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8번째 줄:
 
==특징==
19세기 중엽에 중산계층의 세력이 확대되자, 이들을 중심으로 기독교적 자유주의가 확산됨에 따라, 고교회인들은 교회의 권위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히려 고교회적 신학사상을 알리기 위한 문서(文書)운동을 전개했다. 그들의 목적은 고교회를 신학적 자유주의로부터 방어하고 오염된 자유주의의 영향을 정화하여 국가권력으로부터 해방시켜서 초대교회의 정신을 본받아 내면적으로 갱신하려고 했다. 하여 1850년대 말에 이 운동으로부터 교회의 전통, [[예전]], [[성례]] 등 고교회적 의식주의(Ritualism in the Church of England)가 더욱 고양되어 이후, 100주년 기념을 맞이하여 옥스포드 그룹을 중심으로 이 운동이 전개.<ref>옥스포트 운동은 종교개혁 이전의 교회의 전례미(典禮美)에 의거하여 제식(祭式)을 쇄신하고자 하는 의식주의에 빠짐으로서 전례의 본질적인 의미를 간과했다. 이후, 이들은 뉴먼(J.H. newman)을 편집책임자로 선임하여 Tracts for the Times라는 소책자(pamphlet)를 발행하여 대중으로부터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켜 트랙트 운동(Tractarianism)으로까지 불리게 되었다. 특히 멤버 가운데 히브리어어 학자로 유명한 퓨지(E. Pusey, 1800~1882), 케블(J. Keble, 1792~1866) 등이 있었지만 핵심 맴버 중의 한 사람인 뉴먼은 국교회를 떠나 대다수의 성공회 사제들과 함께 로마가톨릭교회로 다시 개종하였다. 《로마가톨릭와 영국 국교회》, [[하승무]] 교수, 2015</ref>되었다. 옥스퍼드 운동을 주도한 영국국교회 지도자들은 [[영국 국교회]]가 국가권력으로부터 통제 가운데 자유롭지 못한 것에 반대하여, 교회의 전통, [[예전]], [[성례]]를 더욱 강조했다. <ref>《로마가톨릭와 영국 국교회》, [[하승무]] 교수, 2015</ref>
 
[[교회]]의 본질에 대한 깊은 연구, [[초대교회]]와 [[교부]]들(신학과 [[예배]])에 대한 관심, 성공회를 가톨릭주의적 교회 즉, [[보편교회]]로 이해하는 교회이해도 옥스퍼드 운동의 중요한 내용이다.<ref>[http://skhfaq.wordpress.com/2001/08/14/%EC%84%B1%EA%B3%B5%ED%9A%8C%EC%9D%98-%EA%B3%A0%EA%B5%90%ED%9A%8C%ED%8C%8C%EC%99%80-%EC%A0%80%EA%B5%90%ED%9A%8C%ED%8C%8C/ 주낙현 신부의 성공회 이야기]</ref> 옥스퍼드 운동은 [[대한성공회]]의 성격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한국]]에 성공회를 소개한 선교사들이 옥스퍼드 운동에 참여한 이들이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