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너드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16번째 줄:
| 절대등급 = + 13.22
}}
'''바너드별'''(Barnard's Star, {{문화어|바나드별}})<ref>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159쪽 우단 16째줄</ref> 은 [[뱀주인자리]]에 있는 [[적색 왜성]]이다. 이 별은 '벨록스 바나르디'([[라틴어]]로 버나드의 폭주성임)라고 불리기도 한다.<ref>인용 부호처럼 '벨록스 바나르디'로 쓰기도 한다. 링크 문서 13페이지를 참고할 것. [http://www.jimloy.com/astro/barnard.htm]; [http://www.dudleyobservatory.org/InTheSky/Skywatch2001/skywatch_07_2001n.htm] {{웨이백|url=http://www.dudleyobservatory.org/InTheSky/Skywatch2001/skywatch_07_2001n.htm |date=20080516051847 }};
[http://www.sfaa-astronomy.org/newsletter/pdfs/2007-08.pdf]</ref> [[1916년]] 미국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는 이 별의 [[고유 운동]]량이 10.3초각임을 밝혀냈고 이는 당시 알려진 별들 중 [[태양]]에 대하여 가장 큰 수치의 고유 운동이었다.<ref name = EEB>{{저널 인용 |저자 =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연도 = 1916 |제목 =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작은 별 |저널 = Astronomical Journal |volume = 29 |issue = 695 |쪽 = 181 |url = http://adsabs.harvard.edu//full/seri/AJ.../0029//0000181.000.html |확인일자 = 2006-08-10}}</ref> 이 별은 1.8[[파섹]] 거리(6광년이 채 못 됨)에 있으며 뱀주인자리 영역에 있는 별들 중 지구에서 가장 가깝다. 이 별은 단독성 개체로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항성계의 세 별에 이어 네 번째로 가까우며, 항성계로 치면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항성계에 이어 두 번째로 가까운 존재이기도 하다. 이렇게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너드 별을 맨눈으로 볼 수는 없다.
29번째 줄:
바너드 별의 나이는 70~120억 년 정도로 예상되며 이는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게 오래된 것이다.<ref name=Riedel2005>{{웹 인용| |first = A. R. |last = Riedel |coauthors= Guinan, E. F.; DeWarf, L. E.; Engle, S. G.; McCook, G. P. |url = http://adsabs.harvard.edu/abs/2005AAS...206.0904R |제목 =Barnard's Star as a Proxy for Old Disk dM Stars: Magnetic Activity, Light Variations, XUV Irradiances, and Planetary Habitable Zones |연도 = 2005 |월=May|저널 =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volume = 37 |쪽=442 |확인일자 = 2006-09-07}}</ref> 밝기의 변화에서 도출한 바너드 별의 [[자전주기]]는 130일(태양은 26일)로, 이를 통해 오랜 기간에 걸쳐 바너드 별은 자전 에너지를 상당량 잃었음을 알 수 있다.<ref name=Benedict1998/> 늙은 별에 속하기 때문에 바너드 별은 표면 활동량이 적을 것으로 생각했었다. 그러나 [[1998년]] 천문학자들은 이 별의 표면에서 극심한 태양 플레어 현상을 발견했으며, 이로 인해 바너드 별은 [[플레어 별]]로 밝혀졌다.<ref name=Flare>{{웹 인용| |성 = Ken |이름 = Croswell |url = http://www.astronomy.com/asy/default.aspx?c=a&id=3658 |제목 = 바너드 별의 플레어(''A Flare for Barnard's Star'') |연도 = 2005년 11월 |웹사이트 = Astronomy Magazine |출판사 = Kalmbach Publishing Co|확인일자 = 2006-08-10}}</ref> 바너드 별의 변광성 명칭은 '''뱀주인자리 V2500'''이다.
[[파일:Barnard2005.gif|thumb|200px|left|바너드 별이 [[1985년]]에서 [[2005년]]까지 5년 간격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
[[고유 운동]]을 통해 계산한 바너드 별의 상대적 측면속도(태양에 대해 비스듬하게 움직이는 것)는 초당 90킬로미터이다. 1년에 10.3초씩 이동하고 있으며, 한 인간의 수명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보름달]] 각지름의 절반에 해당하는 0.25도를 움직인다.<ref name=Kaler>{{웹 인용 |1 = |성 = James B. |이름 = Kaler |url = http://www.astro.uiuc.edu/~kaler/sow/barnard.html |제목 = 바너드 별(''Barnard's Star (V2500 Ophiuchi))'' |연도 = 2005년 11월 |웹사이트 = Stars |출판사 = James B. Kaler |확인일자 = 2006-09-07 |확인날짜 = 2015-12-31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60905110505/http://www.astro.uiuc.edu/~kaler/sow/barnard.html |보존날짜 = 2006-09-05 |깨진링크 = 예 }}</ref>
 
바너드 별이 태양에 대하여 움직이는 상대 속도는 [[청색 편이]]를 통해 잴 수 있다. 이 상대 속도는 [[성표]]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수록하고 있는데, [[SIMBAD]]에서는 초당 106.8킬로미터, [[ARICNS]]에서는 110.8킬로미터이다. 고유 운동과 청색 편이를 조합한 바너드 별의 태양에 대한 실제 속도는 각각 초당 139.7킬로미터와 142.7킬로미터이다.<ref>''실제 속도'' = (90² + 106.8²)<sup>½</sup> = 139.7 또는 ''실제 속도'' = (90² + 110.8²)<sup>½</sup> = 142.7. 고유 운동이 큰 별은 태양에 대한 실제 속도도 빠르지만, 여기에는 태양과의 거리라는 변수가 포함되어 있다. 우리 은하 내에 알려진 별들 중 가장 고유 운동이 큰 별은 [[울프 424]]로 속도는 무려 초당 555킬로미터에 이른다.</ref> 바너드 별은 태양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으며 서기 [[11700년]] 경 3.8광년까지 다가올 것이다.<ref>García-Sánchez, J., et al, [http://adsabs.harvard.edu/abs/2001A%26A...379..634G Stellar encounters with the solar system], ''Astronomy & Astrophysics'' '''379''', p.642 (2001).</ref>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바너드 별은 이렇게 가까이 접근하더라도 밝기는 고작 8.5등급으로 인간의 맨눈에는 보이지 않을 것이다. 3.8광년까지 접근한 뒤 바너드 별은 서서히 멀어져 갈 것이다.
41번째 줄:
다른 천문학자들은 지속적으로 판 데 캄프의 관측값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으며, [[1973년]] 발표된 두 중요한 논문은 캄프의 행성 존재설을 무력화시켰다. 게이트우드와 에이크혼은 새로운 건판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천문대에서 바너드 별을 관측했으며, 둘 다 어떤 행성도 찾을 수 없었다.<ref>{{저널 인용 |저자 = Gatewood, George, and Eichhorn, H. |연도 = 1973 |제목 = 성공하지 못한 바너드 별의 행성 동반체 탐사(''An unsuccessful search for a planetary companion of Barnard's star (BD +4 3561)'')|url=http://adsabs.harvard.edu/cgi-bin/nph-bib_query?1973AJ.....78..769G&db_key=AST|저널 = Astronomical Journal |volume = 78 |issue = 10 |쪽 = 769 |확인일자 = 2006-08-09}}</ref> 이들의 발표 넉 달 전 허셰이는 논문을 통해 여러 별들을 측성학적으로 연구한 값들의 변화량은 망원경 렌즈의 설정 및 변경 타이밍과 관련이 있으며,<ref>{{저널 인용 |저자 = John L. Hershey |연도 = 1973 |제목 = Astrometric analysis of the field of AC +65 6955 from plates taken with the Sproul 24-inch refractor. |저널 = Astronomical Journal |volume = 78 |issue = 6 |쪽 = 421 |url = http://www.journals.uchicago.edu/cgi-bin/resolve?id=doi:10.1086/111436 |doi = 10.1086/111436 |확인일자 = 2006-08-09}}</ref> 행성 '발견'은 유지 보수 및 성능향상 중 발생한 인위적 결과임을 밝혔다.
 
판 데 캄프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실수임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1982년]] 두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ref>{{저널 인용 |저자 = Van de Kamp, Peter. |연도 = 1982 |제목 = 바너드 별의 행성계(''The planetary system of Barnard's star'') |저널 = Vistas in Astronomy |volume = 26 |issue = 2 |쪽 = 141 |url = http://adsabs.harvard.edu/abs/1982VA.....26..141V |doi = 10.1016/0083-6656(82)90004-6 |확인일자 = 2006-08-10}}</ref> 스와스모어 대학교 내 판 데 캄프의 후계자이자 [[쌍성]] 연구 전문가였던 불프 하인츠는 스승의 연구 결과에 의문을 품었다. 그는 [[1976년]]부터 비판적인 논문을 쓰기 시작했으며 두 사람은 이로 인해 소원한 관계가 되었다.<ref name=Swathmore>{{웹 인용 |1 = |성 = Bill |이름 = Kent |url = http://www.swarthmore.edu/bulletin/mar01/wobble.html |제목 = 바너드 별의 떨림(''Barnard's Wobble'') |연도 = 2001년 |웹사이트 = Bulletin |출판사 = Swarthmore College |확인일자 = 2006-08-09 |확인날짜 = 2006-08-09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61022081124/http://www.swarthmore.edu/bulletin/mar01/wobble.html |보존날짜 = 2006-10-22 |깨진링크 = 예 }}</ref>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지만,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그리고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수행한 간섭계 측정을 통해서도 바너드 별의 동반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ref name = Hubble99>{{저널 인용 |저자 = G.Fritz Benedict, Barbara McArthur, D. W. Chappell, E. Nelan, W. H. Jefferys, W. van Altena, J.Lee, D. Cornell, P. J. Shelus, P.D. Hemenway, Otto G. Franz, L. H. Wasserman, R. L. Duncombe, D. Story, A. L. Whipple, L.W.Fredrick |연도 = 1999 |제목 = 허블 우주 망원경의 파인 가이던스 3을 사용한,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와 바너드 별의 간섭측정 천문학 : 준항성 동반체 탐사의 한계(''Interferometric Astrometry of Proxima Centauri and Barnard's Star Using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 3: Detection Limits for sub-Stellar Companions'') |저널 = Astrophysics |url = http://arxiv.org/abs/astro-ph/9905318 |확인일자 = 2006-08-10}}</ref>
49번째 줄:
== 다이달로스 계획 ==
{{본문|다이달로스 계획}}
행성의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을 빼면, 바너드 별에 대해 가장 자세하게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다이달로스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1973년]]부터 [[1978년]] 사이에 수행되었으며, 현재 기술 또는 근미래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날 수 있는 무인 우주선을 개발하자는 내용이었다.<ref name = Daedalus76>{{저널 인용 |저자 = Bond, A., and Martin, A.R. |연도 = 1976 |제목 = 다이달로스 계획 - 미션 프로파일(''Project Daedalus - The mission profile'') |저널 = Journal of the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 |url = http://md1.csa.com/partners/viewrecord.php?requester=gs&collection=TRD&recid=A7618970AH&q=project+daedalus&uid=788304424&setcookie=yes |volume = 29 |issue = 2 |쪽 = 101 |확인일자 = 2006-08-15 |확인날짜 = 2006-08-15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1020144727/http://md1.csa.com/partners/viewrecord.php?requester=gs&collection=TRD&recid=A7618970AH&q=project+daedalus&uid=788304424&setcookie=yes |보존날짜 = 2007-10-20 |깨진링크 = 예 }}</ref> 바너드 별이 목표지로 선택된 이유 중 하나는 이 별이 행성을 거느릴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ref name=DarlingDaedalus>{{웹 인용| |성= David |이름= Darling |url = http://www.daviddarling.info/encyclopedia/D/Daedalus.html |제목 = Daedalus, Project |월 = July |연도=2005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Astrobiology, Astronomy, and Spaceflight |확인일자 = 2006-08-10}}</ref>
 
[[중수소]]나 [[헬륨-3]]의 전자 충격을 통해 [[핵융합]] 작용을 일으켜, 4년간 우주선을 가속시켜 [[빛의 속도|광속]]의 12퍼센트에 이르는 속도를 얻는다는 것이 구체적인 방법이었다. 이 속도로 날아갈 경우 바너드 별에 인간의 생애보다 짧은 50년 만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ref name = DarlingDaedalus/> 별 자체 및 동반 행성체에 대한 고려 외에도, 태양과 이 별 사이의 [[성간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었다.<ref name = Daedalu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