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언어 변수 한국어화
3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2번째 줄:
'''라식'''({{lang|en|LASIK, laser-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은 [[근시]], [[원시]], [[난시]] 등의 시력 장애를 치료하는 [[굴절 수술]]의 유형 중 하나이다. 라식 수술은 [[레이저]]나 [[초정밀 각막 절삭기]]를 사용하는 [[안과|안과 의사]]에 의해 수행되며 [[시력]]을 개선하기 위해 눈의 [[각막]]의 모양을 변경한다.<ref name="Finn">{{뉴스 인용| url=http://www.washingtonpost.com/national/health-science/medical-mystery-preparation-for-surgery-revealed-cause-of-deteriorating-eyesight/2011/11/26/gIQAwVLj4O_story.html | work=The Washington Post | first=Peter | last=Finn | date=20 December 2012 | 제목=Medical Mystery: Preparation for surgery revealed cause of deteriorating eyesight}}</ref>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라식은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영구적인 대안을 제공한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irishtimes.com/health-and-beauty/laser-eye-surgery-in-ireland/ | work=The Irish Times | 제목=Laser Eye Surgery | first=Stephen | last=Maguire}}</ref> 주요 부작용으로는 빛퍼짐, 야간 운전 문제, [[건성각결막염|안구 건조증]] 현상 등이 있다.<ref name="Bailey MD, Zadnik K. Outcomes of LASIK for myopia with FDA-approved lasers. Cornea 2007 Apr;26(3):246-54.">{{웹 인용|last=Bailey & Zadnik|제목=LASIK risks|url=http://www.lasikcomplications.com/risks.htm|work=LASIK Complications|accessdate=22 August 2012}}</ref>
 
2011년 기준으로 미국에서만 11,000,000건 이상 시술되었으며<ref>{{웹 인용|url=http://bmctoday.net/crstodayeurope/2013/02/article.asp?f=ndyag-treatment-of-epithelial-ingrowth|제목=Nd:YAG Treatment of Epithelial Ingrowth|first1=Dan|last1=Lindfield|first2=Tom|last2=Poole|publisher=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Today|accessdate=12 September 2013}}</ref> 전 세계적으로는 28,000,000건 이상 시술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aao.org/publications/eyenet/200906/feature.cfm?|제목=A Look at LASIK Past, Present and Future|publisher=EyeNet Magazine|accessdate=12 September 20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31030413/http://www.aao.org/publications/eyenet/200906/feature.cfm|보존날짜=2013년 07월 31일|깨진링크=예}}</ref>
 
== 역사 ==
10번째 줄:
 
=== 시력교정수술에 대한 의학용 레이저 응용 ===
1980년 [[IBM 연구소]] 연구실에서 스리니바산(Rangaswamy Srinivasan)은 [[자외선]] [[엑시머 레이저]]가 주변 부위에 열 손상 없이 정확하게 살아있는 조직을 깎아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이 현상의 이름을 APD(ablative photo-decomposition)로 정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aip.org/ca/srinivasan.html |제목=Prize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Physics Winner -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publisher=Aip.org |date= |accessdate=2011-12-10 |보존url=https://www.webcitation.org/688m7Hk0F?url=http://www.aip.org/ca/srinivasan.html |보존날짜=2012-06-03 |깨진링크=예 }}</ref> 5년 뒤인 1985년 뉴욕 시에 위치한 콜럼비아 대학교의 에드워드 S. 하크니스 눈 연구소(Edward S. Harkness Eye Institute)에서 스티븐 트로켈(Steven Trokel)이 방사상 각막 절개 시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사항을 출판했다.<ref>{{저널 인용 | author = Cotliar AM, Schubert HD, Mandel ER, Trokel SL | year = 1985 | month = Feb | 제목 = Excimer laser radial keratotomy | url = | journal = Ophthalmology | volume = 92 | issue = 2| pages = 206–8 }}</ref>
 
그의 친구들 찰스(Charles Munnerlyn)와 테리(Terry Clapham)와 함께 트로켈은 VISX USA사를 설립했다.<ref>[http://www.visx.com/contact.php] VISX USA Technology (Last accessed 4th June, 2012)</ref> 1989년 맥도널드 MD(Marguerite B. MacDonald MD)는 사람을 대상으로 VISX 시력교정수술을 처음 시작했다.<ref>{{저널 인용 | author = McDonald M.B., Kaufman H.E., Frantz J.M., Shofner S, Salmeron B, Klyce S.D. | year = 1989 | 제목 = Excimer laser ablation - human eye | url = | journal = Arch Ophthalmol | volume = 107 | issue = 5| pages = 641–642 }}</ref>
79번째 줄:
* '''[[포도막염]]''': 포도막염 발병률은 0.18%로 추산된다.<ref name="Suarez">{{저널 인용 |author=Suarez E, Torres F, Vieira JC, Ramirez E, Arevalo JF |제목=Anterior uveiti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ournal=J Cataract Refract Surg |volume=28 |issue=10 |pages=1793–8 |year=2002 |month=October |pmid=12388030 |url=http://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886335002013640 |doi=10.1016/S0886-3350(02)01364-0}}</ref>
* '''등반 시 위험''': 라식 후 일반적으로 각막은 더 얇아져 구조적으로 각막을 약화시킨다. 높은 곳에 오를 때 기압이 약해지면 라식 환자의 눈이 극도로 위험해진다는 것이 입증된 바는 없다. 그러나 일부 [[등산|등산객]]들은 매우 높은 고도에서 근시 시프트를 경험했다.<ref>{{저널 인용 |author=Boes DA, Omura AK, Hennessy MJ |제목=Effect of high-altitude exposure on myopic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ournal=J Cataract Refract Surg |volume=27 |issue=12 |pages=1937–41 |year=2001 |month=December |pmid=11738908 |url=http://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886335001010744 |doi=10.1016/S0886-3350(01)01074-4}}</ref><ref>{{저널 인용 |author=Dimmig JW, Tabin G |제목= The ascent of Mount Everest following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ournal=J Refract Surg |volume=19 |issue=1 |pages=48–51 |year=2003 |pmid=12553606 }}</ref>
* '''[[각막 세포]] 수 감소''': 라식 수술 후 [[각막 세포]]([[섬유아세포]])의 수가 줄어든다는 보고가 있다.<ref name="pmid17057788">{{저널 인용 |author=Erie JC, McLaren JW, Hodge DO, Bourne WM |제목=Long term corneal keratocyte deficit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ournal=Trans Am Ophthalmol Soc |volume=103 |issue= |pages=56–66; discussion 67–8 |year=2005 |pmid=17057788 |pmc=1447559 |url=http://www.aosonline.org/xactions/2005/1545-6110_v103_p056.pdf |확인날짜=2009년 06월 14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012224610/http://www.aosonline.org/xactions/2005/1545-6110_v103_p056.pdf |보존날짜=2008년 10월 12일 |깨진링크=예 }}</ref>
* '''수술 후 후기 합병증'''(Late postoperative complication): 장기간의 합병증이 발생 가능성에 대한 방대한 증거는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며 수술자의 경험, 도구, 기술의 진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 |author=Hammer T, Heynemann M, Naumann I, Duncker GI |제목=Correction and induction of high-order aberrations after standard and wavefront-guided LASIK and their influence on the postoperative contrast sensitivity |language=독일어|journal=Klin Monatsbl Augenheilkd |volume=223 |issue=3 |pages=217–24 |year=2006 |month=March |pmid=16552654 |doi=10.1055/s-2005-858864 |url=http://www.thieme-connect.com/DOI/DOI?10.1055/s-2005-858864}}</ref><ref>{{저널 인용 |author=Alió JL, Montés-Mico R |제목=Wavefront-guided versus standard LASIK enhancement for residual refractive errors |journal=Ophthalmology |volume=113 |issue=2 |pages=191–7 |year=2006 |month=February |pmid=16378639 |doi=10.1016/j.ophtha.2005.10.004 |url=http://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161-6420(05)01176-0}}</ref><ref>{{저널 인용 |author=Caster AI, Hoff JL, Ruiz R |제목=Conventional vs wavefront-guided LASIK using the LADARVision4000 excimer laser |journal=J Refract Surg |volume=21 |issue=6 |pages=S786–91 |year=2005 |pmid=16329381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