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이에야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ISBN 매직 링크 제거
114번째 줄:
1605년, 이에야스는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비롯한 도요토미 씨의 위협 세력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도쿠가와 쇼군의 형식적인 지위를 안정적으로 굳히고자 쇼군 직위를 3남 [[도쿠가와 히데타다|히데타다]]에게 계승하게 한다.<ref group="주">장남 [[마쓰다이라 노부야스|노부야스]]는 오다 노부나가와의 문제로 자결하였고, 차남 히데야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후 히데요시의 실자가 태어난 후 유키 씨(結城氏)에 양자로 들어갔다. (요시다 외, 120 ~ 121쪽.)</ref><ref name="요시다104">요시다 외, 104쪽</ref><ref name="이길진212">이길진, 212 ~ 217쪽</ref> 그리고 히데요시의 정실 고다이인을 보내 히데타다가 교토에 상경하였을 때 히데요리도 인사를 하도록 요구하였다.<ref name="이길진212"/> 하지만 히데요리가 요구를 강하게 거부하자 6남 [[마쓰다이라 다다테루]]를 보내 양해를 구하는 선에서 마무리지었다.<ref name="이길진212"/> 이에야스는 1607년 [[슨푸 성]]으로 들어가 명목 상으로는 은거하였지만 곧 스스로를 오고쇼({{llang|ja|大御所}})라고 지칭하면서 에도의 히데타다와 함께 2중 정치를 이끌었다.<ref name="요시다104"/><ref name="이길진212"/> 이에야스는 사망할 때까지 슨푸에서 9년 간 각양 각층의 측근들을 만나며 조언을 구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통치 기구들을 만들어냈다.<ref name="요시다104"/><ref name="이길진212"/> 미카와 시절부터 이에야스에게 종사하던 원로들은 한 사람도 예외로 하지 않고 모두 은퇴해야만 했고, 대신 [[혼다 마사즈미]], [[나루세 마사나리]] 등과 같은 젊은 신참 다이묘와 행정 전문가, [[곤치인 스덴]], [[하야시 라잔]] 같은 승려와 유학자, [[자야 시로지로]], [[이나 다다쓰구]] 같은 경제 전문가와 거상(巨商), [[윌리엄 애덤스]] 같은 외국인 등이 오고쇼 정치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ref name="이길진212"/> 이에야스는 슨푸 성도 에도 성처럼 대대적인 증축을 개시하고 거리를 정비해 슨푸 성은 칠중오층의 천수각을 가진 거대한 규모의 성으로 재탄생하였고, 조카마치 또한 정치, 경제, 외교의 중심지로서 대성하였다.<ref name="요시다104"/><ref>요시다 외, 105쪽</ref>
 
한편 이에야스는 비록 외국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하였지만, [[기독교]]에 대해서는 강경한 탄압 정책을 전개하였다.<ref name="요시다132">요시다 외, 132쪽</ref> 기독교를 금지한 명령 곧 금교령은 이미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후반에 히데요시에 의해 발표되었지만, 이에야스 대에 이르러서도 예수회를 비롯한 외국의 기독교 선교사들은 계속 찾아왔다.<ref name="요시다132"/> 처음에 이에야스는 이들을 지배 체제로 편입해 해외 무역의 확대를 도모코자 전교 활동을 묵인하였지만<ref name="요시다132"/><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156 |id = {{ISBN |89-86142-81-3 }}|인용문=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같이 기독교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취했지만, 무역은 보호{{.cw}}장려했기 때문에 그 포교를 묵인해 왔다. }}</ref> [[일부다처제]]의 부인이나 [[할복]]에 대한 금지, 야훼 이외의 신들에 대한 숭배를 금지한 기독교의 특성에 따른 다신교인 신토와의 대립 등은 막부를 긴장하게 하였으며 <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156 |id = {{ISBN |89-86142-81-3 }}|인용문=그러나 신 앞에서 평등을 설파하는 기독교의 교리는 일본의 봉건적 신분제를 부정하는 것이었으며, 기독교의 일신교(一神敎)적인 성격은 기성종교와 대립하였고, 일부다체제의 금지{{.cw}}셋푸쿠(切復)의 금지 등은 봉건도덕과 모순하였다. }}</ref>, 결국 [[오카모토 다이하치]]의 뇌물 사건 이후 도요토미 씨의 잔당 쪽에 기독교도가 많다는 것을 명분으로 삼아 선교사와 신자들을 탄압하는 정책으로 바꾸었다.<ref name="요시다132"/><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156 |id = {{ISBN |89-86142-81-3 }}|인용문=더욱이 막부는 큐슈의 다이묘들이 무역의 이익으로 경제적{{.cw}}군사적으로 강대해지는 것은 두려워했다. 이러한 이유에서 막부는 점차 기독교의 금압과 무역의 통제를 강화해 나갔다. }}</ref> 새 금교령은 1612년 3월 에도, 오사카, 교토에 발표되었고, 이듬해 12월 전국으로 확대되었다.<ref name="요시다132"/> 금교령 발표 이후 이에야스는 모든 백성들이 불교의 신도가 되도록 하였으며,<ref name="박석순208">박석순 외, 208 ~ 209쪽</ref> 기독교를 믿고 있던 이들에게도 신토나 불교로의 개종을 강요하였는데, 이를 거부한 [[다카야마 우콘]]을 비롯한 열네 명의 신자가 [[마카오]]와 [[필리핀]] 등지로 추방되었다.<ref name="요시다132"/> 이어서 1616년에는 유럽인의 거주·무역 지역을 [[히라도 시|히라도]]와 [[나가사키 시|나가사키]]의 [[데지마]] 일대로만 한정하였다.<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156 |id = {{ISBN |89-86142-81-3 }}|인용문=막부는 1616년(元和2) 유럽인의 거주{{.cw}}무역의 지역을 히라도(平戶){{.cw}}나가사키(長崎)의 2항으로 제한하였다. }}</ref> 또, 이에야스의 조정에 대한 압력도 계속되었다.<ref name="요시다134">요시다 외, 134 ~ 135쪽</ref> 이에야스는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교토에 쇼시다이({{lang|ja|所司代}})를 설치하여 조정 및 공가의 동향을 감시하였다.<ref name="박석순208"/> 그러다 1607년 [[이노쿠마 노리토시]]의 추문 사태가 일어나자, 이에 대한 해결을 조정이 막부에 의뢰한 것을 빌미로 이에야스는 이노쿠마를 참수형에 처한 후 1613년 [[공가중법도]]를 제정하여 공가에 대한 간섭권을 확립하였다.<ref name="요시다134"/> 그리고 2년 뒤에는 더욱 엄격한 규정인 금중병공가제법도를 제정하여, 조정과 공가의 군사·정치적 권한까지 빼앗았다.<ref name="박석순208"/><ref name="요시다134"/>
[[파일:NagasakiNavalTrainingCenter.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데지마]] 일대와 해군 훈련소 ([[나가사키 시]])]]
이에야스는 슨푸에 머무르면서 무장 이외에도 여러 가신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였으며, 일본에 들어온 외국인들을 외교 및 무역의 고문으로서 적극 활용하였다.<ref name="요시다106"/><ref name="연민수155">연민수, 155쪽</ref> 1600년 네덜란드의 '데 리프데'(De Liefde)호가 규슈의 [[분고 국|분고]]에 표류하였을 때, 이에야스는 데 리프데 호의 선원이었던 [[얀 요스틴]], [[윌리엄 애덤스]] 등을 에도로 초청하여, 외교·무역 고문으로 삼고<ref name="연민수155"/><ref name="박석순214">박석순 외, 214 ~ 216쪽</ref> 네덜란드, 영국과의 무역을 추진하였다.<ref name="연민수155"/> 이후 네덜란드와 영국은 1609년과 1613년에 차례대로 일본에 내항하여, 이에야스의 허가를 받은 후 히라도에 상관을 설치하였다.<ref name="연민수155"/><ref name="박석순214"/> 또한 [[스페인]]과의 교역에도 열의를 보여 1609년 [[가즈사 국]]에 표류한 [[루손 섬|루손]]의 전 총독 [[돈 로드리고]]를 교토의 상인 [[다나카 쇼스케]]에게 소개하여 무역 교섭을 시도하기도 하였다.<ref name="박석순214"/>
218번째 줄:
 
== 참고 자료 ==
* 요시다 시게루 외 4명, [[오와다 데쓰오]] 감수, 이언숙 옮김, 《사건과 에피소드로 보는 도쿠가와 3대》 (2003년), 청어람미디어, {{ISBN |89-89722-21-7}}
* 연민수, 《일본역사》 (1998년), 보고사, {{ISBN |89-86142-81-3}}
* 고미 후미히코, 한은미 옮김, 《2천년 일본사를 만든 일본인 이야기》 (2003년), 이손, {{ISBN |89-87095-48-7}}
* 고운기,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 (2009년), 현암사, {{ISBN |978-78-323-1536-2}}
* 박석순 외 3명, 《일본사》 (2005년), 대한교과서, {{ISBN |89-378-3082-5}}
* 이길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삶과 리더십》 (2004년), [[동아일보사]], {{ISBN |89-7090-356-9}}
 
== 관련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