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교포 북송저지공작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4)
6번째 줄:
[[파일:Chosen-gakko classroom.jpg|thumb|150px|[[조선학교]] 교실의 [[김일성]]과 [[김정일]]의 사진.]]
[[한국 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진 [[1951년]] [[7월]]부터 휴전 회담이 개시되면서, 당시 대한민국의 대통령 이승만은 [[1952년]] [[1월 8일]]에 [[평화선]]을 선언하여, 독도 및 동해 영해에 들어온 [[평화선#일본과의 대치|일본 선박 및 선원]]들을 억류하여, [[제1차 다이호마루 사건]] 등, 일본인 선원이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게 되었다.<ref>{{웹 인용
| url = http://www.jimin.jp/jimin/info/takeshima/index.html
| title =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서 (다케시마 료유켄 몬다이니 츠이테)
| publisher = [[자유민주당 (일본)|자유민주당]]
| author = [[이시바 시게루]]
| date = 2006-05-16
| accessdate = 2010-02-04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801062054/http://www.jimin.jp/jimin/info/takeshima/index.html
}}</ref><ref>{{뉴스 인용
|보존날짜 = 2008-08-01
|깨진링크 = 예
}}</ref><ref>{{뉴스 인용
| url = http://japanese.yonhapnews.co.kr/headline/2009/01/07/0200000000AJP20081222003300882.HTML
| title = 오늘의 역사 (1월 7일)
줄 19 ⟶ 22:
| accessdate = 2010-02-04
}}</ref><ref>{{뉴스 인용
| url = http://www.chosunonline.com/article/20050410000024
| title = 한국,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에서 대마도 영유권 요구 (韓国、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で対馬領有権を要求)
| newspaper = [[조선일보]]
| date = 2005-04-10
| accessdate = 2010-02-04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90308010113/http://www.chosunonline.com/article/20050410000024
}}</ref> 다이호마루 사건 당시에도 이미 억류되어 있던 일본인들은 계속 억류된 상태였다.<ref name=kokkai19591208/> 이 시기의 한반도, 특히 대한민국(이하 한국) 지역은 전쟁으로 국토가 크게 황폐화되어 경제 활동이 쇠퇴, 세계 최빈국이 되었다.<ref>[http://megalodon.jp/2008-0223-1744-36/www.gunma-mindan.jp/sss/index.cgi?mode=html&no=3&respage=39 기본 조약]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군마현]] 지방 본부</ref> 거기에 [[제주 4·3 사건]]과 [[여순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많은 한국인이 일본으로 망명했다.<ref>{{뉴스 인용
|보존날짜 = 2009-03-08
|깨진링크 = 예
}}</ref> 다이호마루 사건 당시에도 이미 억류되어 있던 일본인들은 계속 억류된 상태였다.<ref name=kokkai19591208/> 이 시기의 한반도, 특히 대한민국(이하 한국) 지역은 전쟁으로 국토가 크게 황폐화되어 경제 활동이 쇠퇴, 세계 최빈국이 되었다.<ref>[http://megalodon.jp/2008-0223-1744-36/www.gunma-mindan.jp/sss/index.cgi?mode=html&no=3&respage=39 기본 조약]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군마현]] 지방 본부</ref> 거기에 [[제주 4·3 사건]]과 [[여순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많은 한국인이 일본으로 망명했다.<ref>{{뉴스 인용
| url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380385
| title = 그때 오늘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이 시작되다
줄 34 ⟶ 40:
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은 [[1955년]]에 재일 조선인이 극좌급진주의를 지양하고 세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이하 조총련)과 긴밀한 제휴 관계를 맺게 되었다.<ref name="kim222">김찬정, 222쪽에서.</ref> 또, 북한은 공산권 각 나라의 지원을 받아 전후 복구를 차차 진행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재일 조선인의 조선 학교에의 지원 등, 자금을 원조해주기도 하였다.<ref name="kim222"/> 한국 정부는 북한의 조선 학교 교육비 원조에 대해 항의하였는데<ref>김찬정, 222 ~ 223쪽에서.</ref>, 반면 한국 정부는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지금의 재일본대한민국민단)으로부터 "지원을 해주지 않는 것"에 대해 항의를 받아 지원을 시작했으나, 그 액수는 북한의 지원액의 10분의 1에 그쳤다.<ref name="kim223">김찬정, 223쪽에서.</ref> 결국 [[재일 한국인]]은 남한 출신자가 99%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남한 정부의 홀대로 북한에 대해 신뢰를 가지게 되어, 대다수가 조총련에 가입하게 되었다.
 
* [[1945년]] [[9월 2일]] ~ [[1952년]] [[4월 28일]],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령에 따라 재일 한국인 중 다수의 밀입국자와 범죄자가 한국에 강제 송환되었다. 이 중 [[오무라 수용소]]에서만 차출된 송환 대상자의 수가 3,633명이었다.<ref name="kim200">김찬정, 200쪽에서.</ref> 한편, 자신의 송환을 희망한 재일 한국인 140만명도 귀환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asahi-net.or.jp/~dt9k-iwmt/kobeya/kousatu/ko21.htm |제목=재일 조선인 귀국 문제의 진상: 일본 적십자사] |확인날짜=2010년 09월 1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19215703/http://www.asahi-net.or.jp/~dt9k-iwmt/kobeya/kousatu/ko21.htm |보존날짜=2011년 08월 19일 |깨진링크=예 }}</ref><ref name=asahi19590713>아사히 신문, 1959년 7월 31일 2면 〈태반이 자유 의지로 거주… 외무성, 재일 조선인에게 발표한 전쟁 중 징용인 수는 245명〉(大半、自由意思で居住 外務省、在日朝鮮人で発表 戦時徴用は245人)</ref><ref name=asahi19590714>아사히 신문, 1959년 7월 14일 석간 2면 〈"외무성 발표는 엉터리"… 징용자의 수에 대해 조총련이 반론〉(外務省発表はデタラメ、徴用者の数 朝鮮総連が反論</ref><ref>{{뉴스 인용
| url = http://megalodon.jp/2010-0312-0059-38/sankei.jp.msn.com/politics/policy/100311/plc1003111306007-n1.htm
| title = 재일 조선인, 전시 징용은 약 24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