Korea Spring of Insadong 08.jpg|thumb|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韓服, {{문화어|조선옷}})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다. 역사적으로 한민족은 고유한 의복을 입었으며 위정자와 귀족은 외국 문물의 영향을 받은 복식을 도입해 입으면서 유행을 만들어 내고 격식에 따라 다른 옷을 입기도 하였다.<ref>McCallion, Aleasha; Condra, Jill.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Clothing Through World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221 - 228쪽. ISBN 0-313-33664-4</ref> 색이 들어간 천은 관복으로서 각 시대의 위정자가 내린 복식금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기도 하였으나<ref name="김경수"/> 조선대다수의 평민들은 흰색 옷을 즐겨 입었으며 한복의 기본 구성인 치마와 저고리, 바지 등은 변치 않고 오랜 세월 동안 기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ref>김성혁, 《레스토랑 서비스》, 백산출판사, 2000년, 84쪽</ref>
중기 이후 대다수의 평민들은 흰색 옷을 즐겨 입었으며 한복의 기본 구성인 치마와 저고리, 바지 등은 변치 않고 오랜 세월 동안 기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ref>김성혁, 《레스토랑 서비스》, 백산출판사, 2000년, 84쪽</ref>
 
한복은 전통 복식으로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기본적으로 활동성을 중시하며 딱 붙는 옷이 아니다. 또한 천 자체를 보면 직선형이지만 몸에 입을 경우 곡선이 살아나게 도와주는 미적 특징도 나타나는데<ref name="정형"/><ref name="매너학">채용식,《매너학》, 학문사, 2004년. 19쪽</ref> 이는 주머니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기모노]]나 [[한푸]] 등 이웃 국가들의 복식과 달리 한복은 저고리와 치마, 즉 상·하의가 분리<ref name="정형">정형,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다락원, 2009년. 145쪽</ref> 되어 있어 형태상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