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43번째 줄:
== 어휘 ==
{{본문|한국어의 고유어|한국어의 한자어|한국어의 외래어}}
한국어의 [[어휘]]는 크게 [[고유어]] ("순우리말"),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된다. 고유어는 한국어의 기층을 형성하는 고유의 어휘로, 보통 한자어와 외래어를 제외한 단어그룹을 가리킨다. 사용 빈도가 높은 [[일상어]]가 대부분 고유어에 속한다. 고유어 일부는 매우 이른 시기에 들어온 [[상고 중국어]]에서 유래되어 고유어로 인식되는 어휘가 있고(붓-筆, 먹-墨), 후대에 [[한자어]]의 형태가 일그러지면서 본디 말과 다른 의미를 획득하여 고유어로 인식되는 어휘도 있다(사냥>山行, 짐승>衆生). 고유어는 익숙하고 친근하게 느껴지지만, 같은 뜻의 한자어와의 경쟁에서 밀려나 단어의 위상이 하락한 경우도 있다. 음운적으로는 ㄹ 소리로 시작되는 토착어휘가 없으며, 이는 [[알타이 제어]]의 음운론적 특징의 하나이기도 하다.
 
한자어는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된 어휘군으로 중국과의 접촉에 따라 지속해서 한국어에 유입되었으나 한자어의 비율은 사전이나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적으면 50%에서 많으면 70%까지로 추산된 것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가능한 많은 낱말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과장되었다는 주장도 있다.<ref>"우리말 70%가 한자말? 일제가 왜곡", 한겨레, http://hani.co.kr/arti/culture/religion/376204.html</ref> 또한, 국어사전이 수록하는 한자어의 상당수는 한문 문장에만 용례가 있고, 한국어에서는 용례가 발견되지 않는 단어들이다. 국립국어연구원이 2002년 발표한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를 보면 우리말의 낱말 사용 비율은 토박이말이 54%, 한자어 35%, 외래어가 2%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