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ISBN 매직 링크 제거
155번째 줄:
* 민간인 195,000–430,000명 사망<ref name="Hirschman">Charles Hirschman et al., [http://faculty.washington.edu/charles/new%20PUBS/A77.pdf "Vietnamese Casualties During the American War: A New Estimat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December 1995.</ref><ref name = "Lewy 1978 450_453">{{Harvnb|Lewy|1978|pp=450–3}}.</ref><ref name="Thayer 1">{{Harvnb|Thayer|1985|loc=chap. 12}}.</ref><br />
* 군인 220,357명<ref name="aaron"/>–313,000명 전사<ref name=FOOTNOTERummel1997>{{인용|last=Rummel |first=R.J |year=1997 |url=http://www.hawaii.edu/powerkills/SOD.TAB6.1A.GIF |format=GIF |title=Table 6.1A. Vietnam Democide : Estimates, Sources, and Calculations, |work=Freedom, Democracy, Peace; Power, Democide, and War, University of Hawaii System }}</ref>
* 1,170,000명 부상<ref name="ReferenceA">Tucker, Spencer E.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ISBN |1-85109-961-1}}</ref><br />
'''{{국기|미국|1960}}'''
* 58,315명 전사<ref>{{보도자료 인용|author=Vietnam Veterans Memorial Fund |url=http://www.prnewswire.com/news-releases/memorial-day-ceremony-at-the-wall-to-commemorate-eight-additions-to-the-wall-and-honor-all-members-of-americas-armed-forces-who-have-made-the-ultimate-sacrifice-300260920.html |title=Memorial Day ceremony at The Wall to commemorate eight additions to The Wall and honor all members of America's Armed Forces who have made the ultimate sacrifice |date=2 May 2016 |publisher=PR Newswire}}</ref>
* 303,644명 부상<ref>{{보고서 인용|title=America's Wars |url=http://www1.va.gov/opa/publications/factsheets/fs_americas_wars.pdf |publisher=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date=May 2010 }}</ref><ref>{{보고서 인용|date=26 February 2010 |title=American War and Military Operations: Casualties: Lists and Statistics |url=https://fas.org/sgp/crs/natsec/RL32492.pdf |author1=Anne Leland |author2=Mari–Jana "M-J" Oboroceanu |publisher=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ref><ref>{{Harvnb|Lawrence|2009|pp=65, 107, 154, 217}}</ref><ref name="aaron">{{영상 인용|people = Aaron Ulrich (editor); Edward FeuerHerd (producer and director) |date=2005 & 2006 |title = Heart of Darkness: The Vietnam War Chronicles 1945–1975 |format = Box set, Color, Dolby, DVD-Video, Full Screen, NTSC, Dolby, Vision Software |medium = Documentary |publisher = Koch Vision |time = 321 minutes |isbn = 1-4172-2920-9 }}</ref><ref>Kueter, Dale. ''Vietnam Sons: For Some, the War Never Ended.'' AuthorHouse (21 March 2007). {{ISBN |978-1425969318}}</ref><br />
'''{{국기|대한민국|1949}}'''
* 5,099명 전사
218번째 줄:
{{참조|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파일:越南亡國史.jpg|thumb|150px|left|1905년 [[판보이쩌우]]가 펴낸 《월남망국사》는 [[청나라|청]]과 [[대한제국|한국]]의 민족주의자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베트남 마지막 왕조였던 [[응우옌 왕조]]는 [[쩐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세울 때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프랑스는 인도 식민지 각축에서 영국에게 패한 뒤 베트남으로 눈을 돌리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으로 비롯된 경제 위기로 당장에 식민지화 정책을 펴지는 못하였고, 소극적인 통상과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 파견에 그쳤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 315-320쪽</ref>
 
응우옌 왕조는 새 왕조를 세운 뒤 배외 정책을 폈고, 2대 황제였던 [[민망]]({{llang|vi|Minh Mạng}}, 明命)에 이르러 로마 가톨릭의 선교를 금지하고 프랑스 선교사를 처형하였다. 프랑스는 이를 빌미로 인도차이나 반도를 식민지로 만들기 시작하였다. 1843년 프랑스의 외무장관 [[프랑수아 기조]]는 [[장바티스트 세실]] 제독과 [[레오나르 샤르네르]](Léonard Charner) 대령의 지휘 하에 베트남에 함대를 파병하였다.<ref>Chapuis, Oscar (2000), 《The Last Emperors of Vietnam: From Tu Duc to Bao Dai》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0-313-31170-6}}</ref> 프랑스는 [[코친차이나]]를 할양받은 이후 차츰 식민지를 확대하여 1887년 베트남과 캄보디아, 라오스를 병합한 식민지인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설립하였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까지 계속되었다.<ref name="양승윤">양승윤, 《동남아와 아세안》,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8년(수정증보판), {{ISBN |89-7464-096-1}}, 215쪽<!--“프랑스는 이어 1883년에 캄보디아를 점령하고 불령(佛領)인도챠이나연방(French Union)을 창설(1887년)하고 하노이에 총독부를 설치하여 식민통치를 시작하였다. 1899년에는 라오스도 합병하여 프랑스는 2차대전 말까지 연방체제를 유지하였다.”--></ref>
 
응우옌 왕조가 무너진 뒤 베트남에서는 지속적인 독립 운동이 있었다. 1885년 관군이 프랑스군에 패하자 응우옌 왕조의 관원이었던 [[쯔엉딘]](Trương Định)은 의병을 일으켜 싸웠다. 그는 수 차례 프랑스군에게 승리를 거두기도 하였지만, 결국 수세에 몰려 자결하였다.<ref>Nguyen, Thanh Thi (1992). The French conquest of Cochinchina, 1858–1862.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pp. 432-434</ref> 무장투쟁이 실패로 돌아 간 뒤에는 문신들에 의한 근왕운동이 있었고, 근왕운동이 실패한 뒤에도 [[판보이쩌우]]와 같은 [[민족주의|민족주의자]]들이 항불 독립운동을 지속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프랑스는 자국의 방어를 위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있던 군대를 송환하였으며, 이 공백기를 틈타 일본군이 베트남을 점령하였다.<ref>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1997년, {{ISBN |89-7696-230-3}}, 147-178쪽. - 1939년 [[중일 전쟁]] 작전의 일환으로 베트남에 군대를 보내기 시작한 일본군은 1941년 7월 베트남에 육군 제25군을 주둔시켜 점령지로 삼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의 의도를 간파한 미국은 자국내 일본 자산을 동결하였고, 결국 일본의 기습 공격으로 태평양 전쟁이 벌어지게 된다.</ref>
 
1930년 [[호찌민]]이 결성한 [[베트남 공산당]]과 1941년 결성된 [[비엣민]]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독립을 위해 무장 투쟁을 하고 있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 제국]]의 점령군과 싸웠다.<ref name="양승윤"/><!--1930년 창당된 인도챠이나공산당을 중심으로 한 베트남독립동맹회가 결성되고 호치민(胡志明: Ho Chi Minh)을 수반으로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인도챠이나공산당은 동맹국과의 협조 하에 반일항쟁을 전개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동안 호찌민은 비엣민에 대한 [[중화민국]]의 [[중국 국민당]] 정부와 [[미국]]의 승인을 얻어내었다. 미국의 [[전략사무국]]은 일본에 대항하는 비엣민을 지원하였으나 1945년 프랑스 측이 비엣민이 공산주의 조직이라고 문제를 제기하자 지원을 중단하였다.<ref>장덕환, 《신동북아질서의제문제》, 법영사, 2004년, {{ISBN |89-7032-185-3}} , 236쪽</ref>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233번째 줄:
 
[[파일:French indochina 1953 12 1.png|thumb|left|매복 중인 프랑스 군인. 1952년]]
[[호찌민]]은 [[1945년]] [[9월 2일]] 일본이 항복문서에 조인한 날에 맞추어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세우고 독립을 선언하였다. 호찌민은 [[베트남 독립 선언]]의 첫머리에서 [[미국 독립 선언]]의 구절을 차용하여 [[천부인권]]을 선언하였다. 또한, 미국의 [[전략사무국]] 책임자로서 1945년 4월부터 대일 전쟁을 함께 하였던 [[아르키메데스 페티]] 소령을 귀빈석에 초대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41쪽</ref> 호찌민은 [[트루먼 독트린]]에 입각하여 미국이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승인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베트남 전쟁과 관련된 미국 국방부의 비밀 보고서인 《[[펜타곤 페이퍼]]》에서는 “1945년 말에서 1946년 말까지 프랑스와 베트남이 소강상태를 보일 때 호찌민은 백악관에 정부의 승인을 요청하는 전문을 계속하여 보냈다.…… 하지만, 호찌민은 아무런 회신을 받지 못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43쪽</ref>
 
한편,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내세워 [[베트남국]]을 세웠고<ref name="양승윤"/>, 결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프랑스 사이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일어났다.<ref name="문정인">문정인, 《남북한 정치갈등과 통일》, 오름, 2002년, {{ISBN |89-7778-154-X}}, 253-254쪽</ref> 8년간 계속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1954년 5월 7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가 궤멸적인 패배를 맞아 종결되었고<ref>김흥식, 《세상의 모든 지식》, 서해문집, 2012년, {{ISBN |89-7483-317-4}}, 76-81쪽</ref> 1954년 4월 26일부터 7월 21일까지 열린 [[제네바 협정 (1954년)|제네바 협정]]을 통해 평화협정을 맺게 되었다. 제네바 협정 의장국이었던 영국의 외무장관은 "회의 최종 선언"을 발표하여 통일된 베트남을 수립하기 위해 1956년 7월 이내에 보통선거를 진행한다고 규정하였다. 이는 [[한반도 분단]] 상황에서 1947년 11월 14일 유엔이 의결하였던 총선거 방식을 준용한 것이다.<ref>[http://avalon.law.yale.edu/20th_century/inch022.asp Indochina - Midway in the Geneva Conference: Address by the Secretary of State, May 7,1954], The Avalon Project, Yale Law School</ref>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후 정전 협정의 준수를 감시 하기 위해 [[캐나다]], [[인도]], [[폴란드]]로 구성된 [[국제 조정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하지만, 캐나다는 사실상 미국이 원하는 대로 활동하였다.<ref name="books.google.com">{{서적 인용|author1=Edelgard Elsbeth Mahant|author2=Graeme S. Mount|제목=Invisible and inaudible in Washington: American policies toward Canada|url=http://books.google.com/books?id=RNdDi0cvn3YC|year=1999|publisher=UBC Press|isbn=978-0-7748-0703-6|pages=[http://books.google.com.ph/books?id=RNdDi0cvn3YC&pg=PA50 50]}}</ref>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를 지원했던 미국은 프랑스가 물러난 뒤 공산화 된 중국을 견제할 전략적 요충지로서 베트남을 바라보았고,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반공 정부가 세워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242번째 줄:
{{참조|베트남 공화국|응오딘지엠}}
[[파일:Gen-commons.jpg|thumb|right|제네바 협정. 1954년]]
1954년 5월 미국은 남베트남에 대한 경제 원조 계획을 발표하였고, 12월 23일에는 미국, 프랑스, 남베트남 간의 상호 방위 조약을 추진하였다. 당시 미국은 [[냉전]]에 의한 [[소련]]과의 대립 속에서 베트남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미국의 군사 보호는 베트남 남북 모두의 군사 동맹 가입을 제한한 제네바 협약을 어긴 것일뿐만 아니라, 제국주의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려는 베트남인들의 의사에도 반하는 것이었다.<ref>임영태, 《인류이야기 현대편 2》, 아이필드, 2004년, {{ISBN |89-89938-53-8}}, 176쪽</ref>
 
당시 바오 다이의 베트남국은 이미 국정 운영능력을 상실하여 민심 이반이 극에 달해 있었다. 1955년 1월 미국은 군사고문단을 파견하면서 새로운 정권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응오딘지엠]]을 지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바오 다이는 왕위를 내줄 생각이 없었고 미국과 갈등을 빚기 시작하였다.<ref name="문정인"/>
 
한편, 1955년 6월 6일 북베트남의 호찌민 정부는 제네바 협정의 규정에 따라 베트남 통일 정부 구성을 위한 선거를 실시하기 위한 협의를 촉구하였다. 그러나, 6월 28일 미국의 국무장관 덜레스는 적당한 전제 조건 없이는 투표를 할 수 없다고 거부하였다.<ref>김기태, 〈베트남의 분열과 통일〉, 《역사상의 분열과 재통일》, 일조각, 1997년, {{ISBN |89-337-0033-1}}</ref> 결국 미국은 1955년 10월 23일 남베트남 지역의 국민 투표를 실시하였다. 바오 다이의 베트남국에 염증을 느끼고 있던 남베트남 사람들은 왕국의 폐지와 공화국의 수립을 묻는 국민 투표를 환영하였다. 남베트남에서 45만 명의 유권자가 참가하였고 사이공에서는 98.2%의 높은 투표율로 60만 5025표가 등록되었다. 선거 이후 10월 26일 바오 다이가 폐위되고 응오딘지엠을 대통령으로 하는 [[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남베트남인들은 새로운 정부를 지지하고 기대하였으나, 1년 후 지엠 정권의 부패와 실정에 실망하였고 반정부 시위가 잇따르게 되었다.<ref>이영희, 《전환시대의 논리》, 창작과비평사, 2006년(초판 1974년), {{ISBN |89-364-1004-0}}, 417쪽</ref> 이로써 베트남의 남북 분단은 고착화 되게 되었다.
 
베트남인들은 응오딘지엠 정권을 미국의 [[괴뢰 정권]]으로 인식하였고, 원조에 의존하는 남베트남의 경제는 정부의 부패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정은 농민들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지하는 요인이 되어 남베트남에서는 크고 작은 시위와 무장 봉기가 그치지 않았다. 한편, 호찌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공산주의 정치에 불안을 느낀 북부 지역의 로마 가톨릭 신자들 약 80만-100만 명이 남부로 이주하여 왔고 이들에 대해 편향적인 종교 정책을 취한 응오딘지엠 정권은 [[불교]]와 극심한 갈등을 겪게 되었다.
260번째 줄:
 
=== 지엠 정권의 독재 ===
[[응오딘지엠]]은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이자 철저한 [[반공주의|반공주의자]]였다. 역사학자 루도안후인(Luu Doan Huynh)은 “지엠은 편협하고 과격한 민족주의를 앞세운 독재 정권이었고 친족들로 권좌를 채우는 [[네포티즘]]을 펼쳤다”고 평가하고 있다.<ref>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200–201.</ref> 지엠은 동생 [[응오딘누]]를 수석보좌관 겸 비밀경찰 책임자로 세웠고, 독신이었던 지엠은 국가 의전에서 누의 아내 [[마담 누]]를 [[퍼스트 레이디]]로 삼았으며, 마담 누의 아버지는 미국 대사로, 어머니는 유엔 참관인으로 보냈다. 자신의 친형은 [[후에]]의 [[추기경]]으로, 다른 2명의 형제들은 지방의 권력자로 임명하였으며, 사촌과 일가 친척 역시 주요 요직에 등용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111쪽</ref>
 
응오딘지엠은 부유한 가톨릭 엘리트였고 식민지 정부의 관리였다. 이 때문에 다수의 베트남인들은 지엠을 프랑스 지배의 연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게다가 베트남인 대다수가 믿고 있던 [[불교]]를 탄압하고 베트남을 가톨릭 국가로 만들려 한 지엠 정권의 종교 정책은 많은 반감을 불러 일으켰다.
 
1955년 초 여름 지엠은 반공 정책을 강화하여 공산주의자뿐만 아니라 다른 반정부인사들을 체포, 구금하고 고문하거나 처형하였다. 지엠은 정권에 반대하는 어떠한 움직임도 모두 공산주의로 몰았으며, 1956년 8월 다수의 반대 인사들이 [[사형]]당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mtholyoke.edu/acad/intrel/pentagon/pent14.htm |제목=The Pentagon Papers Gravel Edition Volume 1, Chapter 5, "Origins of the Insurgency in South Vietnam, 1954–1960" |publisher=Mtholyoke.edu |accessdate=31 October 2011}}</ref> 디엠 정권의 [[정치적 박해]]로 죽임을 당한 사람은 1955년에서 1957년 사이 12,000 명에 달했고, 1958년까지 [[정치범]]으로 감옥에 수감된 사람의 수는 약 4만명이나 되었다. 디엠 정권의 반공을 앞세운 독재는 민심 이반을 불러 대다수의 베트남인들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ref>''Anatomy of a War'' by Gabriel Kolko, {{ISBN |1-56584-218-9}}, p. 89.</ref>
 
응오딘지엠의 가장 큰 실책 가운데 하나는 토지 개혁 실패였다. 북쪽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공포정치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비엣민]] 시기 협력의 대상이었던 민족주의적 지주까지 예외 없이 토지개혁을 단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지엠 정권은 별다른 토지 개혁을 하지 않아 농민들의 이반을 자초하였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농업지역인 [[메콩 강 삼각주]]를 비롯한 농지는 프랑스 식민지 시기 이래 지역 인구의 2%인 지주가 전체 토지의 45%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엠 정권이 실시한 토지 개혁은 매우 미약한 것이었다. 1956년 미국의 압력으로 발표한 토지 개혁은 지주의 토지 보유 면적을 1.15 Km²로 제한하였으나, 지주들이 가족에게 토지를 이양하는 것을 허용하여 사실상 토지 개혁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었다. 결국, 남베트남의 토지개혁으로 이익을 본 소작인은 10%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와 같은 남북의 토지개혁 차이는 농민들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지하는 이유가 되었다.<ref name="WarBegan">[http://www.mtholyoke.edu/acad/intrel/pentagon/pent14.htm Origins of the Insurgency in South Vietnam, 1954–1960], The Pentagon Papers (Gravel Edition), Volume 1, Chapter 5, (Boston: Beacon Press, 1971), Section 3, pp. 314–346; International Relations Department, Mount Holyoke College.</ref>
 
1957년 5월 응오딘지엠은 미국을 방문하였다.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아이젠하워]]는 응오딘지엠과 함께 [[뉴욕 시]]에서 퍼레이드를 열었고 지엠 정권에 대해 계속하여 지지하겠다고 약속하였다. 공식적인 환영과 달리, 당시 [[미국의 국무장관|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는 사적인 자리에서 지엠 정권의 악행을 알고 있지만 대안이 없기 때문에 계속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말하였다.<ref name="Karnow p. 230">{{harvnb|Karnow|1991|p=230}}</ref><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108쪽</ref> 훗날 당시 [[미국의 국방부 장관]]이었던 [[로버트 맥나마라]]는 베트남 공화국의 새로운 후원자인 미국은 베트남 문화에 대해 무지한 상태에서 간신히 몇 마디 말과 역사가 오랜 나라라는 정도만 알고 있었다고 기록하였다.<ref name="McNamara 377">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377–79.</ref>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영화 한 편 없는 상태였고, 응오딘지엠은 서구의 방법을 그대로 가져와 베트남 문제를 풀려는 것은 환상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ref name="McNamara 377"/>
 
=== 불교계의 저항 ===
277번째 줄:
 
=== 남부 내의 무력 충돌 ===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제네바 협정에 따른 총선거가 열리면, “아마도 인구의 80 퍼센트 가량이 공산주의자 호찌민에게 투표하였을 것”이라고 기록하였다.<ref>Khong, Yuen Foong, ''Analogies at War: Korea, Munich, Dien Bien Phu, and the Vietnam Decisions of 1965'',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illustrated edition, {{ISBN |0-691-02535-5}}, p. 237</ref> 지엠 정권은 더욱 반대 세력을 탄압하였고 그 때문에 더욱 지지를 잃고 있었다.
 
지엠 정권은 1954년부터 1960년 사이 체포한 5만여 명의 사람들을 정치범 수용소에 구금하였다. 1959년 영국의 학자 PJ 허니는 정치범 수용소를 방문하여 구금된 사람들과 인터뷰를 한 뒤 “(정부의) 탄압을 받고 있는 이들의 주장 대부분은 공산주의나 용공 세력의 것이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기록하였다.<ref name="WarBegan" />
288번째 줄:
{{본문|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파일:FNL Flag.svg|thumb]]
1960년 12월 20일 떠이닝 성 떤비엔 현 떤럽 사에서 각 계급, 종교, 민족 대표들로 구성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vie|v=Mặt Trận Dân Tộc Giải Phóng Miền Nam Việt Nam |hn=南越南民族解放戰線}})이 결성되었다. 결성 대회는 선언과 10개항의 행동목표를 통과시켰는데, 주 내용은 제국주의 미국과 응오딘지엠 정권을 타도하여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의 남부를 세워 통일된 조국을 세우자는 것이었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62년 열린 전체회의에서도 평화지역 유지, 중립정책시행,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주장하였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지하는 세력은 1961년 33개 국가 10개 국제조직에서 1964년 63개 국가 400개 국제조직으로 늘어났다.<ref name="송정남489">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 489쪽</ref>
 
훗날 베트콩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것과는 달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공산주의자가 아닌 지엠 정권에 반대하는 모든 활동가들도 망라되어있었다. 《[[펜타곤 페이퍼]]》는 민족해방전선이 “미국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고 토지개혁을 실현하며 베트남 정부의 민주화를 실현하여 [[연합 정부]] 구성을 통한 베트남을 통일하는 것을 주로 강조하고 있다”고 기록하였다. 민족해방전선은 조직 보호를 위해 [[비밀결사]]로 운영되었다.<ref name="WarBegan" />
294번째 줄:
1961년 2월 15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각지에 여러 단위로 나뉘어 있던 전투 부대를 남베트남해방군으로 통합하였다. 같은 해 9월 2일 남베트남해방군 보병 1대대가 설립되었다.<ref name="송정남489" />
 
베트남 공산주의자(Vietnamese Communist)의 경멸 섞인 약자인 베트콩(Việt Cộng, 비엣꼼)이란 낱말은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결성되기 이전인 1958년 1월 응오딘지엠이 처음 사용하였다. 지엠은 사이공 북쪽 농장지역을 공격한 농민 게릴라를 베트콩이라 비난하였는데, 당시 지엠은 자신을 반대하는 세력을 모두 공산주의자로 규정하고 있었다. 훗날 남베트남해방군이 게릴라전을 시작하자 지엠은 이들 역시 베트콩이라 불렀는데, 이는 당시까지 이들을 [[비엣민]]이라 부르던 여론을 돌리기 위한 것이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114쪽</ref>
 
==== 북베트남의 개입 ====
306번째 줄:
1956년 3월 남베트남의 공산주의 지도자 [[레주언]](Lê Duẩn)은 하노이의 정치국에 “남부로 가는 길”이란 제목의 무장 투쟁계획을 보냈다. 이 계획에 대해 소련과 중국은 모두 반대하였고, 레주언의 계획은 거부되었다.<ref name="Ang16"/> 그러나, 제임스 올슨과 랜디 로버츠는 《어디에서 도미노가 무너졌는가:미국과 베트남 1945년 - 1995년》(Where the Domino Fell: America and Vietnam 1945-1995)에서 북베트남의 지도자들이 1956년 12월 시험적인 무장 투쟁 지원을 승인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ref>{{저널 인용|last=Olson |first=James |coauthor=Randy Roberts |제목= Where the Domino Fell: America and Vietnam, 1945–1990| pages= 67 |publisher=St. Martin’s Press |location=New York |year= 1991}} This decision was made at the 11th Plenary Session of the Lao Động Central Committee.</ref>
 
1959년 1월 베트남 공산당은 하노이에서 제15차 전체회의를 개최하였다. 전체회의는 결의를 통해 “남베트남에서 혁명 발전의 근본적인 길은 무장투쟁의 길이다”라고 표명하였지만, 정치투쟁을 통한 승리의 희망도 버리지는 않았다. 호찌민은 미국의 개입을 불러들일 무장 투쟁에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ref>윌리엄 J. 듀이커, 정영목 역, 《호치민 평전》, 푸른숲, 2003년, {{ISBN |89-7184-375-6}}, 754-747쪽</ref> 베트남 공산당은 [[레주언]]을 제1서기로 선출하였으며〈결의안 15〉를 통해 남베트남의 무장 투쟁을 “인민 전쟁”으로 규정하고<ref name="HistPlace">{{웹 인용 |제목= The History Place&nbsp;— Vietnam War 1945–1960 |url= http://www.historyplace.com/unitedstates/vietnam/index-1945.html |accessdate =11 June 2008}}</ref>, 5월부터 [[호찌민 통로]]의 정비와 향상을 위한 [[559 단]](Đoàn 559)을 발족하였다. 559단은 6개월에 걸쳐 [[라오스]] 산악지역에 통로를 개척하였다. 호찌민 통로가 정비된 첫 해에 500여명의 “재편성” 인원이 남부로 향했다.<ref name="Victory-xi">''Victory in Vietnam'', p. xi.</ref> 호찌민 루트를 통한 군대의 첫 이동은 1959년 8월에 있었다.<ref name="Prados">Prados, John, (2006) "The Road South: The Ho Chi Minh Trail", ''Rolling Thunder in a Gentle Land'', editor By Andrew A. Wiest, Osprey Publishing, {{ISBN |1-84603-020-X}}.</ref>
 
북베트남은 1959년부터 1961년까지 3만명의 병력을 라오스로 보내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지나는 호찌민 통로를 만들었다.<ref>''The Economist'', 26 February 1983.</ref> 약 4만여명의 병력이 1961년에서 1963년까지 이 통로를 통해 이동하였다.<ref name="Ang16"/> 1964년에는 [[베트남 인민군]] 1만여명이 호찌민 루트를 통해 남베트남을 공격하였고, 1965년에는 10만명에 달했다.<ref>''Washington Post'', 23 April 1985.</ref>
316번째 줄: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존 F.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었다. 전임 대통령 아이젠하워가 베트남과 라오스, 유럽, 라틴아메리카의 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그가 보는 것보다 아시아(의 문제)는 더 크다.”고 경고하였지만<ref name="Karnow p. 264">{{harvnb|Karnow|1991|p=264}}</ref>, 케네디는 “얼마를 지불하든, 져야할 짐이 얼마이든, 얼마나 어려운 일이 닥치든, 모든 친구를 지원하고 자유의 승리와 생존을 확약한다.”는 야심만만한 공약을 발표하였다.<ref>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le.edu/20th_century/kennedy.asp Inaugural Address of John F. Kennedy].''</ref> 1961년 6월 케네디는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수상과 [[빈 회동]]을 갖고 베트남 문제를 논의하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다.
 
케네디 정부는 [[트루먼]] 정부와 아이젠하워 정부 이래 계속 된 냉전을 바탕으로 한 외교 정책의 핵심 사항들을 유지하였지만 여러 방면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특히, 1961년 미국 정부는 [[피그스 만 침공]]의 실패, [[베를린 장벽]]의 형성, [[파테트라오]] 결성 등의 삼면 위기 대처에 실패하였다.<ref name="Karnow p. 265">{{harvnb|Karnow|1991|p=265}} – suggested that "Kennedy sidestepped Laos, whose rugged terrain was no battleground for American soldiers."</ref> 이러한 실패 때문에 케네디는 공산주의 확산을 더 이상 막지 못할 경우 미국에 대한 평판과 동맹들의 신뢰가 낮아질 것이라 여겼다. 케네디는 베트남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래 위에 선을 긋기”로 결심하였다. 케네디는 니키타 흐루쇼프를 만난 빈 회동에서 돌아온 직후, [[뉴욕 타임스]]의 제임스 레스턴에게 “지금 우리는 우리 힘이 신뢰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 문제를 갖고 있고, 베트남이 바로 그런 곳이다.”라고 말하였다.<ref>[http://mcadams.posc.mu.edu/goldzwig.htm The case of John F. Kennedy and Vietnam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ref><ref>Mann, Robert. ''A Grand Delusion'', Basic Books, 2002.</ref> 케네디 정부는 전임 아이젠하워 정부가 베트남의 문제를 남북간 대결로 몰고가려 한 “단순화 전략”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활동으로 실패하였다고 보고, 전쟁의 상황에 따라 선전포고 없는 대게릴라 전쟁부터 시작하여 국지전, 통상전, 전술 핵무기 사용으로 전쟁 수위를 끌어 올리는 “유동성 대응 전략”으로 전략을 수정하였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 491쪽</ref>
 
케네디의 남베트남 정책은 지엠의 군대가 스스로 게릴라를 완전히 섬멸하여야 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었다. 케네디는 미군 전투 부대의 파병에 부정적이었는데, “큰 규모의 파병은 군사적 충돌을 일으킬 수 밖에 없고, 결국 정치적으로 해결은 어려워져 장기적으로는 군사 점령을 지속하게”될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ref>U.S. Department of Defense, ''U.S.-Vietnam Relations'', vol. 3, pp. 1–2.</ref> 그러나, 남베트남 군대는 형편없는 지경이었다. 무능한 지휘부, 부패, 그리고 정치적 거래가 남베트남 군과 정부의 핵심에서부터 만연해 있었다. 1961년 5월, 부통령 [[린던 B. 존슨]]은 사이공을 방문한 자리에서 “지엠은 아시아의 윈스턴 처칠”이라 추켜세웠다.<ref name="Karnow p. 267">{{harvnb|Karnow|1991|p=267}}</ref> 왜 그런 말을 했냐는 질문에 그는 “거기에 우리 편은 지엠 뿐”이라고 답했다.<ref name="Karnow p. 230"/>
338번째 줄:
1963년 5월 8일, [[석가탄신일]]을 맞아 [[후에]]에서 [[불교]] 신자들이 [[국제불교기]]를 들고 지엠정권의 불교 탄압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남베트남군이 군중들을 향해 총을 쏘았고, 9명이 사망하였다. [[후에 펏단 총격 사건]]으로 지엠 정권에 대한 불교계의 분노가 폭발하였다. 지엠 정권은 애초부터 가톨릭에 우호적인 종교정책을 펼치고 있었고, 특히 지엠의 형 [[피에르 마르탱 응오딘툭]](Pierre Martin Ngô Đình Thục)은 후에의 가톨릭 대주교였기 때문에, 후에에서는 종교와 국가가 분리되지 않는 상황이었다. 지엠 정권 기간 동안 후에에서는 가톨릭에 의해 사찰과 석탑이 파괴되는 일이 빈번하였고 석가탄신일을 기념하는 행사 역시 억압받았다. 총격 사건이 일어난 후 불교 지도자들은 책임자의 처벌을 요구하였지만 지엠은 이를 거부하였다.
 
1963년 6월 11일 베트남의 승려 [[틱꽝득]]이 지엠 정권의 불교 탄압에 항의하여 분신하였다. 그러나, 지엠의 동생 [[응오딘누]]의 부인이자 독신이었던 지엠을 위해 [[퍼스트 레이디]]의 역할을 하였던 [[마담 누]]는 이를 “땡중의 바베큐 쇼”라고 비하하였고 이로 인해 불교 신자들은 지엠 정권에 저항하게 되었다.<ref>Langguth, A. J. (2000). Our Vietnam: the war, 1954–1975. New York City, New York: Simon & Schuster. {{ISBN |0-684-81202-9}}. p.216</ref> 8월 21일, 지엠의 동생 [[응오딘니우]](Ngô Ðình Nhu)의 수하인 [[레꾸앙뚱]](Lê Quang Tung) 대령이 이끄는 [[베트남공화국 특전부대]]는 수 백 군데의 사찰을 습격하여 석탑을 파괴하였다.
 
미국은 1963년 중반부터 지엠 정권의 종교 정책 변화를 요구하였다. 미국 국방부가 지엠 정권을 계속 지지하는 동안 [[미국 국무부]]는 쿠데타도 용인할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1963년 8월 23일 미국 국무부는 주베트남 미국 대사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Henry Cabot Lodge, Jr)에게 [[전문 243]]을 보내 불교에 대한 탄압과 응오 일가 통치의 핵심인 비밀 경찰과 특수부대를 장악하고 있는 니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지시하였다.
348번째 줄:
미국 군사고문단은 남베트남군의 모든 분야에 투입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내전의 본질에 대해 완전히 무지하였다. 남베트남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게릴라 사이의 내전은 본질적으로 정치 권력 투쟁으로 군사 교전은 부차적인 것이었다.<ref name="Demma">Demma, Vincent H. "The U.S. Army in Vietnam." ''American Military History'' (1989) the offici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Available [http://www.ibiblio.org/pub/academic/history/marshall/military/vietnam/short.history/chap_28.txt online].</ref> 케네디 정부는 남베트남의 안정을 확보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도록 미군의 관점을 재조정하려고 하였고, 이를 통해 주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미군 지도부는 군사 고문이 베트남 정규군 훈련 이외의 업무를 담당하는 것에 거부감을 보였다.<ref>Douglas Blaufarb. ''The Counterinsurgency Era.'' New York, New York. Free Press, 1977, p. 119.</ref> 주베트남 미군사령부의 폴 D. 하킨스 장군은 1963년 크리스마스까지는 완벽히 승리할 것이라고 호언 장담하였다.<ref>George C. Herring. ''America's Longest War: The United States and Vietnam, 1950–1975.'' Boston, Massachusetts McGraw Hill, 1986, p. 103.</ref> 그러나, 미국 중앙정보부는 “베트콩은 지방의 상당한 지역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으며 그 영역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라고 조금은 낙관적이지 않은 전망을 하였다.<ref>''Foreign Relation of the United States, Vietnam, 1961–1963.''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1, vol. 4., p. 707.</ref>
 
준군사조직인 [[미국 중앙정보국 특무부]]는 라오스의 [[흐몽족]]을 훈련시켜 베트남에 투입하였다. 이들은 원래 라오스의 공산주의 단체인 [[파테트라오]]에 대항할 목적으로 훈련되었다.<ref>U.S. Special Forces: A Guide to America's Special Operations Units : the World's Most Elite Fighting Force, By Samuel A. Southworth, Stephen Tanner, Published by Da Capo Press, 2002, {{ISBN |978-0-306-81165-4}}.</ref> 미국 중앙정보국은 또한 [[피닉스 계획]]을 운영하고 특수작전 수행을 위해 [[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연구 관찰 그룹]](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 Studies and Observations Group, MAC-V SOG)을 조직하였지만 성공적이지는 않았다.<ref>Shooting at the Moon by Roger Warner – The history of CIA/IAD'S 15-year involvement in conducting the secret war in Laos, 1960–1975, and the career of CIA PMCO (paramilitary case officer) Bill Lair.</ref>
 
== 1963년~1969년:린든 정부의 확전 ==
371번째 줄:
[[파일:Vietcongsuspect.jpg|right|thumb|미국 해병대 3사단 1 연대 소속의 해병들이 [[다낭 공군 기지]] 인근에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대원이라 여겨진 사람을 압송하고 있다.]]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3단계로 격상시켰다. 1965년 3월 2일, [[미국 해병대]]는 전략 요충지인 [[쁠래이꾸]]를 공격하였다.<ref name="DennisSimon">{{웹 인용|last =Simon |first =Dennis M. |제목 =The War in Vietnam,1965–1968 |date = August 2002|url =http://faculty.smu.edu/dsimon/Change-Viet2.html |accessdate =7 May 2009}}</ref> 소련 수상 [[알렉세이 코시긴]]이 북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동안 전개된 [[플래밍 다트 작전]] 과, [[롤링 선더 작전]], 그리고 [[아크 라이트 작전]]이 진행되었다.<ref>Nalty 1998, pp. 97, 261.</ref> 이후 3년간 지속된 폭격의 목표는 북베트남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북베트남의 방공망과 공업시설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미국은 이를 통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사기를 꺾고자 하였다.<ref name = "Tilford 89">Earl L. Tilford, ''Setup: What the Air Force did in Vietnam and Why''. Maxwell Air Force Base AL: Air University Press, 1991, p. 89.</ref> 1965년 3월부터 1968년 11월까지 진행된 “롤링 선더” 폭격으로 북베트남에는 일백만 톤에 달하는 폭탄과 미사일, 로켓이 퍼부어졌다.<ref name="Karnow p. 468">{{harvnb|Karnow|1991|p=468}}</ref> 베트남 전쟁 전체 기간에 미군이 사용한 폭탄은 모두 700 만 톤에 달한다.<ref>조엘 안드레아스, 평화네트워크 역, 《전쟁중독, 미국이 군사주의를 버리지 못하는 진정한 이유》, 창해, {{ISBN |89-7919-427-7}}, 24쪽</ref>
 
폭격은 베트남을 벗어난 인근 국가에도 행해졌다. [[코만도 헌트 작전]]과 같은 공군 작전은 [[호찌민 통로]]를 파괴하기 위해 캄보디아와 라오스지역을 폭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폭격에도 불구하고 북베트남은 호찌민 통로를 통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계속하여 지원하였다. 작전에 참가한 미군 장교는 “이 전쟁은 정치적 전쟁이다. 이것(폭격)은 살인과 다르지 않다. 차라리 칼이 최선의 무기이지 비행기는 최악의 무기일 뿐이다.”라고 회의적인 기록을 남겼다.<ref name="Courtwright p. 210"/> 그러나, [[미국 공군]] 참모총장 커티스 레메이는 베트남 전역에 대한 폭격을 지지하였다. 그는 “우리는 폭격으로 베트남을 석기시대로 돌려 놓을 것”이라고 말했다.<ref>[http://www.giga-usa.com/quotes/authors/curtis_e_lemay_a001.htm Gen. Curtis E LeMay].</ref>
425번째 줄:
 
[[파일:Hue1968.jpg|thumb|후에에서 전투 중인 미해병대]]
[[구정 대공세]] 초기 미군과 남베트남군은 고전을 면치 못하였고 상당 수의 지역에서 퇴각하여야 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막강한 화력으로 응전하여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공격을 막아내었고, 이 과정에서 특히 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전투원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응우옌 왕조 시절의 수도였던 [[후에]]는 한 때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베트남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나 미군은 도시 전체의 80%가 폐허로 변하는 포격을 퍼부으며 전투를 벌여 후에를 탈환하였다.<ref>''Anatomy of a War'' by [[Gabriel Kolko]] {{ISBN |1-56584-218-9}} pp. 308–309.</ref> [[후에 전투]] 중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 측이 후에에 살고 있던 비전투원을 학살하는 일이 벌어졌다. [[후에 학살]]에서 희생된 민간인의 수는 수 천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전쟁 후 북베트남은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 의한 민간인 살해를 인정하였다.
 
북베트남과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구정 대공세를 통해 잠시나마 남베트남의 주요 도시들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결국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다. 그러나, 구정 대공세는 그 동안 전쟁 승리를 낙관하였던 미국 내 여론에 큰 충격을 주었다.
456번째 줄:
=== 호찌민의 죽음 ===
[[파일:Osawatomie n°2 Front page.JPG|thumb|미국 좌파 단체가 발행한 호외, 호찌민의 유언시가 영어로 번역되어 적혀있다.]]
1969년 9월 2일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찌민]]이 사망하였다. 호찌민은 유언으로 당의 단결과 전쟁 후 국토 재건을 당부하였다. 일생을 프랑스, 일본, 미국과 상대로 싸웠던 호찌민은 베트남 사람들에게 공산주의자이기 이전에 민족주의자로 알려져 있었다. 남베트남 정부의 지도자였으며 호찌민을 상대로 싸웠고 한때 남베트남의 부통령을 지낸 [[응우옌까오끼]]는 전쟁 후 “그는 베트남 인민들에게 존경 그 자체였다. 그는 프랑스는 물론 다른 외침에 대항하는 투쟁에 언제나 앞장섰다. 내가 어려서 철이 없었을 때, 대부분의 베트남 사람들은 호찌민을 대단한 애국자로 생각했다. 나도 그를 대단히 칭송했었다.” 고 말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446쪽</ref> 미국의 [[CBS]]는 광고없이 7분간 호찌민의 사망을 해드라인 뉴스로 보도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444쪽</ref> 1969년 9월 8일 하노이 바딘 광장에서 10만명이 운집한 가운데 호찌민의 장례식이 치러졌다.<ref>윌리엄 J. 듀이커, 정영목 역, 《호치민 평전》, 푸른숲, 2003년, {{ISBN |89-7184-375-6}}, 819쪽</ref>
 
=== 캄보디아 라오스 비밀 폭격 ===
501번째 줄:
 
[[파일:B-52D(061127-F-1234S-017).jpg|thumb|left|[[라인베커 II 작전]] 중인 미국 공군, 1972년 12월]]
닉슨은 남베트남에게 여전히 지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고 북베트남으로부터 유리한 협정 조건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1972년 12월 18일부터 29일까지 [[하노이]]와 [[하이퐁]]을 폭격하는 [[라인베커 II 작전]]을 실행하였다. 무차별 폭격 작전에 사용된 폭탄은 총 12만 톤으로 히로시마 원자 폭탄의 5배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이중 4만 톤이 하노이 시내에 집중되었다. 이 폭격으로 북베트남의 경제와 공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같은 시기 닉슨은 남베트남의 티에우를 압박하여 남북 양자간의 평화 유지와 미군 철수를 골자로 하는 협정 조건을 승인하도록 하였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 498쪽</ref>
 
1973년 1월 15일 닉슨은 북베트남에 대한 공격을 중지한다고 발표하였고, 1월 27일 “종전과 베트남의 평화 복원에 대한” [[파리 협정 (1973년)|파리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을 공식적으로 종결하였다. 평화협정이 체결된 뒤 베트남 남북 정부는 휴전하였고 미군 전쟁포로가 석방되었다. 파리 평화 협정은 제네바 협정과 같이 남북 양측의 영토를 보장하고 선거를 통하여 통일 정부를 구성하도록 규정하였으며, 60일 안에 모든 미군이 철군하도록 하였다. 피터 처치는 “이 조약에 따라 이행된 것은 미군의 완전한 철수 밖에 없었다”고 평하였다.<ref>Peter Church, ed. ''A Short History of South-East Asia.'' Singapore. John Wiley & Sons, 2006, pp. 193–194.</ref>
540번째 줄:
 
=== 275 작전 ===
1975년 3월 10일 중 장군은 탱크와 대형 곡사 화기를 동원하여 중부 고원지역을 공격하는 [[275 작전]]을 시작하였다. 이 작전의 목표는 [[닥락 성]]의 [[부온마투옷]]이었다. 중 장군은 작전이 성공하면 [[플레이쿠]]를 공격하여 1976년까지 장기적으로 전역 작전을 펼칠 계획이었다. 3월 11일 남베트남군은 별다른 저항도 없이 패퇴하였다. 북베트남은 다시 한 번 스스로도 놀란 신속한 승리를 거두었다. 중 장군은 곧바로 플레이쿠를 공격하였으며 연이어 [[꼰뚬 성]]의 성도까지 진군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573-576쪽</ref>
 
남베트남군의 장군 출신인 남베트남의 대통령 [[응우옌반티에우]]는 남베트남군을 일시적으로 후퇴시켜 재집결한 뒤 반격하는 작전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남베트남군은 이미 통제불능의 상태에 있었다. 3월 20일 티에우는 이전의 작전을 취소하고 [[후에]]를 사수하도록 명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긴급한 작전 변경은 혼란만을 더 키웠다. 3월 22일 북베트남군은 후에를 포위하였고, 3월 30일 10만명의 남베트남군은 항복하였다. 후에에서 승리한 북베트남군은 곧이어 [[다낭]]으로 개선 행진을 하였다. 이로써 베트남 중부는 북베트남의 것이 되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577-578쪽</ref>
 
=== 최종 공격 ===
남베트남의 절반 이상을 얻게 되자 북베트남 정치국은 중 장군에게 사이공을 공격하라는 최종 공격 명령을 내렸다. [[호찌민 작전]]이라고 불린 이 작전은 5월 1일 이전에 사이공을 함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5월 이후 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남베트남군이 전열을 재정비하게 될 경우 작전에 어려움이 닥칠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북베트남군은 빠른 속도로 [[냐짱]], [[깜란]], [[달랏]]을 점령해 나갔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501-502쪽</ref>
 
남북 베트남 군대는 4월 7일 사이공 동쪽 64 Km 부근에서 [[쑤언록 전투]]를 치렀다. [[제18 보병 사단 (남베트남)|남베트남군 18사단]]은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옥쇄]]하기로 결정하고 북베트남군에 맞섰다. 그러나, 4월 20일 남베트남군 지휘부는 18사단에게 사이공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5003쪽</ref>
 
같은 날 공포에 휩쌓인 남베트남의 티에우 대통령은 미국이 남베트남을 배반하였다고 비난하였다. 티에우는 헨리 키신저 미국 국무장관에게 2년 전 자신이 파리 평화 협정에 서명하도록 종용하면서 만약의 경우 군사 지원을 약속하지 않았냐고 전문을 보냈다. 4월 25일 티에우는 [[타이완]]에 있던 [[쩐반흐엉]](Trần Văn Hương)에게 권력을 이양하고 비밀리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589쪽</ref>
 
4월 말 [[메콩 강 삼각주]] 지역에서는 명령 체계가 무너진 채 고립된 남베트남군이 여기 저기 흩어진 채 북베트남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사이공에는 수도방위군 3만명이 남아 있었지만 이미 사기는 극도로 떨어져 있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592쪽</ref>
 
=== 사이공 함락 ===
653번째 줄:
=== 미국인 ===
[[파일:Da Nang, South Vietnam...United States Navy nurse Lieutenant Commander Joan Brouilette checks the condition of Pfc.... - NARA - 558531.jpg|thumb|부상병을 간호하는 미국 간호장교. 1968년 다낭]]
베트남 전쟁에는 여군들 역시 여러 일에 참여하였다. 1963년 초 [[미국 육군 간호대]]는 나이팅게일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간호장교를 베트남에 파병하였다. 파병된 간호장교들은 대부분 군인 집안 출신의 자원자로, 로마 가톨릭이나 개신교를 믿는 중산층 백인이었다.<ref>Norman, Elizabeth M. ''[http://books.google.com/books?id=esg7mGs6nQMC&lpg=PP1&dq=Women%20at%20War%3A%20the%20Story%20of%20Fifty%20Military%20Nurses%20Who%20Served%20in%20Vietnam&pg=PP1#v=onepage&q&f=false Women at War: the Story of Fifty Military Nurses Who Served in Vietnam]''.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0. {{ISBN |978-0-8122-1317-1}} p. 7.</ref> 간호장교들은 파병전 4개월의 집중 훈련을 받고 베트남에 배치되었다.<ref>Vuic, Kara Dixon. ''[http://books.google.com/books?id=E0nypXTQ_C4C&lpg=PP1&dq=Officer%2C%20nurse%2C%20woman%3A%20the%20Army%20Nurse%20Corps%20in%20the%20Vietnam%20War&pg=PP1#v=onepage&q&f=false Officer, Nurse, Woman: the Army Nurse Corps in the Vietnam War]''. Baltimore: Johns Hopkins UP, 2010. {{ISBN |978-0-8018-9391-9}} p. 5.</ref> 의료 인력이 늘 부족했기 때문에 간호장교들은 1주일에 6일 동안 하루 12시간씩 근무를 하였다. 여성 간호장교들은 주로 후방의 기지에서 복무하였다. 미군 여성 간호장교 가운데 적군의 총격으로 사망한 사람은 1969년 6월 8일 전사한 [[샤론 레인]](Sharon Lane) [[중위]]가 유일하였다.<ref>Norman, p. 57.</ref>
 
베트남 전쟁 초기만하더라도 미군은 여군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쟁이 길어지자 미군은 많은 부분에서 여군의 복무를 받아들였다.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다수의 미국 여성들은 전쟁 기록을 정리하는 업무와 속기사로 복무하였다.<ref>Holm, Jeanne. ''Women in the Military: an Unfinished Revolution''. Novato, CA: Presidio, 1992. {{ISBN |978-0-89141-513-8}} p. 214.</ref> 그러나, 간혹 소수의 여군들이 전투 지역에 들어가는 일이 있더라도 직접 전투에 참전하는 경우는 없었다. 당시 미군은 직접 전투에 관계된 병과에 여군을 받아들일 경우 병사들 사이에 불편한 성적 긴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여군을 전투 관련 병과에 편성하지 않았다.<ref>Holm, p. 213.</ref> 1973년 당시 베트남에는 약 7,500 명의 여군이 주베트남 미군 사령부에 배속되어 있었다. 베트남에 주둔한 미군은 남성 위주의 군대 내에 여군이 함께 있는 것이 오히려 군인들의 도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ref>Holm, p. 206.</ref> 같은 해 미군은 여군의 전투 병과 배속을 허용하였다.
 
=== 베트남인 ===
664번째 줄:
나중에 배우이자 감독이 된 [[응우옌티득]]은 어려서부터 미군을 상대로 한 게릴라 전투에 참전하였다. 나중에는 득의 딸 역시 군사훈련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s://facultystaff.richmond.edu/~ebolt/history398/VietnameseWomenInTheWar.html |제목=Vietnamese Women in the War: A Review |publisher=Facultystaff.richmond.edu |accessdate=31 October 2011}}</ref>
 
하노이 출신의 여성 군의관 [[당투이쩜]](Đặng Thùy Trâm)은 하노이 의과대학을 마친 뒤 참전을 자원하여,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베트남 중부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1970년 6월 22일 미군에 의해 사살될 당시 미군 손에 들어간 일기가 2005년 뒤늦게 알려져 《당투이쩜의 일기》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어 큰 방향을 일으켰다. 대한민국에서는 《지난 밤 나는 평화를 꿈꾸었네》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ref>당투이쩜, 안경환 역, 《지난 밤 나는 평화를 꿈꾸었네》, 이룸, 2008년, {{ISBN |89-5707-402-3}}</ref>
 
== 무기 ==
{{본문|베트남 전쟁의 무기}}
공산주의 측은 중화인민공화국<ref>[http://www.militaryhistoryonline.com/20thcentury/articles/chinesesupport.aspx Chinese Support for North Vietnam during the Vietnam War: The Decisive Edge], Bob Seals, Military History Online, 23 September 2008</ref> 과 소련이 지원한<ref>Albert Parray, Military Review, [http://calldp.leavenworth.army.mil/eng_mr/txts/VOL47/00000006/art2.pdf Soviet aid to Vietnam], June 1967</ref> 무기로 무장하였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같은 게릴라 부대는 프랑스군이나 미군, 또는 남베트남군에게서 노획한 서방 무기도 사용하였다.<ref>Gordon L. Rottman, Viet Cong Fighter, Osprey Publishing (2007) p. 20-30 {{ISBN |978-1-84603-126-7}}</ref> 공산주의측의 개인 화기는 소련제 [[돌격소총]]인 [[AK-47]]이 일반적이었다.
 
미군을 비롯한 남베트남측 군대의 개인화기는 [[M16 소총]]과 [[M14 소총]]이 사용되었다. 이 소총들은 AK-47보다 가벼웠지만 총탄이 총기 내에서 걸리는 불량이 자주 발생하였다. 약실 내 탄피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탄창에서 다음 탄환이 급탄되는 경우 “방출 실패”라 불리는 고장이 일어나 탄환이 발사되지 않고 총열에 남는 고장이 일어나곤 하였다.<ref name=Reliable>{{저널 인용|author=C.H. Chivers|제목= How Reliable is the M16 Rifle?|journal=[[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date=2 November 2009|url=http://atwar.blogs.nytimes.com/2009/11/02/how-reliable-is-the-m-16-rifle/}}</ref> 의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방출 실패 불량은 가스 작동식인 M16 소총의 특성상 질 낮은 화약을 사용한 총탄은 화약 잔류물을 총신에 남겨 가스 작동 성능을 떨어뜨리는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하였고, 이의 해결을 위해 탄약이 교체되었다.<ref>{{서적 인용|author=David Maraniss|제목=They Marched Into Sunlight: War and Peace Vietnam and America October 1967|url=http://books.google.com/books?id=qftwHKSnmpkC|year=2003|publisher=Simon and Schuster|isbn=978-0-7432-6255-2|page=[http://books.google.com/books?id=qftwHKSnmpkC&pg=PA410 410]}}</ref>
683번째 줄:
미군은 열대 우림 속에 적이 숨지 못하도록 하려고 고엽제를 사용하였다. 미군은 [[다우 케미컬]]과 [[몬산토]]의 지원을 받아 열대 우림을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제초제]]를 개발하였다. [[무지개 제초제]]라고 불린 이들 제초제는 조성 물질에 따라 [[에이전트 핑크]], [[에이전트 그린]], [[에이전트 퍼플]], [[에이전트 블루]], [[에이전트 화이트]], [[에이전트 오렌지]] 등으로 불렸다. 특히, 에이전트 오렌지는 [[다이옥신]]을 포함된 매우 독성이 강한 제초제였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베트남을 비롯한 캄보디아와 라오스 지역에 약 45,000,000 리터의 에이전트 오렌지가 살포되었으며, 특히 [[메콩 강 삼각주]] 지역의 밀림을 파괴하기 위한 [[랜치 핸드 작전]]에 집중 투입되었다.
 
고엽제는 밀림 뿐만 아니라 논밭에도 살포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살포된 고엽제의 양은 약 75,700,000 리터이고, 고엽제가 살포된 숲과 경작지의 면적은 24,000 여 km<sup>2</sup>로 이는 남베트남 전체 국토의 13%에 해당하였다. 1965년의 경우 고엽제 가운데 42%가 남베트남의 통제하에 있던 농촌의 경작지에 뿌려졌다.<ref>''Anatomy of a War'' by [[Gabriel Kolko]], {{ISBN |1-56584-218-9}} pp. 144–145.</ref>
 
2006년 베트남 정부는 다이옥신 중독에 의한 피해를 받은 사람의 수가 4백만 명에 달한다고 발표하였다. 미국 정부는 베트남의 다이옥신 중독과 에이전트 오렌지 사이에 과학적 상관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2011년 당시 베트남의 일부 지역에는 여전히 국제 허용 기준보다 100배 이상 많은 다이옥신이 검출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6/11/12/AR2006111201065.html |first=Anthony|last= Failoa|제목='&#39;In Vietnam, Old Foes Take Aim at War's Toxic Legacy'&#39;|work=The Washington Post |date=13 November 2006 |accessdate=31 October 2011}}</ref>
694번째 줄:
[[파일:Phong Nhi massacre 2.jpg|thumb|퐁니·퐁넛 학살에 희생된 어린이]]
 
주베트남 미군 사령관 웨스트모어랜드는 베트남 전쟁에서 [[수색 섬멸 작전]]을 기반으로한 [[소모전]]을 기본 전략으로 세웠다. 이를 위해 농촌 지역의 주민들은 전략촌으로 소개되었고, 전략촌 이외 지역의 모든 사람들은 사실상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전투원으로 간주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조사나 재판 없이 혐의를 받았다는 것 만으로 사살되었다. 미국 중앙정보부는 [[피닉스 전략]]을 통해 1968년부터 1971년 중반까지 2만 7천여명을 체포하여 2만여명을 처형하였다. 바던 오즈번은 [[다낭]] 시민의 2%를 베트콩 용의자로 색출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이를 고발하였다. 1971년 열린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오즈번은 다음과 같이 증언하였다.<ref name="매클리어463">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463-468쪽</ref>
 
{{인용문|
766번째 줄:
}} (Order Code RS22926, see table on page 2/5).</ref>, 이 때문에 재정이 악화되었다.
 
3백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고, 그 가운데 1백50만 명이 직접 전투를 치렀다.<ref>"[http://www.stanford.edu/group/fredturner/cgi-bin/drupal/?q=node/7 Echoes of Combat: The Vietnam War in American Memory]". Stanford University.</ref> 제임스 E. 웨스트헤더는 “미군 병력이 가장 많이 파병되어 있었던 1968년을 기준으로 하면 베트남에는 543,000명의 병사가 주둔해 있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 전투 부대는 8만명에 불과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부터 시작된 미국의 징병제는 1973년에 끝났다.”고 쓰고 있다.<ref>James E. Westheider (2007). "''The Vietnam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p.78. {{ISBN |0-313-33755-1}}</ref>
 
베트남 전쟁으로 58,220 명의 미군이 전사하였고, 15만명 이상이 부상당하였으며, 그 가운데 21,000 명은 장애를 갖게 되었다.<ref>[http://www.digitalhistory.uh.edu/database/article_display.cfm?HHID=513 The War's Costs]. Digital History.</ref>
784번째 줄:
{{참조|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파일:Vietnam....A Sky Trooper from the 1st Cavalry Division (Airmobile) keeps track of the time he has left on his "short... - NARA - 531453.tif|thumb|철모에 귀국일을 적은 미군.]]
전투에 참여한 병사들은 전쟁 이후에도 오랫동안 정신적인 고통을 받았다. 미국의 경우 참전 자체가 사회적인 조롱거리로 변하자 병사들은 전쟁자체에 대한 회의감과 현실적인 전투의 위험에서 이중고를 겪었다. 해병으로 참전했던 바비 머독은 “살아서 돌아가는 것이 당면 목표”였다고 회고하였다. [[닉슨 독트린]]이후 미군의 완전 철수가 기정사실이 되자, 병사들 사이에는 “베트남에서 죽는 마지막 미군이 되지 말자”라는 말이 떠돌았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473-474쪽</ref> 미군 병사들은 끊임 없이 벌어지는 게릴라전의 공포와 함께 수색 섬멸 작전에서 일어나는 민간인 희생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졌고, 장교의 명령에 대한 불복종, 작전에 대한 불평이 끊이지 않았다. 장교를 살해하는 일도 빈번하였다. 1969년부터 1970년가지 미군 부대 내에서는 살해나 협박용까지 포함한 수류탄 사고가 790회나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83명의 장교가 사망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484-487쪽</ref>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던 미군 가운데 상당수는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한민국의 참전 군인 역시 같은 고통을 겪었다. 해병대로서 짜빈동에 주둔하였던 김용만씨는 무고한 양민을 죽였다는 괴로움이 평생을 따라다닌다고 회고하였다.<ref>[http://h21.hani.co.kr/arti/reader/reader_campaign/224.html 죄의식이 평생을 따라다녔다], 한겨레21, 2000.08.17 제321호</ref> 이름을 밝히기를 원치 않는 한국군 참전 군인은 자신이 신병 때 고참의 명령에 의해 양민을 죽인 뒤 성격이 변했다고 증언하기도 하였다. 그는 베트남 전쟁을 겪은 뒤 싸움이 일어나면 자신을 제어할 수가 없고 실제 ‘너를 죽이고 말겠다.’는 생각이 들어 스스로가 무섭다고 말하였다.<ref>현아,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책갈피, 2002년, {{ISBN |89-7966-023-5}}, 216-218쪽</ref>
 
== 베트남 전쟁에서의 미군의 장비 손실 ==
937번째 줄:
밴드 《[[컨트리 조 앤드 더 피쉬]]》는 1965년〈더 “피쉬” 치어/아이-필-라이크-아임-픽신-투-다이 래그〉(The "Fish" Cheer/I-Feel-Like-I'm-Fixin'-To-Die Rag)를 발표하였다. 이 노래는 미국 내 반전시위를 통해 널리 퍼졌다.<ref>[http://www.countryjoe.com/cheer.htm That Notorious Cheer]</ref> 베트남의 작곡가 [[찐꼼선]](Trịnh Công Sơn)은 1965년 중국의 천년 지배, 프랑스의 백년 지배를 지나 이제 같은 동포가 서로 총을 맞대고 싸우는 상황을 비판한 《어머니가 전하는 이야기》 (Gia tài của mẹ)를 발표하였다.<ref>[http://www.tcs-home.org/songs/titles/GiaTaiCua Gia tài của mẹ], TCS-HOME</ref>
 
1969년 [[존 레넌]]과 [[오노 요코]]는 《[[평화에게 기회를 줘요]]》(Give Peace a Chance)를 발표하였다.<ref>Norman, Philip (2008). John Lennon: The Life. Doubleday Canada. {{ISBN |978-0-385-66100-3}}.</ref>
 
1969년 [[지미 헨드릭스]]는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The Star-Spangled Banner]]를 연주해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를 표시하였다.
1,028번째 줄:
* Tang, Truong Nhu. ''A Vietcong Memoir'' (1985), revealing account by senior NLF official
* Terry, Wallace, ed. ''Bloods: An Oral History of the Vietnam War by Black Veterans'' (1984)
* Truong, Như Tảng; David Chanoff, Van Toai Doan (1985). 《A Vietcong memoir》, 1985, Harcourt Brace Jovanovich. {{ISBN |978-0-15-193636-6}}-
* The landmark series Vietnam: A Television History, first broadcast in 1983, is a special presentation of the award-winning PBS history series, American Experience.
* ''The Pentagon Papers'' (Gravel ed. 5 vol 1971); combination of narrative and secret documents compiled by Pentagon. [http://www.mtholyoke.edu/acad/intrel/pentagon/pent1.html excerpts]
1,090번째 줄:
* Schell, Jonathan. ''The Time of Illusion'' (1976).
* Schulzinger, Robert D. ''A Time for War: The United States and Vietnam, 1941–1975'' (1997).
* Sorley, Lewis, ''A Better War: The Unexamined Victories and Final Tragedy of America's Last Years in Vietnam'' (1999), based upon still classified tape-recorded meetings of top level US commanders in Vietnam, {{ISBN |0-15-601309-6}}
* Spector, Ronald. ''After Tet: The Bloodiest Year in Vietnam'' (1992), very broad coverage of 1968.
* {{서적 인용|ref=harv|last=Stanton|first=Shelby L.| 제목 = Vietnam order of battle|edition=2003|year=2003| publisher = Stackpole Books| isbn= 0-8117-0071-2}}
* Summers, Harry G. [http://books.google.com/books?id=-Z4l-ZySVWwC ''On Strategy: A Critical Analysis of the Vietnam War''], Presidio press (1982), {{ISBN |0-89141-563-7}} (225 pages)
* Tucker, Spencer. ed.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1998) 3 vol. reference set; also one-volume abridgement (2001).
* {{서적 인용|last=Willbanks|first=James H. |제목=Vietnam War almanac|url=http://books.google.com/books?id=X5WWklFB5O4C|year=2009|publisher=Infobase Publishing|isbn=978-0-8160-7102-9|ref=harv}}
1,099번째 줄:
* Young, Marilyn, B. ''The Vietnam Wars: 1945–1990.'' (1991).
* Xiaoming, Zhang. "China's 1979 War With Vietnam: A Reassessment", ''China Quarterly.'' Issue no. 184, (December 2005) {{웹 인용|url = http://journals.cambridge.org/action/displayAbstract?fromPage=online&aid=358806 |제목 = CJO – Abstract – China's 1979 War with Vietnam: A Reassessment |accessdate =11 June 2008}}
* 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 |89-324-6081-7}}
* 김현아,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책갈피, 2002년, {{ISBN |89-7966-023-5}}
* 윌리엄 J. 듀이커, 정영목 역, 《호치민 평전》, 푸른숲, 2003년, {{ISBN |89-7184-375-6}}
* 권현익, 유강은 역, 《학살, 그 이후》, Archive, 2012년, {{ISBN |978-89-5862-510-0}}
* 이규봉, 《미안해요! 베트남》, 푸른역사, 2012년, {{ISBN |978-89-94079-58-5}}
{{col-end}}</small>
{{참고 자료 끝}}
1,110번째 줄:
{{참고 자료 시작}}
* Hall, Simon, "Scholarly Battles over the Vietnam War," ''Historical Journal'' 52 (Sept. 2009), 813–29.
* 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 |978-89-7464-597-7}}
{{참고 자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