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헌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4번째 줄:
그해 [[허준]](許浚)의 《벽역신방》(辟疫神方)을 내의원(內醫院)에서 닥종이에 훈련도감(訓鍊都監) 활자로 간행할 때 역시 내의원 부봉사 [[윤지미]]와 함께 감교관으로 참여하였다. 그 뒤 [[내의원]]수의(首醫)를 거쳐 [[1627년]]에는 [[이인거의 난]] 진압에 조력한 공로로 [[소무공신|소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정헌대부(正憲大夫) 동지(同知)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1628년]](인조 6) [[10월 22일]] 임금이 수침(受針)에 든 [[내의원]] 관료들을 포상할 때 침의였던 이영남(李英男)·이희헌·이략(李絡)·허임(許任) 등에게 각각 중표피(中豹皮) 1령(一令)을 하사하였다. [[1629년]](인조 7) [[1월 4일]] 인조가 비망기를 내려 [[산실청]]도제조 [[김류]](金瑬) 등 관료들을 포상할 때 의관인 그는 반숙마(半熟馬) 1필을 하사받았다. 이후 [[어의]](御醫)에 올랐고, [[1631년]](인조 9) [[2월 29일]]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 이하를 시상할 때 어의 신득일, 이영남, 이희헌, 견후민, 이략, 김경향, 김사남 등이 가자되었다. 같은 날 [[가선]](嘉善)에 상가(賞加)되었다.
 
[[1633년]] 가선대부 행용양위부호군(嘉善大夫 行龍驤衛副護軍), [[1635년]](인조 13) [[1월 3일]]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1639년]](인조 17) [[8월 16일]] 상이 [[양화당]](養和堂)에 [[약방]] 관원들과 입시할 때 어의로 입시하였다. [[1640년]] 윤1월 1일 어의로써 입진하였다. [[1641년]] [[내의원]]수의가 되었다.
[[1629년]](인조 7) [[1월 4일]] 인조가 비망기를 내려 [[산실청]]도제조 [[김류]](金瑬) 등 관료들을 포상할 때 의관인 그는 반숙마(半熟馬) 1필을 하사받았다. 이후 [[어의]](御醫)에 올랐고, [[1631년]](인조 9) [[2월 29일]]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 이하를 시상할 때 어의 신득일, 이영남, 이희헌, 견후민, 이략, 김경향, 김사남 등이 가자되었다. 같은 날 [[가선]](嘉善)에 상가(賞加)되었다.
 
[[1635년]](인조 13) [[1월 3일]]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1639년]](인조 17) [[8월 16일]] 상이 [[양화당]](養和堂)에 [[약방]] 관원들과 입시할 때 어의로 입시하였다. [[1640년]] 윤1월 1일 어의로써 입진하였다. [[1641년]] [[내의원]]수의가 되었다.
 
[[1643년]](인조 21) [[4월 6일]] 사직(司直)으로 강자환수(降資還授)받았다. 이 해 [[7월 28일]] 인조가 수침(受鍼)할 때에 어의로서 다른 어의 최득룡(崔得龍), 침의(鍼醫) 이형익(李馨益), 박태원(朴泰元) 등과 함께 입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