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번째 줄:
== 상세 ==
=== 역사학 ===
지금처럼 예수의 탄생일을 기준으로 한 '[[서력기원]]'이라는 개념은 서기 525년 [[소스키티아]]의 수도승이었던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부활절 달력의 연도 표기를 다루면서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기존에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즉위년도를 기준으로 한 '디오클레티아누스 기원'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기독교 신자들을 박해한 황제를 연상시키는 것을 더이상 원치 않는다는 게 그 이유였다. 디오니시우스는 부활절 달력집의 서문에서 '올해'를 로마의 프로부스 [[집정관]]이 재임중인 해이자, "주 [[예수 그리스도]]가 강생하신 지" 525년이 되는 해라고 밝혀두었다.<ref name=Dionysius>{{cite web인용|url=http://hbar.phys.msu.su/gorm/chrono/paschata.htm|title=DIONYSIUS EXIGUUS. LIBER DE PASCHATE SIVE CYCLUS PASCHALIS|publisher=|deadurl=ye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0109025617/http://hbar.phys.msu.su/gorm/chrono/paschata.htm|archivedate=9 January 2006|df=dmy-all}}</ref> 디오니시우스가 525년이라는 연도를 어떻게 알아냈는지는 불명이다.
 
다만 디오니시우스는 현재의 달력에만 서력기원을 활용하였을 뿐이었다. 옛 사건에 대해서도 서력기원을 쓰게 된 것은 그로부터 200여년 후인 잉글랜드의 성직자 [[베다 베네라빌리스|베다]]가 731년 《잉글랜드인 교회사》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를 집필하면서 처음으로 활용한 것이 시초로, 이때부터 서력기원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베다는 예수 탄생 이전, 즉 [[기원전]]이란 표기도 고안해 잠시 쓰기도 하였으나 이쪽은 세월이 조금 지난 뒤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또 베다는 날짜를 표기할 때 몇째 날, 몇째 주, 몇째 달을 연달아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교회 라틴어]]에서 쓰던 달력기원을 기반으로 일주일의 무슨 날인지는 숫자로 표기하였다. 베다 이전의 기독교 사학자들은 [[창조 신화|천지 창조]] 첫날을 기준으로 삼은 [[안노 문디]] (anno mundi, 세계 기원)를 쓰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또 아프리카누스는 천지창조로부터 그로부터 닷새 후 [[아담]]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날을 기준으로 삼는 안노 아다미 (anno Adami, 아담 기원)를, [[에우세비우스]]는 [[칠십인역]]에 나온 대로 천지창조로부터 3,412년 뒤를 기준으로 하는 안노 아브라하미 (anno Abrahami, [[아브라함]] 기원)을 사용하였다. 즉 예수탄생 기원을 과거연도 표기의 기준으로 삼기 전에는 각각 천지창조, 아담 창조, 아브라함 탄생을 기원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9번째 줄:
지금은 널리 쓰이는 '기원후' (anno Domini, AD)란 표기법은 9세기부터 서유럽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또 연도 뒤에 몇월 며칠을 나열하는 표기법도 1752년이 되어서야 통일 표기법으로 정착될 수 있었다. 기원전 (BC)란 표기를 처음으로 수백번에 걸쳐 널리 쓴 사람은 1474년 베르너 로레빙크란 인물로, 《Fasciculus Temporum》를 집필하면서 세계기원 표기와 함께 사용하였다.<ref>Werner Rolevinck, ''[http://www.cervantesvirtual.com/servlet/SirveObras/80248064097793506388868/index.htm Fasciculus temporum]''.</ref> 이후 [[르네상스]] 대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는 '기원후'는 물론 '디오니소스 기원' (Dionysian era), '그리스도 기원' (Christian era), '저속기원' (vulgar era), '보통기원' (common era) 등의 표기가 계속해서 바꿔 쓰였다.<ref>다만 '저속기원'이란 표현은 원래 영어에서 보통스럽고 보편적이란 느낌에서 쓰이던 '저속' (vulgar)이 좀 더 거친 말로 취급되면서 20세기를 전후로 사용을 자제하게 되었다.</ref> 이 때문에 역사학자들은 이들 표기를 모두 똑같은 기원으로 취급하고 있다.
 
한편으로 베다가 '0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했는지도 유추해볼 수 있다. 베다는 《잉글랜드인 교회사》 1권의 제2장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가 세워진 뒤 693년, 주님이 오시기 60년 전"에 영국을 침공했다고 밝혀두었다. 또 제3장에서는 "로마기원 798년 [[클라우디우스]]" 대에도 영국을 침공하였으며 이 시기를 "주님이 오시고 46년 뒤...불과 며칠 만에...전쟁을 마쳤다"고 적고 있다.<ref>{{cite web인용|url=http://www.fordham.edu/halsall/basis/bede-book1.html|title=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Nation|publisher=}}</ref> 두 연도 모두 실제로는 틀렸지만 여기서 밝힌 대로만 본다면, 로마력을 기준으로 798 - 693 = 107년인데 반해 예수기원을 기준으로 60 + 46 = 106년으로 중간의 한 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 되므로, 베다가 예수탄생을 기원으로 한 '기원전'과 '기원후' 사이에 '0년'은 생각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충분히 내릴 수 있다. 여기서 베다가 사용한 라틴어 표현은 '주님이 오실 때가 되기 전' (ante incarnationis dominicae tempus)으로 그 자체를 지금처럼 줄여서 쓰지는 않았으며, '그리스도 이전' (Before Christ)이라는 말은 베다의 표현과 대략 뜻만 통할 뿐 정확히 옮겨쓴 표현은 아니다. 하지만 베다가 도입한 기원전이라는 말은 [[중세]]를 거치며 산발적으로 계속 쓰이게 되었다.
 
사실 고대 [[로마 숫자]] 체계에서는 '[[0]]'이라는 개념도, 표시도 존재하지 않았다. 고대 [[바빌로니아]] 숫자에서는 '무' (無)란 개념을 쓰긴 하였으나 숫자로 취급하지는 않았고, 고대 로마인들도 거의 똑같은 개념을 열거하는 식으로 썼을 뿐이었다. 이 때문에 베다나 디오니시우스는 [[라틴어]]로 숫자를 쓰거나 로마 숫자에 '눌라' (nulla {{해석|무}})란 단어를 병기하는 식으로 표현하였다.<ref name=Dionysius/><ref>Faith Wallis, trans. ''Bede: The Reckoning of Time'' (725), Liverpool: Liverpool Univ. Pr., 2004. {{ISBN|0-85323-693-3}}.</ref><ref>''Byrhtferth's Enchiridion'' (1016). Edited by Peter S. Baker and Michael Lapidge. Early English Text Society 1995. {{ISBN|978-0-19-722416-8}}.</ref> 지금의 숫자 0이 발명된 것은 6세기 인도로, 그로부터 200여년 후인 8세기가 되어서야 아랍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이것이 유럽에까지 전해진 것은 다시 세월이 흘러 13세기의 일이었다. 심지어 처음 전해질 당시에도 숫자 0을 이해한 사람은 소수에 그쳤으며 17세기가 되어서야 널리 사용될 수 있었다.
18번째 줄:
천문학에서는 반대로 0년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천문학에서의 기원후 1년과 그 이후의 연도는 일반적인 서력기원 연도와 똑같다. 하지만 서력기원을 그대로 적용하려면 기원후 1년과 기원전 1년이 그대로 이어지지 않는데 이를 감안하고 계산하려면 번거로워진다. 따라서 기원후 1년 바로 이전 해는 0년이라고 재설정하고, 0년 바로 이전 해는 -1년, -2년 하는 식으로 마이너스를 붙여 계산한다.
 
또 천문학에서는 '기원전' (BC)나 '기원후' (AD) 등의 표기는 생략하기 때문에 역사학에서의 기원전 1년은 천문학에서 그냥 '0년'이라 표기하고, 기원전 2년은 -1년 등으로 표기하게 되는 것이다. 가끔씩 1년이란 연도에 더하기 기호를 붙여 +1년이라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년법은 1740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자크 카시니]]가 처음으로 도입하였다.<ref>{{Cite서적 book인용| edition = 3| publisher = Univ Science Books| isbn = 1-891389-85-8| editor1-first = Sean E. | editor1-last= Urban | editor2-first = P. Kenneth | editor2-last= Seidelmann | title =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chapter = Calendars | author-first = E. G. | author-last = Richards | page = 591 | location = Mill Valley, CA| date = 2013}}</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