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미륵사 (백제)| +[[익산 미륵사지|)
목차를 추가했습니다.
3번째 줄:
'''탑파'''(塔婆)는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Stupa)에 어원을 둔 단어로 [[부처]]의 [[사리]]가 모셔져 있는 일종의 무덤 건축물을 의미한다. 불탑 혹은 그냥 줄여서 ‘탑’이라고도 한다.
 
== 역사 ==
탑의 기원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에 든 후 그 [[사리]]를 모신 무덤인데, 이후 부처님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 전탑양식이라 부른다. 이 두 양식이 다시 한국으로 전해져 [[황룡사]], [[익산 미륵사지|미륵사]], [[분황사]]의 탑이 만들어졌고 다시 두 양식이 혼합되어 한국 고유의 석탑양식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감은사]]와 [[불국사]]의 탑이다. 석탑양식은 고려조까지 계속 이어졌고 [[고려]] 중기 이후 [[원나라|원]]의 영향으로 [[경천사]]탑 등이 만들어졌다. [[일본]]으로 전파된 탑은 목조건축이 발달한 [[일본]]의 문화에 따라 목탑양식이 그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 사리 ==
{{참고|사리}}
탑은 본래 부처님의 무덤이기 때문에 항상 [[사리]]가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진신사리]]라 불리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몸에서 나온 사리는 그 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경전]] 및 [[불상]] 혹은 보석과 같은 상징물을 [[법신사리]]라 부르고 탑 속에 넣게 된다.
 
== 구조 ==
탑은 그 역사에서 비롯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구조를 가지는데 가장 아래쪽의 기단부와 탑의 몸체를 이루는 탑신부,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상륜부가 그것이다. 기단부는 다시 상대기단과 하대 기단으로 나누어지는데 경우에 따라 하대 기단은 생략되기도 한다. 탑신부는 탑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탑의 층수를 결정한다. 상륜부는 노반, 복발, 용주, 보좌 등등의 여러 부분으로 세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