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위키데이터와 로컬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링크 조정
15번째 줄:
== 역사 ==
 
1817년 [[스웨덴]]의 과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llang|sv|Jöns Jakob Berzelius}}, [[1779년]] [[8월 20일]] - [[1848년]] [[8월 7일]])가 [[셀렌]]을 발견하였다. 이후 56년후인 1873년 [[아일랜드]]의 [[전신|전신 기사]] [[조지프 메이]]가 셀렌의 [[광전 효과]]를 발견하였다. 2년후인 1875년 [[미국]]의 [[조지 케리]]가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전기=== 신호로기계식 바꾸는데텔레비데 성공하였다. 셀렌으로 수많은 광전지를 만들어 각각을 [[전구]]에 연결한 뒤 셀렌 판 앞에 물체를 두자 전구가 물체의 윤곽을 나타낸 것이다.<ref name="teletronic">[http://www.teletronic.co.uk/pioneers.htm 텔레비전의 선구자들], teletronic.co.uk, 2009-8-1 읽어봄</ref>===
=== 기계식 텔레비전 ===
[[파일:Nipkow disk.svg|thumb|닙코프 디스크]]
1817년 [[스웨덴]]의 과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llang|sv|Jöns Jakob Berzelius}}, [[1779년]] [[8월 20일]] - [[1848년]] [[8월 7일]])가 [[셀렌]]을 발견하였다. 이후 56년후인 1873년 [[아일랜드]]의 [[전신|전신 기사]] [[조지프 메이]]가 셀렌의 [[광전 효과]]를 발견하였다. 2년후인 1875년 [[미국]]의 [[조지 케리]]가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데 성공하였다. 셀렌으로 수많은 광전지를 만들어 각각을 [[전구]]에 연결한 뒤 셀렌 판 앞에 물체를 두자 전구가 물체의 윤곽을 나타낸 것이다.<ref name=teletronic>[http://www.teletronic.co.uk/pioneers.htm 텔레비전의 선구자들], teletronic.co.uk, 2009-8-1 읽어봄</ref>
 
그러나 케리의 텔레비전은 좋은 화상을 얻기 위해서 무수히 많은 전구와 전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은 [[1884년]] [[독일]]의 전기 기술자 [[파울 고틀리베 닙코프]]({{llang|de|Paul Gottlieb Nipkow}}, [[1860년]] [[8월 22일]] – [[1940년]] [[8월 24일]])였다. 그는 셀렌판 앞에 24개의 구멍이 뚫린 원판을 세우고 이를 모터로 회전시켜 빛을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수많은 광전지에서 나온 전기 신호를 하나의 전선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신호를 전달받은 수상기는 같은 역의 방법으로 전구를 켜서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었다. 그는 [[영화]]의 기술과 같이 빛이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재현하더라도 [[잔상]] 효과때문에 사람들은 전체의 이미지로 파악한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주사 방식은 텔레비전의 화상 표현 방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닙코프의 장치는 "전기망원경"이라 불렸다. 1926년 [[영국]]의 사업가 [[존 로지 베어드]]는 닙코프의 "전기망원경"을 이용한 사업을 시작하였다. 베어드가 "텔레바이저"({{llang|en|televisor}})라 부른 이 기계는 이후의 [[음극선관]]을 이용한 텔레비전과 구분하여 기계식 텔레비전이라 부른다. 1929년 [[BBC]]는 세계 최초로 기계식 텔레비전을 이용한 방송을 시작하였다.<ref>백종민, 전자기 멕스웰의 스파크, 성우, 2007</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