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홍콩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까지 그 기원이 올라간다. 이 지역은 [[진 시황제]] 시절에 첫 번째로 병합되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당시 무역항과 해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이 지역의 첫 번째 서구인은 1513년에 상륙한 [[포르투갈]]인인 [[조르제 알바레스]]이다. [[영국]]과의 접점은 [[영국 동인도 회사|동인도 회사]]가 [[광둥 성]] 근처 도시에 무역항을 건설한 이후에 이루어졌다.
 
[[1839년]]에 [[청나라]]의 승인으로 이루어진 아편 수입 금지안은 중국과 영국 사이의 [[제1차 아편 전쟁]]을 낳았다. 홍콩 섬은 [[1841년]] [[영국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난징 조약]]으로 [[청나라]]로부터 [[홍콩 섬]]이 정식으로 양도되었다. 이듬해 영국은 [[빅토리아 시티]]의 건립과 함께 [[홍콩 총독|홍콩총독부]]를 신설하였다. [[1860년]] 중국의 [[제2차 아편 전쟁]] 패배 이후에 [[가우룽]](구룡)이 [[베이징 조약]] 하에 영속적으로 영국에 귀속되었다. [[1898년]]에 영국은 홍콩과 인접한 북부 섬과 신 행정구역으로 알려진 [[신제]](신계)를 99년 간 [[조차지|조차]]받았다. [[19세기]]의 홍콩은 영국의 주요 무역항이었다. 홍콩은 영국의 물산 집산지로써집산지로 활용되는 자유 무역항으로 선언되었고 [[가우룽 반도]]-[[광둥 성]]간 [[가우룽-광둥 철도|철도]]가 개통되었으며 또한 영국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1870년대]] ~ [[1880년대]] 이후 홍콩은 아시아의 영국령 중에서 가장 빅토리아 문화가 개화된개화한 지역이 되었다.
 
[[파일:1945 liberation of Hong Kong at Cenotaph.jpg|thumb|300px|left|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된 후 1945년,<br />해방을 맞이한 홍콩.]]
[[1941년]] [[12월 8일]] [[일본 제국]]은 홍콩을 점령했다. 홍콩이 일본 제국에게제국에 지배 받는지배당하는 동안 시민들은 [[강제 배급]]으로 의해인해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전쟁 국채 발행을 위한 통화 환율 정책의 강제로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전쟁 전 홍콩의 인구는 160만이었으나, 영국이 [[식민지]] 지배권을 회복한 [[1945년]] 8월에는 거의 60만으로 줄었다.
 
[[1949년]] [[국공내전]] 이후 [[중화민국]]이 [[중국 대륙]]에서 [[타이완]]으로 패퇴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을 때, [[중국 공산당]]의 억압을 피하기 위해 많은 [[중국인]]이 홍콩으로 이주하였다<ref>홍콩은 [[중화민국]]([[타이완]]), [[대한민국]]([[인천광역시]]), [[일본]]([[나가사키]])와 함께 [[반공주의]] 신념을 가진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망명하는 도시가 되었다.</ref>. [[1978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경제 개혁안을 시작했을 때, 홍콩은 [[중국 대륙]]에 투자되는 외국 자금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 이듬해 [[선전 시|선전]] 경제 특구가 설치되었고, 재정과 금융 분야에서 계속해서 영향력이 커지면서 [[홍콩의 산업]]은 [[제조업]]과 [[섬유]]에서 점진적으로 [[3차 산업|서비스 업종]]으로 대체되었다.
 
[[1984년]]에 중화인민공화국과 영국은 [[1997년]]에 홍콩의 주권을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전하는 것에 동의하는 조약에 서명하였다. 이 조약은 홍콩이 50년 동안 [[법]]과 자치권을 유지하는 특별 행정 구역으로 수행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양도 후 [[헌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s: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홍콩 기본법]] 은 [[1990년]]에 제정되었다. 홍콩 주권 양도는 [[1997년]] [[7월 1일]] 자정을 기점으로 치러졌고이루어졌고 [[둥젠화]]는 홍콩의 첫 번째 홍콩 특별 행정구 행정 장관으로 취임하였다.
 
홍콩의 경제는 [[1997년]]에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덮친 아시아 외환 위기에 영향을 받았다. [[H5N1]] (조류 독감) 역시 그 해 홍콩을 뒤덮었다덮쳤다. 공항 중심 프로그램(Airport Core Program)은 6년간의 공사 이후에 [[1998년]] [[홍콩 국제공항]]의 개항을 이끌었다. 이 프로젝트는 야심찬 1980년대에 기안된 항만, 공항 발전 계획의 일환이었다. 2003년도 초반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이 홍콩에 나타났다.
 
항간에 홍콩이 2020년 중국 본토에 위치한 경제 특구 [[선전 시]]와 통합된다는 잘못된 소문이 있으나 일부 중국 내 그리고 홍콩내 친(親)공산당 정부 인사들의 주장이 뉴스에 나온 것으로것뿐으로 잘못된사실이 것이며아니며 현재 홍콩과 중국 본토와의 심각한 갈등을 보고 있자면 매우 불가능한 이야기이다. 50년 간의 자치권이 소멸된다고 명시된 홍콩법으로 인해
 
* 홍콩의 자치가 [[2047년]] 소멸되어 자치권이 중국 중앙정부로 돌아간다고 하지만 이는 확정되지 않았고, 실현 가능성도 적은 내용이다적다.
 
실제 홍콩과 중국은 사소한 것까지 법이 달라 쉽게 통합이 불가능하며 혼란을 방지하고자 중국 측으로서는 50년의 시간을 두고 차이를 좁혀본 후 진전이 없을 경우 그 시효를 자동적으로 또 50년 연장하게 된다는 것이 홍콩 법조계의 주된 의견이다.
27번째 줄:
== 정치 ==
=== [[일국양제]] ===
홍콩의 정치 제도는 대체로 [[영국]]이 통치했을 때의 행정, 입법, 사법을 답습했고 다만답습했지만 서로 예속되지는 않았다. 특별행정구 성립 후에도, 여러 가지여러가지 정치 제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전혀 다르게 유지되었다. [[:s: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홍콩 기본법]]은 [[덩샤오핑]]이 구상한 “[[일국양제]]”({{zh|t=一國兩制}})의 이념(우물물은 강물을 범하지 않는다, 각자 한계를 분명히 하여 서로 범하지 않는다)을 확실히 보장하고 있고, 이에 따라 행정, 입법, 사법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체제에서 분리되어 간섭받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콩 사람이 홍콩을 다스리고, 고도의 자치를 한다”({{llang|zh|港人治港}}) 라는 원칙에 따라, 홍콩은 현재까지도 “'''중국 홍콩'''”({{llang|en|Hong Kong, China}}, {{llang|zh|中國香港}})의 이름으로 경제, 무역, 금융, 항공, 통신, 관광, 문화, 체육 등의 영역에서 단독으로 국제 기구에서 관계를 유지, 발전하고 있고, 관련된 협의를 체결하고 이행하고 있다. 홍콩이 참여하는 기구로는 [[세계무역기구]]({{zh|t=世界貿易組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zh|t=亞洲太平洋經濟合作組織}}), [[아시아개발은행]] ([[ADB]], {{zh|s=亚洲开发银行}}), [[국제결산은행]]({{zh|t=國際結算銀行}}), [[국제올림픽위원회]] 등 모두 14개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홍콩 내외의 정치인 및 여론, [[일국양제]]를 질의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예를 들면, [[파룬궁]]이 홍콩에서 공개적으로 활동하는 것, [[베이징]]에서 홍콩의 [[보통 선거]]를 쟁취하려는 모습, 홍콩의 [[정치인]]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제도에 대한 의견을 공개 발표하는 것, 2007년 행정장관 입후보자 [[렁춘잉]]({{zh|t=梁振英}})은 중앙 정부에서 특구 관원 임명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을 제기하는 등,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질의하게 하는 것은 라는 사안이었다.
33번째 줄:
=== 행정 ===
[[파일:Government House rightview.jpg|thumb|300px|홍콩특별행정구 정부 청사]]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홍콩의 행정장관|행정장관]]({{llang|en|Chief Executive}}, {{llang|zh|行政長官}})이 이끌고 있다. 행정장관은 [[간접 선거]]로 치루어 지며,선출되며 선거인단으로 구성 된구성된 선거 위원회 800명을 통해서통해 1인 1표의 방식으로 기명한다. 한편 특별행정구 정부의 제1차 위원회 구성 위원단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으로부터 임명되었고임명하고, 제2차 위원단 부터위원단부터 기능별로 선거 유권자가 선출하였다. 행정장관은 매번 5년을 임기로 하고 1회 더 연임할 수 있으나 전 행정 장관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면 다음 임명자는 남은 임기를 다음 임기의 5년에 더한다.
 
행정장관이 주관하는 행정회의({{llang|en|Executive Council}}, {{llang|zh|行政會議}})는 홍콩에서 [[행정부]]에 상동하는 기관이다. 초대 행정장관은 [[둥젠화]]이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서 위임하는 400명이 추천 선발하여 [[1996년]] [[12월]]에 제1차 행정장관 선거에 승리했다. [[2002년]] [[2월]], [[둥젠화]]는 800명의 선거 위원회에서 700명 이상의 추천을 얻어, 제2회 행정장관 선거에 참여했고, 상대후보가 없는 상황에서 선거를 통하지 않고 연임했다. 그는 [[2005년]] [[3월]]에 건강에 이상이 생겨 사임했고, [[2005년]] [[6월]], 정무국장인 [[쩡인취안]](도널드 창)이 행정장관 보궐선거에서 자동 선출되었다. [[2007년]] [[1월 31일]] [[렁춘잉]]이 선거 위원회에서 1/8이상의 추천을 얻어, 정식으로 제3회 행정 장관의 선거에 입후보 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2012년]] [[3월 25일]], 1200명의 선거 위원회에서 689명의 지지를 얻어 당선되었다.
 
둥젠화 전 행정장관은 2002년 7월 1일 문책제({{zh|t=問責制}})를 실시한 후에 행정 장관 및 행정회 이외, 홍콩 정부는 3등급으로 구성되어있다구성되어 있다.
 
* 첫 번째 등급은 국장인데, 정무 국장, 재정 국장 그리고 법정 국장이 있다. 모두 행정 장관의 수석 고문이고, 홍콩 정부의 최고로 중요한 정책을정책 제정하는 것을수립을 책임진다.
* 두 번째 등급은 정책을 결정하는 국장이다.({{zh|t=決策局}}) 정책의정책을 제정, 총괄 및 검토를 하고검토하고 위생, 운송, 보안 등과 같은 정책정책을 정하고 집행부 산하의 업무를 감독한다. 2007년 5월 31일, 쩡인취안은 입법 회의에서 정책국을 다시 조직, 발전국의 등록 및 기타 정책국의 개편을정책국을 진행했고개편했고, 정책 국장에게 12개까지 정책 개편을 할 것을 지시했다.
* 세 번째 등급은 정행의 집행 부분이고, 기관의 이름도 “서({{llang|zh|署}}) 혹은 “처({{zh|t=處}})”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