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nite ko(토론)의 21575896판 편집을 되돌림
본문중 "위안부 할머니" 표현 삭제하고 "위안부 피해자"로 수정. 확인할 수 없는 잘못된 출처 삭제 및 출처 요구 표시 추가. (재)
107번째 줄:
== 끌려간자==
{{참고|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목록|}}
[[파일:Comfort Women, rally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August 2011 (2).jpg|thumb|2011년 8월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항의하는 위안부 할머니피해자]]
참여 연령대는 모집 당시 기준 17세, 18세에서 30세였다. 이 중 조선인 위안부들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경로가 존재하였다. [[일본]]이 군 공창제로서의 위안소를 설치하고 성노예를 [[일본인]] [[창녀]]나 [[윤락녀]]만으로는 부족하여 그 [[식민지]]인 [[조선]] 등의 여성들로 충당하려 했을 경우 종래 극소수밖에 없었던 조선인 [[창녀|매음녀]]만으로 충당하기에는 너무 부족했고 결국 일반 여성을 충당할 수 밖에 없었다.<ref name="kangman29">강만길, 《21세기사의 서론을 어떻게 쓸 것인가》 (도서출판 삼인, 1999) 29페이지</ref>
 
199번째 줄:
박유하 [[세종대학교]] 일문학 교수는 [[일본]]의 한 강연에서 했던 발언이 지난 6일 몇몇 언론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한국도 책임 있다"는 제목으로 알려지면서 누리꾼의 맹비난을 받게 된 것이다. 누리꾼은 박 교수뿐만 아니라 세종대 홈페이지를 찾아가 항의성 글을 올리기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2&aid=0000032830 위안부 문제, '일본 때리기'만이 능사인가] 프레시안 2007.04.13</ref>
 
군사평론가 [[지만원]]은 '[[수요시위]] 참가하는 할머니들의 건강과 혈색이 너무 좋아보인다.'고 이유를 들면서 '가짜 위안부가 아니냐?'면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위안부를 '일본군 위안부'와 '종군 위안부', '정신대'로 구분한 뒤 "진짜 피해를 본 '일본군 위안부'는 전체 20% 정도이며 어려운 형편에 스스로 성을 판 종군 위안부가 80% 쯤 된다더라"고 주장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974661 지만원씨 '가짜 위안부' 의혹 제기 파문]</ref> 그 근거로 각 신문에 보도된 위안부 모집 기사를 들기도 했다. [[지만원]]은 또 '위안부'라는 개념에 대해 그는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가 성을 빼앗겼거나, 스스로 성을 팔았던 어린 여성들"로 정의하고 "성을 강제로 빼앗긴 여성들은 주로 미처 시집을 가지 않고 있다가 끌려간 여성들이고, 성을 판 여성들은 글자 그대로 ‘왜 색시’였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ref name="sumdp">[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504/h2005041510280421980.htm 지만원 "진짜 위안부 할머니는 숨어서 산다"] 한국일보 2005.04.15</ref>{{출처}}
 
[[일본]] 우익은 '유가증권' 개념인 '군표'(軍票)를 사용한 것을 들어 위안소 제도를 일종의 공창제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공창제와 비교해서 군 위안소는 전시라는 상황에서 군이 관리·운영함으로써 위안부 여성의 인권을 더 보장하기 힘든 면이 있었다는 반론도 있다.<ref>김성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36&aid=0000006333 ‘공창제’는 진정한 대안인가]. 한겨레21. 2004년 10월 13일.</ref>
205번째 줄:
[[인도네시아]]에서는 독립운동가가 위안부 모집에 앞장서기도 했다. [[수카르노]]는 일본군의 점령이 독립을 앞당기는 길이라 보고 일본군 협력과 일본군을 상대로 하는 [[인도네시아인]] 위안부 모집에 앞장섰다.<ref name="wiiㅣ135"/> 그는 서구와 싸우는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하는 것이 [[인도네시아]] 독립에 유리하리라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본군]]의 군수물자 확보와 지원병, 종군위안부 모집을 돕는 여러 활동을 벌였고, [[1943년]] [[11월 10일]] [[도쿄]]에서 [[일본 왕]] [[히로히토]]로부터 훈장까지 받았다.<ref name="wiiㅣ135"/>
 
=== 일부위안부에 위안부들의대한 비판 ===
위안부 피해자의 한 사람인 심미자(2008년 사망) 등은 '몇 명 안 되는 할머니들을 앵벌이로 삼아 국제 망신을 시키고 다닌다. 우리는 돈을 바라지 않는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명예다. 우리를 이용하여 국제 모금을 하는 것은 우리를 두 번 모욕 주는 행위다.'<ref name="doklip2005">[https://web.archive.org/web/20131011185700/http://www.independent.co.kr/news/article.html?no=5490 위안부 할머니의 분노 "우리를 앵벌이 삼아 국제망신 그만시켜라", 독립신문](링크 손상)</ref> 라며 비판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심미자 등은 6명의 변호인들로 구성된 변호인단을 통해 2004년 3월, 위 두 기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를 상대로 “모금행위 및 시위동원 금지 가처분신청”을 냈다고 한다.<ref name="doklip2005"/> 또 우리 정부와 시민단체 등이 툭하면 위안부 할머니들을피해자들을 내세워 일본을 비판하고 일본에게 배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작 정부와 시민단체 등이 위안부할머니에게 해준 일이 별로 없다고 지적하고 오히려 일본인들이 위안부 할머니들의피해자들의 건강과 소송문제, 또 장례식 등까지 세세한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보살핌을 펴왔다고 주장하였다.<ref name="doklip2005"/>
 
한편 [[한승조]] 자유시민연대 공동대표(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는 일본의 월간 <正論>(정론) 2005년 4월호에 기고한 '공산주의·좌파사상에 기인한 친일파단죄의 어리석음 : 한일병합을 재평가하자' 제목의 글에서 "수준 이하의 좌파적인 심성 표출의 하나에 종군위안부 문제가 있다"고 전제하고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성(性)도 혁명의 무기로서 활용하자는 말이 있다"면서 "전쟁 중에 군인들이 여성을 성적인 위안물로서 이용하는 것은 일본만의 것이 아니며 일본이 한국여성을 전쟁 중에 그렇게 이용한 것도 전쟁중의 일시적인 것이지 예외의 현상이었다"고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예외적인 현상으로 주장해 파문을 불러일으켰다. 한씨는 기고문에서 특히 "그러나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었는데도 굴욕을 당했다는 노파를 내세워 과장된 사실을 내세워 몇 번이나 보상금을 요구한다"면서 "이런 것이 고상한 민족의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240619 김당, 한승조 '일 식민지배는 축복' 기고 파문, 오마이뉴스]</ref>
237번째 줄:
== 소송 ==
[[파일:Kudan Kaikan 2010.jpg|thumb|left|[[여성국제전범법정]]이 열린 구 군인회관]]
[[한국인]] 등을 중심으로 위안부였던 사람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한일기본조약]]으로 해결 완료 등을 이유로 패소했다. 현재 일본 사법부에서는 전쟁 전 국가간의 배상이 법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인정하지도, 책임지지도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법조인과 국회의원들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송신도 할머니의 재판을 변호하거나, 배상의 걸림돌인 전후보상법 개정을 시도하는 등 위안부 할머니들의피해자들의 편에서 일하고 있다.<ref name=autogenerated1 />
 
[[2000년]]에 도쿄에서 있었던 [[여성국제전범법정]]을 통해, [[히로히토 천황]]과 일본 정부에 유죄를 선언했지만, 피고인이 부재했으며 강제력이 없는 민간 재판이었으므로 이 선언은 현재의 상황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246번째 줄:
 
== 아시아 국민기금 문제 ==
[[일본]]의 시민단체들이 나서서 위안부 할머니들에피해자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보상을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4년8~9월 "(한국 내 단체가 군위안부 문제를) 한국에 뿌리깊게 내린 반일 문제로 방향을 틀었다"면서 "위안부 개인의 행복이나 그들이 놓인 처지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위안부 지원 단체의 정의 실현을 위한 것으로 바꿔치기 된 상황이 벌어졌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8/31/0200000000AKR20140831017900043.HTML][[연합뉴스]]<span>2014/08/31 12:00 송고 日아시아여성기금 前이사 ‘위안부 한국 태세에 절망’</span></ref>.
260번째 줄:
[[일본]]의 시민단체 등이 만든 아시아 구호기금(국민기금)에 대해서 그들의 지원을 받느냐 마느냐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1995년]] [[7월]] 위안부 피해자들의 운동에 앞장서온 정대협은 국민기금에 강하게 반발했다. 당시 정대협은 국민기금이 일본 정부 차원의 ‘보상’이 아니라 ‘위로금’으로 보았다. 일부 위안부 피해자들도 국민기금에 반대했다.<ref name="kukmins"/> 한편 안선미 정대협 팀장은 “1세대 할머니들도 병상에 누워서까지 반대하던 부분”이라고 주장했다.<ref name="kukmins"/>
 
대신 정대협은 [[1996년]] [[10월]]부터 범국민 모금운동을 벌여 위안부 할머니들의피해자들의 생계를 지원하려고 했다. 하지만 [[1997년]] [[1월]] 일본 정부는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7명에게 [[의료]] 지원금을 포함, 1인당 500만엔(약 7250만원)의 위로금 전달을 강행했다.<ref name="kukmins"/> 이 금액은 수령자와 미수령자가 존재한다. 이후 정대협은 [[1998년]] [[5월]]부터 자신들의 모금액과 정부 예산을 합쳐 위안부 피해자 1인당 4300만원의 생활안정 지원금을 지급했다.<ref name="kukmins"/>
 
한편 [[일본]]의 민간단체 주도의 국민기금에 대해서는 수용하느냐 수용해서 안되느냐 여부를 놓고 논란이 존재하였다.
 
심미자 등 일부 위안부 피해자들은 '한번은 위안부 할머니들을피해자들을 돕고 있는 일본인 단체에서 정대협 측에 10만엔을 전달했는데 이 돈을 나눠주지 않았다.<ref name="siso"/>'며 의혹을 제기하였다. 또 여성부에 대해서도 지은희 전 여성부 장관도 정대협(공동대표) 출신이라며 비판적 시각을 보였다.<ref name="siso"/> 심미자 등 일부 위안부 피해자들은 정대협 외에도 [[여성부]]에 대해서도 불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 기금 수령자와 미수령자간 논란 ===
[[1995년]] 7월 당시 일본의 시민단체들이 모여 만든 [[국민기금]]을 받느냐, 거부하느냐 과정에서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국민기금을 수령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았다.<ref name="kukmins"/> 그런데 국민기금을 받은 할머니들은 정부 지원에서 모두 제외됐다. 정대협의 안선미 팀장은 “이 문제로 일부 할머니들은 정대협이 기금을 막았다며 불신을 가지게 됐다. 또한 일본 정부가 한일협정에도 불구하고 나름 노력을 했다는 변명거리가 됐다”고 밝혔다.<ref name="kukmins"/>
 
[[2000년대]] 들어 국민기금을 수령한 일부 할머니들과 위안부 피해자 심미자 할머니(2008년 사망)를 비롯한 33명이 ‘[[무궁화 할머니회]]’를 만들었다.<ref name="kukmins"/> 이들은 [[2004년]] 성명서를 내고 “정대협은 형편이 어려운 7명의 위안부 할머니들이피해자들이 아시아여성기금을 받았다는 이유로 공개적으로 매도했다”, “우리 33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진짜 위안부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ref name="kukmins"/> 한편 당시 국민기금을 찬성했던 한 인사는 “할머니들이 모두 연로하신데 일본 국민들이 반성하고 모금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지금 무궁화회 할머니들은 대부분 돌아가시지 않았나”라고 말하기도 했다.<ref name="kukmins"/>
 
== 국제사회의 일본 비판 ==
306번째 줄:
=== 작은소녀 평화비 ===
[[파일:Japanese Embassy in Seoul and watched from behind a bronze statue of comfort women.JPG|thumb|위안부 기림비 주 대한민국 일본 대사관]]
평화비는 [[1992년]] [[1월 8일]] 첫 수요시위가 시작된 지 20년이 흐른 [[2011년]] [[12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요구하며 일본대사관 앞에서 거리의 투쟁을 이어온 위안부 할머니들의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염원하기 위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이 계획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 1000회째인 [[2011년]] [[11월 14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공식 세워졌다. '평화비'는 김운성.김서경 부부작가가 공동으로 작업한 작품으로, 높이 130cm로 치마저고리를 입고, 짧은 단발머리와 손을 웅켜쥔 소녀가 의자에 앉은 채 일본대사관을 응시하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특히, 평화비 옆에는 작은 의자가 놓여져 있어 소녀와 함께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되새기는 체험공간이 마련됐고, '평화비' 표지석에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직접 쓴 '평화비' 문구와 함께 [[1992년]] [[1월 8일]]부터 이 곳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2011년]] [[12월 14일]] 천 번째를 맞이함에, 그 숭고한 정신과 역사를 잇고자 이 평화비를 세운다"라고 적혔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0100.html 일본 대사관 앞 ‘작은 소녀’평화비 세운다], 《한겨레뉴스》, 2011.12.14.</ref>
 
=== 위안부 기림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