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실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BoeunKim (토론 | 기여)
BoeunKim (토론 | 기여)
41번째 줄:
* 다른 사람들에 내린 그들 스스로의 평가와, 타인이 내린 평가가 상반되었을 때에는, 많은 학생들은 그들이 스스로 결론지은 첫인상과 타인의 상반된 결과를 어떻게든 절충하려 시도했다.
* 그들은 또 평균적인 가격의 상품을 파는 상점에 가서 가격을 깍아보라는 미션을 받기도 했다. 학생들은 그들이 주인에게 받을 대우에 대해 지레 긴장했다. 하지만, 일단 그들이 주인과의 상호작용을 시작하니 이런 긴장감은 줄어들었으며, 의외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놀라는 기색도 보였다.
* 실험자가 대상자에게 첫번째 동작을 하도록 요청한 다음 해당 표시를 지우고 다른 사각형으로 옮겨 응답하는 동작을 취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피실험자들은 이것에 의해 혼란스러워 했고, 그 행동을 성적 합격, 자신들의 어리석음에 대한 논평, 또는 실험자의 뻔뻔스러움으로 해석했다.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행동에 대한 판단을 요구했다.
* Subjects played tic-tac-toe where the experimenter asked the subject to make the first move, then erases that mark and moves it to another square before making the responding move. Subjects were confused by this and interpreted the action as a sexual pass, a comment on their own stupidity, or as the impudence of the experimenter. Eventually, most demanded a reckoning of this behavior.
* 피실험자들은 다른 방법으로는 무해한 대화를 하는 동안 아주 아주 가까이 서 있으라는 요청을 받았다.
* Subjects were asked to stand very, very close to a person while engaging in otherwise innocuous conversation.
 
Garfinkel은 그의 학생들에게 그러한 암묵적 이해를 연구해야 할 문제가 있는 현상으로 간주하라고 지시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위반을 정상화하기 위해 즉시 반응하기 때문에, 호흡을 맞추는 실험은 사회 현실의 회복력을 보여 준다. 그들은 익숙한 말로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그렇게 한다. 사람들이 이러한 위반 행위를 다루는 방식은 그들이 일상 생활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드러낸다고 가정한다.
Garfinkel instructed his students to treat such everyday, implicit understandings as problematic phenomena to be studied. Breaching experiments reveal the resilience of social reality, since the subjects respond immediately to normalize the breach. They do so by rendering the situation understandable in familiar terms. It is assumed that the way people handle these breaches reveals much about how they handle their everyday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