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Mauntin (토론 | 기여)
내용추가
1번째 줄:
{{스탈린주의}}
[[파일:Dprk pyongyang chuche monument 05.jpg|thumb|[[평양]] [[주체사상탑]]]]
'''주체사상'''(主體思想)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이념<ref>[[s:%EC%A1%B0%EC%84%A0%EB%AF%BC%EC%A3%BC%EC%A3%BC%EC%9D%98%EC%9D%B8%EB%AF%BC%EA%B3%B5%ED%99%94%EA%B5%AD_%EC%82%AC%ED%9A%8C%EC%A3%BC%EC%9D%98_%ED%97%8C%EB%B2%95#.EC.84.9C.EB.AC.B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서문</ref>으로,. '''김일성주의'''(金日成主義)라고도 하는데,한다. 엄밀히 말해 주체사상 자체가따지면 김일성주의는 아니며, "주체사상을 핵심으로 하는 사상·이론·방법의 전일적 체계"를 김일성주의라고뜻해 한다.주체사상보다 상위의 개념이지만,<ref>http://www.kplibrary.com/nkterm/read.aspx?num=289</ref> 일부북한에서는 이 둘을 구분하지 않는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 김일성주의와 동일시되는 주체사상을 "넓은 의미의 주체사상", 그보다 협소하고 이론적인 부분의 주체사상을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이라고 한다. 경우에 학자들은따라 [[종교]]로 분류하기도분류되기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주체사상이 타도제국주의동맹(打倒帝國主義同盟)의 회의에서 처음 주창되었고 [[김일성]]이 [[1930년]] [[지린 성|지린성]] [[창춘 시|창춘]] 카륜회의에서 발표한 〈[[조선혁명의 진로]]〉라는 연설문에서 주체적 입장이 천명되었다고 보며, 실제로 주체라는 단어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55년]] [[12월 28일]]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가 발표된 다음부터이다. 김일성은 본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정통해 있었으나 [[조선혁명]]을 겪으며 이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실에 맞게 수정 적용, 토착화한 것이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적 배경이라고 설명한다.
7번째 줄:
[[1982년]]에는 [[김정일]]의 이름으로 〈주체사상에 대하여〉가 발표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논문에서 주체사상의 핵심이 완성된 것으로 본다.<ref>http://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8330.html</ref> 뒤이어 [[1985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총 10권인 《위대한 주체사상 총서》를 발간한다. 주체사상이 띄고 있는 강한 민족주의적 성향은 과거 일본의 식민지시대 경험과 무관치 않다.<ref>{{서적 인용|제목=북한의 경제|날짜=2006-11-25|출판사=경인문화사|쪽=12-13}}</ref>
 
== 주체사상의 기본원리내용 ==
북한은 김일성주의에 대해 "김일성 동지의 사상, 리론, 방법을 주체사상이라고 말한다"고 규정한다. 그런데 이 때의 사상은 주체사상을 의미하며, 학계에서는 전자의 주체사상을 넓은 의미의 주체사상, 후자의 주체사상을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이라고 구분한다. 리론은 혁명이론, 방법은 영도방법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주체사상의 철학적 원리 ===
{| class="wikitable"
! colspan="2" |주체사상(넓은 의미) = 김일성주의
|-
|주체사상(좁은 의미)
|주체사상의 기본적인 이론적 내용
|-
|혁명이론
|제국주의, 봉건주의 등에 맞서 혁명을 하기 위한 이론
|-
|영도방법
|수령을 중심으로 한 유일영도체계를 구성하는 방법론
|}
 
===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 ===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은 "철학적 원리", "사회역사원리", "지도적 원칙"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철학적 원리 ====
주체사상의 철학적 원리의 기본은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라는 말은 사람이 세계와 자기 운명의 주인이라는 것이며, 사람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것은 사람이 세계를 개조하고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데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사람은 "가장 발전된 물질적 존재이며 물질세계발전의 특출한 산물"이기 때문에 [[자주성 (주체사상)|자주성]]·[[창조성 (주체사상)|창조성]]·[[의식성 (주체사상)|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이다.
 
이 때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라는 명제는 사회역사원리에서 "인민대중은 사회역사의 주체"라는 명제로 연역된다. 또한 철학적 원리의 '자주성'은 사회역사원리의 '투쟁의 역사', '창조성'은 '창조적 운동', '의식성'은 '자주적인 사상의식'으로 연역된다.
===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원리 ===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원리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뉘는데, 대표적인 두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사회역사의 주체사회역사원리 ====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원리는 인민대중에 대해 서술하는 부분으로, "인민대중은 사회역사의 주체이다"라는 명제를 비롯해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주체사상은 "인민대중이 혁명과 건설의 주인이며 자연을 개조하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하면서, "자연과 사회의 개조를 통해 인민대중의 지위는 강화된다"고 말한다. 과거엔 인민대중이 "사회의 주인으로서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 탓으로 역사를 자주적으로 개척할 수 없었"으나, "노동계급의 혁명적 영도와 투쟁의 결과"로 "착취와 압박에서 해방되고 사회와 자기 운명의 참다운 주인으로서 역사를 의식적으로 창조해 나갈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옳은 지도 없이는 노동계급이 승리할 수 없다"면서 "노동계급을 비롯한 인민대중은 당과 수령의 올바른 영도"를 받아야만 한다고 하며, 레닌이 말했던 혁명적 정당의 필요성을 전유하는 태도를 취한다.
 
* '''사회역사의 주체''' : 주체사상은 "인민대중이 혁명과 건설의 주인이며 자연을 개조하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하면서, "자연과 사회의 개조를 통해 인민대중의 지위는 강화된다"고 말한다. 과거엔 인민대중이 "사회의 주인으로서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 탓으로 역사를 자주적으로 개척할 수 없었"으나, "노동계급의 혁명적 영도와 투쟁의 결과"로 "착취와 압박에서 해방되고 사회와 자기 운명의 참다운 주인으로서 역사를 의식적으로 창조해 나갈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옳은 지도 없이는 노동계급이 승리할 수 없다"면서 "노동계급을 비롯한 인민대중은 당과 수령의 올바른 영도"를 받아야만 한다고 하며, 레닌이 말했던 혁명적 정당의 필요성을 전유하는 태도를 취한다.
==== 인류역사는 투쟁의 역사 ====
주체사상은 "인류사회의 발전역사는 자주성을 옹호하고 실현하기 위한 인민대중의 투쟁의 역사"라고 정의한다. 더불어 "인류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사람들은 사회적 예속과 자연의 구속에서 자신을 해방하기 위한 투쟁"을 벌여왔는데, 여기서 사회 개조 투쟁은 "인민대중이 계급과 민족의 예속"을 벗어나기 위함이고, 자연 개조 투쟁은 "자주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물질적 조건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제국주의세력이 국제적으로 연합되어 있는 것만큼 제국주의의 지배와 억압을 반대하고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투쟁 역시 국제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 '''투쟁의 역사''' : 주체사상은 "인류사회의 발전역사는 자주성을 옹호하고 실현하기 위한 인민대중의 투쟁의 역사"라고 정의한다. 더불어 "인류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사람들은 사회적 예속과 자연의 구속에서 자신을 해방하기 위한 투쟁"을 벌여왔는데, 여기서 사회 개조 투쟁은 "인민대중이 계급과 민족의 예속"을 벗어나기 위함이고, 자연 개조 투쟁은 "자주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물질적 조건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제국주의세력이 국제적으로 연합되어 있는 것만큼 제국주의의 지배와 억압을 반대하고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투쟁 역시 국제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 주체사상의 지도적 영향 ===
* '''창조적 운동''' : "사회역사적 운동은 인민대중의 창조적인 운동이다."
==== 사상에서 주체 ====
* '''자주적인 사상의식''' : "혁명투쟁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인민대중의 자주적인 사상의식이다."
주체사상은 "사상에서 주체를 세워야 정치, 경제, 국방 등 모든 분야에서 주체를 세울 수 있다"고 한다. 더불어 "사상에서 주체를 세운다는 것은 혁명과 건설의 주인이라는 자각을 가지며 자기 나라 혁명을 중심에 놓고 모든 것을 사고하고 실천하며 모든 문제를 자기 힘으로 풀어나가는 관점과 태도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함께 "노동계급의 혁명사상과 자기 당의 노선과 정책으로 무장하여야" 한다고 하여 [[조선로동당]]의 유일사상체계를 정당화하고 있다.
 
=== 주체사상의= 지도적 영향원칙 ====
이를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당원의 교양 및 인민대중을 상대로 하는 사상사업에서 소련의 영향을 줄이고 《[[볼셰비키]]당사》 대신 [[조선로동당]]의 당사를 교재로 교양사업을 하기로 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는데, 이러한 움직임의 배경은 [[국내파]]와 [[소련파]]의 숙청, 그리고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의 사망이다.
지도적 원칙은 당, 국가 등 정치적 단위에 대해 서술하는 부분으로, "자주적 입장을 견지하여야 한다", "창조적 방법을 구현하여야 한다", "사상을 기본으로 틀어쥐어야 한다"는 테제를 중심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자주적 입장''' : 주체사상 4대원칙이라고 불리는 "사상에서의 주체(主體), 정치에서의 자주(自主), 경제에서의 자립(自立), 국방에서의 자위(自衛)"가 설명된다.
* 김일성, 1955년 [[12월 28일]]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
* 김일성, [[1960년]] 2월 18일 〈새 환경에 맞게 군당단체의 사업방법을 개선할데 대하여〉
 
'''사상에서 주체 :''' 주체사상은 "사상에서 주체를 세워야 정치, 경제, 국방 등 모든 분야에서 주체를 세울 수 있다"고 한다. 더불어 "사상에서 주체를 세운다는 것은 혁명과 건설의 주인이라는 자각을 가지며 자기 나라 혁명을 중심에 놓고 모든 것을 사고하고 실천하며 모든 문제를 자기 힘으로 풀어나가는 관점과 태도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함께 "노동계급의 혁명사상과 자기 당의 노선과 정책으로 무장하여야" 한다고 하여 [[조선로동당]]의 유일사상체계를 정당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당원의 교양 및 인민대중을 상대로 하는 사상사업에서 소련의 영향을 줄이고 《[[볼셰비키]]당사》 대신 [[조선로동당]]의 당사를 교재로 교양사업을 하기로 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는데, 이러한 움직임의 배경은 [[국내파]]와 [[소련파]]의 숙청, 그리고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의 사망이다.
==== 정치에서 자주 ====
주체사상에서 말하는 정치에서 자주는 "노동계급과 인민대중이 국가와 사회의 주권을 쥐고 주인이 되는" 것을 말하며, 동시에 "대외관계에서 완전한 자주권과 평등권을 행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기초로 "자주성과 국제주의를 결합"시킨다는 것이 목표다.
 
'''정치에서 자주''' : 주체사상에서 말하는 정치에서 자주는 "노동계급과 인민대중이 국가와 사회의 주권을 쥐고 주인이 되는" 것을 말하며, 동시에 "대외관계에서 완전한 자주권과 평등권을 행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기초로 "자주성과 국제주의를 결합"시킨다는 것이 목표다. 1960년대 초에 들어 [[중소 분쟁]]이 심해지고 [[니키타 흐루쇼프]]의 김일성 비판이 강도를 더해감에 따라 조선로동당 내의 반김일성세력이 [[갑산파]]를 중심으로 표면화되자 김일성은 소련의 영향으로부터 사상적인 면만이 아니라 정치적인 면에서도 '주체'를 내세우기 시작했다.
 
'''경제에서 자립''' : "자립적 민족경제를 건설"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곧 "자기 나라의 자원과 자기 인민의 힘에 의거하여 발전하는 경제"를 말한다. 그리고 "중공업과 함께 경공업과 농업을 동시에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기술적 자립"이 요구된다. 또한 "민족기술인재문제"와 "자력갱생의 원칙"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더불어 "인민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를 전략적 노선으로 삼는다.'''국방에서 자위''' : 주로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특히, "제국주의는 전쟁의 항시적 근원이며 오늘 침략과 전쟁의 주되는 세력은 미제국주의"라고 하여 [[미국]]에 적대감을 드러낸다. 국방에서 자위를 실현하기 위해선 "자위적 무장력"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전인민적, 전국가적 방위체계를 세워야 한다"고 한다. 동시에 "전민의 무장화와 전국의 요새화"를 요구한다.
* 김일성, 1963년 2월 8일 〈우리의 인민군대는 로동계급의 군대, 혁명의 군대이다. 계급적정치교양사업을 계속 강화하여야 한다〉
* 김일성, 1963년 10월 5일 〈우리 인민군대를 혁명군대로 만들며 국방에서 자위의 방침을 관철하자〉
 
* '''창조적 방법''' : "인민대중에 의거하는 방법", "실정에 맞게 하는 방법" 등 정치적 방법론이 서술된다.
==== 경제에서 자립 ====
"자립적 민족경제를 건설"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곧 "자기 나라의 자원과 자기 인민의 힘에 의거하여 발전하는 경제"를 말한다. 그리고 "중공업과 함께 경공업과 농업을 동시에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기술적 자립"이 요구된다. 또한 "민족기술인재문제"와 "자력갱생의 원칙"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더불어 "인민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를 전략적 노선으로 삼는다.
 
* '''사상''' : 사상개조선행, 정치사업선행 등 이념을 우선시해야 하는 이유가 서술된다.
==== 국방에서 자주 ====
 
주로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특히, "제국주의는 전쟁의 항시적 근원이며 오늘 침략과 전쟁의 주되는 세력은 미제국주의"라고 하여 [[미국]]에 적대감을 드러낸다. 국방에서 자위를 실현하기 위해선 "자위적 무장력"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전인민적, 전국가적 방위체계를 세워야 한다"고 한다. 동시에 "전민의 무장화와 전국의 요새화"를 요구한다.
===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원리역사 ===
 
=== 주체사상의 철학적형성 원리배경 ===
1956년 소련공산당 제20차 전당대회에서 흐루시초프에 의한 스탈린 격하 사건이 일어나자, 북한과 중국은 소련에 대해 수정주의라는 비판을 퍼부었다.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이 유일지도체계를 포기하고 국내에서 [[8월 종파 사건|8월종파사건]]과 같은 정변 시도가 일어나자, 김일성은 1인 독재 체제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고자 한다.
 
김일성은 1955년 12월 28일에 당선전선동원대회에서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라는 이름의 연설을 했는데, 주체라는 이름의 용어는 이 때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김일성은 연안파, 소련파 등 자신의 반대세력들을 숙청할 때 이 연설을 바탕으로 "주체가 없는 사람"이라는 명분을 씌웠다.
 
주체사상이 사상적인 내용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김일성이 1965년 4월 인도네시아 알리 아르함 사회과학원에 방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사회주의건설과 남조선혁명에 대하여"라는 연설을 했을 때다. 김일성은 "사상에서의 주체, 정치에서의 자주, 경제에서의 자립, 국방에서의 자주, 이것이 우리 당이 일관하게 견지하고 있는 립장"이라고 말했는데, 이는 오늘날 주체사상의 지도적 원칙에 적힌 "주체사상 4대 원칙"이다.
 
=== 주체/자주/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
줄 59 ⟶ 79:
이 때 이후 김일성의 우상화가 시작되었으며 1972년 1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산주의헌법》에 주체사상을 명문화하며 김정일의 후계체계가 준비되기 시작하였다.
 
== 기타 ==
== 주체 산 업의 업적 ==
 
=== 주체 산 업의산업의 업적 ===
 
* [[비닐론]]
줄 76 ⟶ 98:
*** 화성 15 호 완성 백두 엔진. 두 연소실은 단일 터보 펌프로 공급된다. 챔버는 Atlas에서 사용되는 RD-180과 유사하게 터보 펌프와 독립적으로 짐벌 할 수 있습니다.
 
=== 주체사상 비판 ===
{{독자 연구 문단|날짜=2012-7-21}}
{{중립 필요 문단|날짜=2016-5-25}}
줄 95 ⟶ 117:
 
주체사상의 종교적 요소는 수령관에서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학 사전은 수령을 "혁명과 건설에서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고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당과 혁명의 월등한 영도자"라고 정의하고 있다.<ref>북한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북한주체철학사전> 17쪽.</ref> 여기서 수령을 '절대적'이라고 함으로써 신앙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북한의 정치를 신앙적으로 보는 것과 관련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는 아직 세속화되지 않은 신앙화 체제로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북한의 정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전통 사회 지배 계층의 이데올로기인 유교뿐 아니라 인민의 정신세계에 지배적 영향을 미친 무속 신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북한의 정치 문화는 폐쇄 체제 이전으로부터 잔류한 무속 신앙, 유, 불, 선의 전통 종교, 기독교 등의 영향을 반영하며 통치계층은 이러한 종교적 정서를 의도적으로 권력구축에 활용하였다고 보기도 한다.<ref>주준화, 〈북한 정치의 종교성-김일성의 신격화에 있어서 무속 신앙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4호 (1995), 393-413쪽.</ref>
 
* 김일성, 1955년 [[12월 28일]]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
* 김일성, [[1960년]] 2월 18일 〈새 환경에 맞게 군당단체의 사업방법을 개선할데 대하여〉
* 김일성, 1963년 2월 8일 〈우리의 인민군대는 로동계급의 군대, 혁명의 군대이다. 계급적정치교양사업을 계속 강화하여야 한다〉
* 김일성, 1963년 10월 5일 〈우리 인민군대를 혁명군대로 만들며 국방에서 자위의 방침을 관철하자〉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