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2번째 줄:
{{불교}}
 
'''6식'''(六識, {{llang|sa|[[:en:vijñāna|<span style="color: black">sadvijñāna</span>]]}}, {{llang|en|[[:en:six vijñānas|<span style="color: black">six vijñānas</span>]]}}, [[:en:six consciousnesses|<span style="color: black">six consciousnesses</span>]])은 [[육식|안식]](眼識){{.cw}}[[육식|이식]](耳識){{.cw}}[[육식|비식]](鼻識){{.cw}}[[육식|설식]](舌識){{.cw}}[[육식|신식]](身識){{.cw}}[[육식|의식]](意識)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C%8B%9D&rowno=2 六識(육식)]". 2012년 10월 8일에 확인}} 복수형 접미사 [[믿음 (불교)|신]](身)을 사용하여 '''6식신'''(六識身)이라고도 한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3378&categoryId=2886 육식신(六識身)]". 2013년 5월 22일에 확인|ps=<br>"육식신(六識身):
신(身)은 산스크리트어 kāya의 번역으로 어미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육식(六識)과 같음.
<br>동의어: 육식"}}
34번째 줄:
달리 말하면, [[심의식|식]] 즉 [[요별]]이 일어날 때의 그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인 [[색경 (불교)|색경]](色境){{.cw}}[[오경 (불교)#성경|성경]](聲境){{.cw}}[[오경 (불교)#향경|향경]](香境){{.cw}}[[오경 (불교)#미경|미경]](味境){{.cw}}[[촉경|촉경]](觸境){{.cw}}[[법계 (불교)|법경]](法境)의 [[육경|6경]]에 따라 구분하여 색식(色識){{.cw}}성식(聲識){{.cw}}향식(香識){{.cw}}미식(味識){{.cw}}촉식(觸識){{.cw}}법식(法識)으로 명명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점은 현대에서 [[지각]] 또는 [[의식]]을 구분할 때 [[시각]]{{.cw}}[[청각]]{{.cw}}[[후각]]{{.cw}}[[미각]]{{.cw}}[[촉각]]{{.cw}}[[의식]](생각) 등으로 주로 [[인식대상]]을 기준으로 명명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6식(六識)의 각각은 [[심의식|식]](識) 즉 요별(了別: 앎)의 뜻을 바탕으로 보통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811&DTITLE=%A4%BB%C3%D1 六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3377&categoryId=1885 육식(六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아래의 정의에서 주의할 점으로는, '요별의 작용', '앎' 또는 '지식'외에 별도의 행위자, 아는 자 또는 지식을 소유한 자가 있지 않다는 점이다. 즉, '요별 = 앎 = 지식 = 마음 = 요별하는 자 = 아는 자 = 지식을 소유한 자'이다.{{sfn|권오민|2003|pp=45-49}}{{sfn|권오민|2000|pp=133-135}}{{sfn|고익진|1989|pp=143-144}}
 
* [[육식|안식]](眼識): [[안근|안근]](眼根)을 [[소의]](所依: 발동근거)로 하여 [[색경 (불교)|색경]](色境)을 [[요별]](了別)하는 작용, 즉 [[앎]], 즉 [[지식]]
89번째 줄:
{{참고|변계}}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전5식'''(前五識)은 [[심 (마음작용)|심]](尋)과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伺)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감성적 인식]](感性的認識)이며, [[감성적 인식]]을 전통적 용어로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인식대상]]의 [[자성]](自性: 본질적 성질, 예를 들어, 빨간색의 경우 빨간색 그 자체 또는 노란색의 경우 노란색 그 자체)을 분별(지각)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자성분별'''(自性分別)이라고 한다.{{sfn|권오민|2003|pp=67-69}} 여기서, [[심 (마음작용)|심]](尋)의 [[마음작용]]은 거친 살펴봄의 [[마음작용]] 즉 개괄적으로 사유하는 [[마음작용]]으로 이 작용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심구]](尋求: 찾고 탐구함)라고 한다. 그리고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伺)의 [[마음작용]]은 정밀한 살펴봄의 [[마음작용]] 즉 세밀하게 고찰하는 [[마음작용]]으로 이 작용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사 (부정심소)|사찰]](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이라 한다.{{sfn|권오민|2003|pp=69-81}}{{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50 350-351 / 583]}}{{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2057&categoryId=2886 심사(尋伺)]".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이에 대해, '''의식'''(意識), 즉 '''제6의식'''(第六意識)은 [[반야|혜]](慧: 판단)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오성적 인식]](悟性的認識)이며 또한 [[불교 용어 목록/ㅇ#염|염]](念: 기억)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기억]](記憶) 또는 [[재인식]](再認識)이다. [[오성적 인식]]을 전통적 용어로 '헤아리고 판단하여[計度] 분별한다'라는 뜻에서 '''계탁분별'''(計度分別)이라 하며, [[불교 용어 목록/구#기억|기억]] 또는 [[재인식]]을 전통적 용어로 '기억[念] 또는 재인식[念]을 바탕으로 분별한다'라는 뜻에서 '''수념분별'''(隨念分別)이라 한다.{{sfn|권오민|2003|pp=67-69}}
247번째 줄:
==참고 문헌==
* {{서적 인용|저자=고익진|제목=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출판사=동국대학교 출판부|연도=1989}}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저자=권오민|제목=한국불교학|장=아비달마불교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론|판=제27집|연도=2000}}
* {{서적 인용|저자=권오민|제목=아비달마불교|출판사=민족사|연도=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