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123번째 줄:
<br /><sup style="color: blue">22)</sup> 여기서 '견(dṛiṣṭi)'이란 먼저 숙고[審慮]한 다음 확인 판단[決度]하는 것을 말한다.(審慮爲先 決度名見) 본론 권제2(p.86) 참조. 5견에 대해서는 본권 후술."}} 여기서 [[행상]](行相, 行)은, 인식에 있어서 객관우선주의의 입장을 가진 [[설일체유부]]의 견지에서는,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불교)|마음]](여기서는 6식 중 제6의식만을 말함, 즉 견(見)의 경우이므로 전5식은 제외됨)에 비친 모습, 즉 주관인 [[마음 (불교)|마음]]에 형성된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境]의 모습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A1%8C%E7%9B%B8&rowno=4 行相(행상)]". 2012년 11월 2일에 확인. 행상(行相, 行)|ps=<br />"行相(행상):
[1] 소승에서는 주관의 인식 대상, 곧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위에 비친 영상(影像)을 말함.
[2] 대승에서는 주관의 인지하는 작용을 말하니 곧 마음에 비친 객관의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5770&categoryId=2886 행상(行相)]". 2012년 11월 2일에 확인. 행상(行相, 行)|ps=<br />"행상(行相):
산스크리트어 ākāra
① 사물의 형상·모습.
159번째 줄:
여기서 [[행상]](行相, 行)은, 인식에 있어서 주관우선주의의 입장을 가진 [[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대승불교]]의 견지에서는,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불교)|마음]](여기서는 8식 중 제6의식만을 말함, 즉 견(見)의 경우이므로 전5식은 제외됨)에 비친 모습, 즉 주관인 [[마음 (불교)|마음]]에 비추인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境]에 대해 주관인 [[마음 (불교)|마음]]이 그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境]을 인식하는 작용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A1%8C%E7%9B%B8&rowno=4 行相(행상)]". 2012년 11월 2일에 확인. 행상(行相, 行)|ps=<br />"行相(행상):
[1] 소승에서는 주관의 인식 대상, 곧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위에 비친 영상(影像)을 말함.
[2] 대승에서는 주관의 인지하는 작용을 말하니 곧 마음에 비친 객관의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5770&categoryId=2886 행상(行相)]". 2012년 11월 2일에 확인. 행상(行相, 行)|ps=<br />"행상(行相):
산스크리트어 ākāra
① 사물의 형상·모습.
216번째 줄:
==== 단견 ====
 
'''단견'''(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 (불교)|견해]]로, 즉 [[인과]]의 [[상속]], [[업]](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 (불교)|견해]]이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8007&categoryId=2886 단견(斷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96%B7%E8%A6%8B&rowno=1 斷見(단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435&DTITLE=斷見 斷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단견]](斷見)은 [[윤회]]가 존재하며 [[무위법]]인 [[열반]]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견 (불교)|견해]]이다.
 
단견(斷見)은 단멸된다는 극단 또는 단멸된다는 극단적인 견해라는 뜻에서 '''단변'''(斷邊)이라고도 한다.{{sfn|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T.1613|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3_p0853a01 T31n1613_p0853a01 - T31n1613_p0853a05]. 변집견(邊執見)|ps=<br />"云何邊執見。謂薩迦耶見增上力故。即於所取。或執為常。或執為斷。染慧為性。常邊者。謂執我自在。為遍常等。斷邊者。謂執有作者丈夫等彼死已不復生。如瓶既破更無盛用。障中道出離為業。"}}{{sfn|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K.619, T.1613|loc=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2&startNum=11 11 / 24]. 변집견(邊執見)|ps=<br />"무엇을 변집견이라고 하는가? 살가야견이 더욱 힘이 강하기 때문에 집착한 것에 대해서 혹은 영원[常]하다고 집착하고, 혹은 단절[斷]된다고 집착하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삼는다. 영원하다는 극단[常邊]은 나와 자재천(自在天)이 항상 영원하다고 집착함을 말한다. 단절된다는 극단[斷邊]은 작자(作者){{.cw}}장부(丈夫) 등이 있어 그들은 마치 깨어진 병에 다시는 물을 담아 사용할 수 없는 것처럼 죽어서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고 집착하는 것이다. 장애 가운데 8정도와 같은 도(道)로 벗어남을 행동양식으로 한다."}}
224번째 줄:
==== 상견 ====
 
'''상견'''(常見, {{llang|sa|[[:en:nityadrsti|<span style="color: black">nityadrsti</span>]]}}, {{lang|sa|[[:en:śāśvatadrsti|<span style="color: black">śāśvatadrsti</span>]]}}, {{llang|pi|[[:en:sassata-ditthi|<span style="color: black">sassata-ditthi</span>]]}})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견 (불교)|견해]]이다. [[상견]](常見)에는 나름의 논리를 갖춘 다양한 [[견 (불교)|견해]]가 있다.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상견]](常見)은 [[유위법]]을 [[무위법]]으로 여기는 잘못된 [[견 (불교)|견해]]이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0812&categoryId=2886 상견(常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ps=<br />"상견(常見):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견해."}}{{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4820&DTITLE=常見 常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ps=<br />"常見: 梵語 nityadrsti 或 śāśvatadrsti,巴利語 sassata-ditthi。又作常邪見、常論。二見之一。為「斷見」之對稱。主張世界為常住不變,人類之自我不滅,人類死後自我亦不消滅,且能再生而再以現狀相續,即說我為常住;執著此見解,即稱常見。大慧書(大四七‧九二三中):「常見者,不悟一切法空,執著世間諸有為法,以為究竟。」說此常見之外道,則稱常見外道。常見之見解有多種差異:即認為過去、未來之我及世間為常之見解中,計前際(過去)之我及世間為常者,有一分常、一切常之別;計後際(未來)為常,而分有想、無想等之別。六十二見中,十八種為前際分別見,其餘四十四種為後際分別見;其中以四種遍常論、四種一分常論(屬前際分別見)、十六種有想論、八種無想論、八種非想非非想論(屬後際分別見),及計極微為常住之極微常住論,總為計常論。諸經論中,多明示以空觀對治常見。<br />
 釋尊既不偏於常(有)見,亦不偏於斷(無)見。至於靈魂不滅說,即屬常見之一例,虛無主義則為斷見之一例,釋尊主張遠離有、無兩邊,而取中道。斷常二見,俱非中道,總名邊見,乃五惡見之第二。〔雜阿含經卷三十四、北本涅槃經卷二十七、大毘婆沙論卷四十九、瑜伽師地論卷六〕(參閱「斷見」 6560) p4526 "}}
434번째 줄: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서적 인용|저자=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1 잡아함경(雜阿含經)]|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연도=K.650, T.99|id=K.650(18-707), T.99(2-1)}}
* {{서적 인용|제목=아비달마불교|저자=권오민|출판사=민족사|연도=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