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공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번째 줄:
:<math>f\colon I\to\bigcup_{i\in I}S_i</math>
:<math>\forall i\in I\colon f(i)\in S_i</math>
만약 <math>\varnothing\in\{S_i\}_{i\in I}</math>라면, <math>\{S_i\}_{i\in I}</math>는 물론 선택 함수를 가질 수 없다. '''선택 공리''' <math>\mathsf{AC}</math>에 의하면, 공집합을 포함하지 않는 모든 [[집합족]]은집합족은 선택 함수를 갖는다.
 
=== 약화된 형태 ===
임의의 [[기수 (수학)|기수]] <math>\kappa</math>에 대하여, <math>\mathsf{AC}_\kappa</math>는 "크기가 <math>\kappa</math> 이하인, 공집합을 포함하지 않는 [[집합족]]은집합족은 선택 함수를 갖는다"는 명제이다. 특히, <math>\kappa=\omega</math>일 때 <math>\mathsf{AC}_\omega</math>를 '''가산 선택 공리'''(可算選擇公理, {{llang|en|axiom of countable choice}})라고 한다.
 
임의의 [[집합]] <math>S</math> 및 [[이항 관계]] <math>R\subseteq S^2</math>가 주어졌고, 또한 이들이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