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틀 바꿈: 성별 정체성과 성적 지향
6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2)
19번째 줄:
'''성전환증'''(性轉換症, {{llang|en|transsexualism|트랜스섹슈얼리즘}})은 어떤 개인이 자신의 [[젠더|사회적 성별]]을 생물학적 성별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상태이다. 그 사람이 상대방 성별의 구성원이 되고자 하는 열망의 결과로 심리적 불편을 느끼거나<ref name="icd-10">{{웹 인용|언어=en|url=http://apps.who.int/classifications/icd10/browse/2010/en#/F64.0|제목=Gender identity disorders - Transsexualism|웹사이트=[[ICD-10]]|출판사=[[세계 보건 기구]]|연도=2010|확인날짜=2014-09-13}}</ref>, 성정체성으로 인하여 정신적 장애 또는 고통을 겪을 때 성전환증의 의학적 진단이 이루어진다.<ref name=DSM-IV-TR>{{서적 인용|언어=en|제목=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저자=미국 정신 의학회|연도=2000|출판사=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isbn=0-89042-025-4}}{{쪽|날짜=2014-09-13}}</ref> 성전환증을 가진 사람을 '''성전환자'''(性轉換者, {{lang|en|transsexual|트랜스섹슈얼}})라고 한다. 성전환자는 [[트랜스젠더]]에 포함되지만, 모든 트랜스젠더가 성전환자인 것은 아니다.
 
오늘날에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나 [[성전환 수술]]을 받아 원하는 성별의 외관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성전환 (젠더)|성전환]]을 위한 요법들은 보통 성인 이후에 허용되지만 서양 일부 국가{{모호|날짜=2014-09-13}}의 경우 아동의 [[성전환 (젠더)|성전환]]을 위한 [[호르몬 대체 요법]]을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f>{{웹 인용|언어=nl|url=http://www.volkskrant.nl/vk/nl/2844/Archief/archief/article/detail/709528/2003/09/13/Ze-h-t-dat-piemeltje.dhtml|제목=Ze h t dat piemeltje|날짜=2003-09-13|출판사=더 폴크스크란드|저자=Ellen de Visser|확인날짜=2014-09-13|보존url=httphttps://archive.istoday/7tmBk20140913045033/http://www.volkskrant.nl/vk/nl/2844/Archief/archief/article/detail/709528/2003/09/13/Ze-h-t-dat-piemeltje.dhtml|보존날짜=2014-09-13|깨진링크=아니오}}</ref><ref>{{웹 인용|언어=en|url=http://ai.eecs.umich.edu/people/conway/TS/TS-IIa.html#anchor184279|제목=Transitioning early in life|저자=[[린 콘웨이]]|보존url=httphttps://archive.istoday/ptzon20140913050859/http://ai.eecs.umich.edu/people/conway/TS/TS-IIa.html#anchor184279|보존날짜=2014-09-13|확인날짜=2014-09-13|깨진링크=아니오}}</ref><ref>{{웹 인용|언어=en|url=http://ai.eecs.umich.edu/people/conway/TS/Netherlands/Nicole%27s%20Story.html|제목=NEILS BECAME NICOLE "Now I am able to be who I actually am"|확인날짜=2014-09-13|보존url=http://archive.is/7tmBk|보존날짜=2014-09-13}}<br />참고: 위 고리는 2002년 11월 [http://www.lkgtent.nl/ Landelijke Kontaktgroep T&T] 에 “Neils werd Nicole”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네덜란드어 글을 영어로 번역한 것임.</ref>
 
성전환증은 세계의 여러 곳에서 비난과 지탄을 받고 있으나, 서방세계에서는 20세기 중후반 [[성혁명]]과 [[성전환 수술]]의 개발 이후 그 이해가 증가하였다. 성전환증에 대한 부정적 사고방식은 성전환자들에 대한 폭력 또는 차별을 야기한다. 대중문화에 있어서도 성전환증이 [[드랙]]이나 [[크로스드레싱]]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31번째 줄:
 
== 유병률 ==
DSM-IV(1994년)에 따르면, 미국에서 [[성전환 수술]]을 원하는 사람은 생물학적 남성 중에서는 3만 명 중에 1명, 생물학적 여성 중에서는 10만 명 중에 1명 꼴로 나타난다. 가장 널리 인용되는 유병률 추정치는 암스테르담 성불쾌감 의원의 데이터로<ref>{{저널 인용|언어=en|저자=Paul J. M Van Kesteren, Henk Asscheman, Jos A. J Megens, Louis J. G Gooren|제목=Mortality and morbidity in transsexual subjects treated with cross-sex hormones|journal=J. Clin. Endocrinol.|volume=47|issue=3|pages=337-343|publisher=Blackwell, Oxford, UK|year=1997|url=http://www.blackwell-synergy.com/doi/abs/10.1046/j.1365-2265.1997.2601068.x|doi=10.1046/j.1365-2265.1997.2601068.x|pmid=9373456}}</ref>, 40년 이상의 시간에 걸쳐 네덜란드의 성전환자 중 95% 정도를 치료하면서 누적된 데이터이다. 이에 따르면 생물학적 남성 중에서는 1:10,000, 생물학적 여성 중에서는 1:30,000 정도의 비율로 성전환증이 나타난다. 성 정체성 장애의 유병률에 대한 직접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는 없으나, 과거 20년 이상의 시간동안 간행된 다양한 임상논문들에서 생물학적 남성에게는 1:7,400에서 1:42,000 사이, 생물학적 여성에게는 1:30,040에서 1:104,000 사이의 유병률을 추산해낼 수 있다.<ref>{{웹 인용|언어=en|제목=The Prevalence of Transgenderism|url=http://tgmentalhealth.com/2010/03/31/the-prevalence-of-transgenderism/|출판사=Transgender Mental Health|저자=Ami B. Kaplan|날짜=2010-03-31|확인날짜=2014-09-13|보존url=https://archive.today/20140913074114/http://tgmentalhealth.com/2010/03/31/the-prevalence-of-transgenderism/|보존날짜=2014-09-13|깨진링크=아니오}}</ref>
The Prevalence of Transgenderism|url=http://tgmentalhealth.com/2010/03/31/the-prevalence-of-transgenderism/|출판사=Transgender Mental Health|저자=Ami B. Kaplan|날짜=2010-03-31|확인날짜=2014-09-13|보존url=http://archive.is/h5FD3|보존날짜=2014-09-13}}</ref>
 
== 원인 ==
{{본문|성전환증의 원인}}
성전환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신적인 것과 생물학적인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딕 스왑]] 교수는 이것이 태아기와 유전에 관련된 증거를 제시한다.<ref name="hawaii.edu">{{저널 인용|언어=en|author=Swaab, D.F.|제목=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brain: relevance for gender identity, transsexualism and sexual orientation|journal=Gynecological Endocrinology|volume=19|pages=301-312|year=2004|pmid=15724806|doi=10.1080/09513590400018231|url=http://www.hawaii.edu/hivandaids/Sexual_Differentiation_of_the_Human_Brain__Relevance_for_Gender_Identity,_Transsexualism_and_Sexual_Orientation.pdf|issue=6|확인날짜=2010년 02월 09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601193610/http://www.hawaii.edu/hivandaids/Sexual_Differentiation_of_the_Human_Brain__Relevance_for_Gender_Identity,_Transsexualism_and_Sexual_Orientation.pdf|보존날짜=2010년 06월 01일|깨진링크=예}}</ref><ref name=Kruijver00>{{저널 인용|언어=en|doi=10.1210/jc.85.5.2034|저자=Frank P. M. Kruijver, Jiang-Ning Zhou, Chris W. Pool, Michel A. Hofman, Louis J. G. Gooren and Dick F. Swaab|title=Male-to-Female Transsexuals Have Female Neuron Numbers in a Limbic Nucleus|journal=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volume=85|issue=5|pages=2034-41|year=2000|pmid=10843193|ref=harv}}</ref><ref name="brain.oxfordjournals.org">{{저널 인용|언어=en|author=Garcia-Falgueras A, Swaab DF|제목=A sex difference in the hypothalamic uncinate nucleus: relationship to gender identity|journal=Brain|volume=131|issue=Pt 12|pages=3132-46|date=2008-10-01|pmid=18980961|doi=10.1093/brain/awn276}}</ref> 그러한 증거들 중 하나로 [[분계선조|분계선조층핵]](BST)이 있다. BST는 뇌저신경절을 구성하는 부분인데, 태아기 때 [[안드로겐]]의 영향을 받는다.<ref>{{서적 인용|언어=en|저자=Neil R. Carlson, William Buskist|제목=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r|연도=1997|출판사=Pearson Education|쪽=418|isbn=0205261957}}</ref> 한 연구에선, [[트랜스여성]]의 BST가 [[시스젠더]](생물학적 성별과 정신적 성별이 일치하는) 여성의 BST와 유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편 이성애자 남성과 동성애자 남성의 BST는 서로 비슷했으나 여성들(시스여성과 트랜스여성 모두)의 BST와는 달랐다.<ref name=Kruijver00/> 또다른 연구에서는 성전환증에 유전적 요소가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ref>{{웹 인용|언어=en|url=http://news.bbc.co.uk/2/hi/health/7689007.stm|제목=Transsexual gene link identified|출판사=[[BBC]]|날짜=2008-10-26|확인날짜=2008-10-26}})</ref> 태아기 때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따위의 유산 방지 약물에 노출되는 것이 성전환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증거도 상당하나,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확실한 인과관계는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ref name="pmid16203228">{{저널 인용|언어=en|author=Hood E|title=Are EDCs blurring issues of gender?|journal=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volume=113|issue=10|pages=A670-7|year=2005|pmid=16203228|pmc=1281309|doi=10.1289/ehp.113-a670}}</ref><ref name="Blackless_2006">{{저널 인용|언어=en|author=Blackless M, Besser M, Carr S, Cohen-Kettenis PT, Connolly P, De Sutter P, Diamond M, Di Ceglie D, Higashi Y, Jones L, Kruijver FPM, Martin J, Playdon Z-J, Ralph D, Reed T, Reid R, Reiner WG, Swaab D, Terry T, Wilson P, Wylie K|title=Atypical Gender Development – A Review|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genderism|volume=9|issue=1|pages=29-44|year=2006|doi=10.1300/J485v09n01_04}}</ref><ref name="pmid11580991">{{저널 인용|언어=en|author=Michel A, Mormont C, Legros JJ|title=A psycho-endocrinological overview of transsexualism|journal=Eur. J. Endocrinol.|volume=145|issue=4|pages=365-76|year=2001|pmid=11580991|doi=10.1530/eje.0.1450365}}</ref><ref name="pmid16267416">{{저널 인용|언어=en|author=Selvaggi G, Ceulemans P, De Cuypere G, VanLanduyt K, Blondeel P, Hamdi M, Bowman C, Monstrey S|title=Gender Identity Disorder: General Overview and Surgical Treatment for Vaginoplasty in Male-to-Female Transsexuals|journal=Plast. Reconstr. Surg.|형식=PDF|volume=116|issue=6|pages=135e-145e|year=2005|pmid=16267416|doi=10.1097/01.prs.0000185999.71439.06|url=http://www.shb-info.org/sitebuildercontent/sitebuilderfiles/vaginoplasty2005doc.pdf}}</ref>
 
== 성전환 치료 ==
줄 47 ⟶ 46:
 
=== 정신적 치료 ===
성정체성을 생물학적 성별에 맞춰 바꾸려는 시도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다. 널리 받아들여지는 치료기준에서는 성전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는 타당하고 또 유효한 치료는 성전환 치료 뿐이라고 명기하고 있다.<ref name="WPATHSOCs">{{저널 인용|언어=en|url=http://www.wpath.org/uploaded_files/140/files/IJT%20SOC,%20V7.pdf|format=PDF|제목=Standards of Care for the Health of Transsexual,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People, 7th Version|연도=2010|권=13|확인날짜=2012-02-23|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genderism|ISSN=1434-4599|DOI=10.1080/15532739.2011.70087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106203349/http://www.wpath.org/uploaded_files/140/files/IJT%20SOC,%20V7.pdf|보존날짜=2016-01-06|깨진링크=예}}</ref>
<ref>{{저널 인용|언어=en|url=http://press.endocrine.org/doi/full/10.1210/jc.2002-021967|제목=Endocrine Treatment of Transsexual People: A Review of Treatment Regimens, Outcomes, and Adverse Effects|저자=Eva Moore, Amy Wisniewski, Adrian Dobs|journal=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volume=88|issue=8|pages=3467-3473|year=2002|ISSN=0021-972X}}</ref>
 
성전환자들은 [[임상우울증]], [[불안감]], 다양한 [[약물의존]], 높은 [[자살]]률 등 심한 정신의학적 문제를 앓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치료의 필요성이 강조된다.<ref>{{웹 인용|언어=en|url=http://www.metrokc.gov/health/glbt/transgender.htm|보존url=httphttps://web.archive.org/web/20000818182316/http://www.metrokc.gov/health/glbt/transgender.htm|날짜=2000-08-11|보존날짜=2000-08-18|제목=Seattle and King County Health&nbsp;- Transgender Healt|출판사=[[킹 군 (워싱턴 주)|킹 군]]|확인날짜=2000-08-18|깨진링크=예}}</ref>
 
많은 트랜스젠더 운동가들은 상기한 문제들이 성정체성 그 자체가 아닌, 개인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대응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일부 성전환자들은 자신의 성정체성을 정신과적 문제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기준에서 권고되는 상담을 거부하기도 한다.<ref name="WPATHSO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