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 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 성씨의 역사 /
14번째 줄: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신라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 명종 때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냈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신라 김알지(金閼智)의 후예인 두 왕자가 왕에게 직간(直諫)을 하다가 형은 북빈경(北濱京 : 지금의 강릉)에, 아우는 시염성(豉鹽城 : 연안의 옛 지명)으로 유배되었는데, 아우의 후손이 바로 김섬한(金暹漢)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선조의 유배지인 연안(延安)을 관향(貫鄕)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윗글은 단순히 설화로 보이며 , 대한민국의 성씨는 고려시대 중반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 조선시대에 대중화 되었다. 조선시대 성씨가 있던 양반의 비율은 10%이하이며 , 따라서 성씨가 없던 60~70%의 노비천민들은, 일제시대 일본의 성씨 부여 정책으로 , 마음대로 원하는 성씨와 본관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노비천민들은 족보에 올릴 조상이 없었으니 , 생각해낸게 과거 중국의 유명인물이나 한반도에서 유명한 인물들을 끌어다가 , 자기족보에 일방적으로 올려 성씨와 본관을 이어붙이는 행위가 성행하였고 , 이러한 족보세탁 작업중에 조상이 서로 겹치는 웃지못할 경우가 많아 , 어쩔 수 없이 생면부지의 사람(노비천민)과 족보를 합쳐서 같은집안으로 만들어버리는 , 합본행위도 성행하였다. 따라서 고려시대~조선시대 사이에 만들어진 성씨들만 진짜 양반성씨라고 볼 수 있다. 왜냐면 고려왕건이나 조선왕조의 허락없이허락없이는, 함부로 성씨를 사용할가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 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