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1번째 줄:
{{불교}}
 
'''소의'''(所依, {{llang|sa|[[:en:āśraya|<span style="color: black">āśraya</span>]]}}, {{llang|pi|[[:en:assaya|<span style="color: black">assaya</span>]]}})는 '''의존처'''(依存處){{.cw}}'''의지처'''(依止處){{.cw}}'''의지'''(依止){{.cw}}'''근거'''(根據) 또는 '''발동근거'''(發動根據)를 뜻한다.{{sfn|곽철환|2003|loc="[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1438&categoryId=2886 소의(所依)]". 2013년 2월 17일에 확인|ps=<br>"소의(所依): 산스크리트어 āśraya
<br>① 의지처. 근원. 기반. 근거.
<br>② 유식설에서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오온(五蘊), 또는 과거의 경험을 저장하고 있는 심층 심리인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말함. 이 둘은 인간 생존의 근원이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653&DTITLE=%A9%D2%A8%CC 所依]". 2013년 2월 17일에 확인|ps=<br>"所依: 梵語 āśraya,巴利語 assaya。(一) 為「能依」之對稱。含有被依之意。在唯識學中,將諸八識心、心所生起時所依止仗託者,稱為所依,計有三種,即:(一)因緣依,又作種子依。指諸有為法生起之因,亦即一切諸法各自之種子。(二)增上緣依,又作俱有依。指心、心所法起轉之所依,即指內六處。(三)等無間緣依,又作開導依。指心、心所法現起之所依,即「前滅」之意。<br>
31번째 줄: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span id="CITEREF.EC.84.B8.EC.B9.9C_.EC.A7.80.EC.9D.8C.2C_.ED.98.84.EC.9E.A5_.ED.95.9C.EC.97.AD.2C_.EA.B6.8C.EC.98.A4.EB.AF.BC_.EB.B2.88.EC.97.AD"></span>{{서적 인용|저자=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연도=K.614, T.1579|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1 유가사지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0(15-465), T.1579(30-279)}}
* {{서적 인용|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연도=K.955, T.1558|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 아비달마구사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955(27-453), T.1558(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