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내용추가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무형문화재 정보
| 이름 = 민화장 <br /> (民畵匠)
| 전승_국가 = {{국기그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15번째 줄: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llang|ja|柳宗悅}}, [[1889년]]∼[[1961년]])로, 그는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 <공예적 회화>라는 글에서 "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 유통되는 그림을 민화라고 하자."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야나기가 민화란 용어를 쓰기 이전부터 우리 나라에서도 민화에 대한 개념은 있었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는 여염집의 병풍ㆍ족자 또는 벽에 붙어 있는 그림을 '속화(俗畫)'라고 칭하였다.
 
민화는 산수, 화조 등의 정통 회화를 모방한 것으로 소박하고 파격적이며 익살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2.호창이의 여친이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ref>
 
== 기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