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켓 표기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틀 추가 - 기존의 문서를 충분히 읽어보았습니다. 함께 개선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다듬어지지 않은 채로 올린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잔글 처음부분 수식 입력 및 약간의 수정
4번째 줄:
[[양자역학]]에서, '''브라-켓 표기법'''(bra-ket notation)은 [[양자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표기법이다. 또한 이 표기법은 추상적인 [[벡터]]를 나타내거나 [[선형 범함수]]를 표현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 표기법은 [[괄호|꺾쇠괄호]] ⟨ 그리고 ⟩와 ,[[수직선 (기호)|수직선]] | 을 사용하여 표기하며  복소벡터공간에서 벡터의 [[스칼라곱]] 또는 벡터 위로의 선형 범함수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내적]]이나 [[작용 (물리학)|작용]]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langle\phi{\mid}\psi\rangle.</math>
: <math />
 
오른쪽 부분은 '''켓'''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벡터 중에서도 [[열벡터]]를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쓰인다.
 
: <math >|\psi\rangle.</math>
 
왼쪽 부분은 브라라고 하며, 같은 레이블의 (같은 내용물을 가진) 켓의 [[에르미트 수반]]이다. 주로 행벡터를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쓰인다.
 
: <math >\langle\phi|.</math>
 
브라, 켓, 연산자의 조합은 [[행렬 곱셈]]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레이블이 같은 브라와 켓은 서로에게 에르미트 수반이다.
18번째 줄:
브라-켓 표기법은 1939년에 폴 디랙에 의해 소개되었기 때문에<ref name="Dirac">{{harvnb|Dirac|1939}}</ref><ref>{{harvnb|Shankar|1994|loc=Chapter 1}}</ref> '''디랙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브라-켓 표기법은 그보다생겨나기 100년 전쯤에 [[헤르만 그라스만이그라스만]] 내적에내적 대해표기법  <math /><ref name="Grassmann">{{harvnb|Grassmann|1862}}</ref>
<math>[\phi{\mid}\psi]</math>
으로 사용된 전례가 있다.
<ref name="Grassmann">{{harvnb|Grassmann|1862}}</ref>
 
== 소개 ==
줄 25 ⟶ 28:
양자역학에서 브라-켓 표기법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많은 현상들이 양자역학으로 설명되고, 양자역학은 보통 브라-켓 표기법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간단한 경우, 켓 <span class="nowrap">&#x7C;{{math|{{ket|''m''&#x27E9;</span>}}}} 은 [[열벡터]]로 쓰일 수 있으며, 같은 레이블의 브라 <span class="nowrap">&#x27E8;{{math|{{bra|''m''&#x7C;</span>}}}} 의 [[켤레 전치]](행벡터)이다. 그리고 브라, 켓, 선형 연산자를 나란히 쓰는 것은 [[행렬 곱셈]]을 의미한다.<ref name="Bra-Ket Notation Trivializes Matrix Multiplication">[http://algassert.com/post/1629 Gidney, Craig (2017). Bra–Ket Notation Trivializes Matrix Multiplication]</ref> 그러나, 켓은 문자 그대로 열벡터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셀 수 없는 무한 차원 벡터 공간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숫자들의 목록으로 열벡터를 쓰는기 위해서는 [[기저]]가 필요한데, 이에 반해 "<span class="nowrap">&#x7C;{{math|{{ket|''m''&#x27E9;</span>}}}}"이라고 쓰는것은 어떠한 특정한 기저를 정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특성은 자주 다른 기저(예를 들자면 위치 기저, 운동량기저, 에너지 고유기저 등)로 바꿔야하는 양자역학에서의 계산에서 유용하며, 그래서 브라-켓 표기법은 (어떠한 종류의) 기저벡터를 명시적으로 표현하기에 좋다. 어떤 상황에서는 중요한 두 기저 벡터가 단순히"<span class="nowrap">&#x7C;{{math|{{ket|''-''&#x27E9;</span>}}}}"와 "<span class="nowrap">&#x7C;{{math|{{ket|''+''&#x27E9;</span>}}}}"로 표현될 때도 있다.
 
일부 물리학자들이 선호하는 [[내적]]에 대한 표준 수학적 표기법은 다음 식과 같은 관계로 브라-켓 표기법과 정확히 같은 뜻을 나타낸다.
 
:<math>(\phi,\psi) = \langle\phi{\mid}\psi\rangle = \bigl(\langle\phi|\bigr) \, \bigl(|\psi\rangle\bigr),</math>
: <math />
 
브라와 켓은 또한 다른 방법으로 구성되어 등의 다른 뜻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다음 식과 같이 외적을 나타낼 수도 있다.
 
: <math >|\psi\rangle\langle\phi|</math>
 
또한 행렬 곱셈(즉, 열벡터 곱하기 행벡터는 행렬)을 나타낼 수도 있다.
줄 42 ⟶ 45:
 
=== 벡터 vs 켓 ===
수학에서 "벡터"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벡터 공간의 한 원소를 일컫는 데에 사용된다. 하지만 물리학에서 "벡터"라는 용어는 조금 더 자세한데, 거의 대부분이 실세계의 세 차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있는 세 요소를 가지고 있는 물리량([[변위]], [[속도]] 등)들을 일컫는 데에만 사용된다. 이러한 벡터는 일반적으로 화살표를 위에 표시하거나({{math|{{vec|''r''<span style="position:relative; margin-right:-0.75em; right:0.75em; bottom:0.75em;;"><small>→</small></span>}}}})또는 굵게 표시하여 ({{math|'''r'''}}) 나타내어진다.
 
양자역학에서 [[양자 상태]]는 일반적으로 추상복소수벡터공간의 원소로 표현되는데, 예를 들어 모든 가능한 [[파동함수]](삼차원 공간의 각 점에서 복소수로 대응되는 함수)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등이 있다. 이후    그러나 "벡터"라는 용어가 이미 다른 것들을 가르키는데 사용되면서(이전 단락을 참고하라.) 이러한 추상복소수벡터공간의 원소들을 일반적으로 "켓"으로 불리고 켓 표기법을 사용하여 표기하게 되었다.
 
=== 켓 표기법 ===
디랙이 발명한 켓 표기법은 수직선과 꺽쇠괄호를 사용한다.( <span class="nowrap">&#x7C;{{math|{{ket|''A''&#x27E9;</span> }}}}). 이 표기법이 사용될 때, 이러한 양들은 "켓"이라고 불리며, <span class="nowrap">&#x7C;{{math|{{ket|''A''&#x27E9;</span>}}}}는 "켓-A"로 읽는다.<ref>{{cite book|title=Quantum Mechanics Demystified|first=D.|last=McMahon|publisher=McGraw-Hill|year=2006|isbn=0-07-145546-9}}</ref> 이러한 켓들은 선형대수학의 일반적인 법칙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math />\begin{align}
|A \rangle &= |B\rangle + |C\rangle \\
|C \rangle &= (-1+2i)|D \rangle \\
|D \rangle &= \int_{-\infty}^{\infty} e^{-x^2} |x\rangle \, \mathrm{d}x \,.
\end{align}</math>
 
참고로, 어떠한 기호, 문자, 숫자, 심지어 단어들도 편리한 레이블은 무엇이든지 켓 안에 레이블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수식의 마지막 줄은 각 실수 {{math|''x''}}마다 있는 무한히 많은 켓들을 조합해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서 기호"<span class="nowrap">&#x7C;{{math|{{ket|''A''&#x27E9;</span>}}}}"는 "{{math|''A''}}" 자체의 의미와 관계 없이 구체적이고도 보편적인 수학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span class="nowrap">&#x7C;{{math|{{ket|1&#x27E9;</span> }}+ <span class="nowrap">&#x7C;{{ket|2&#x27E9;</span> }}}}는 <span class="nowrap">&#x7C;3&#x27E9;</span>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용이한 이해를 위해 켓 안의 레이블은 논리적으로 붙여진다. 예를 들어, 양자역학에서 [[에너지 고유켓]]은 관습적이고 일반적으로 그들의 [[양자수]] 목록에 따라 붙여진다.
 
=== 내적과 브라 ===
줄 58 ⟶ 65:
브라–켓 표기법은 내적을 위한 표기법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math> (A, B) = \langle A | B \rangle = \text{the inner product of ket } | A \rangle \text{ with ket } | B \rangle</math>
: <math />
 
브라–켓 표기법은 "브래킷(괄호)"으로 불리는 내적을 다음과 같이 "브라"와 "켓" 두 부분으로 나눈다.
 
:<math> \langle A | B \rangle = \bigl( \langle A | \bigr) \, \bigl( | B \rangle \bigr)</math>
: <math />
 
여기에서 <span class="nowrap">&#x27E8;{{math|{{bra|''A''&#x7C;</span> }}}}는 브라로 불리며, "브라-A"로 읽고, <span class="nowrap">&#x7C;{{math|{{ket|''B''&#x27E9;</span> }}}}는 위에서와 같이 켓이다.
 
내적을 브라와 켓으로 "나누는" 목적은 브라 <span class="nowrap">&#x27E8;{{math|{{bra|''A''&#x7C;</span> }}}}와 켓 <span class="nowrap">&#x7C;{{math|{{ket|''B''&#x27E9;</span> }}}}는 ''둘다'' , ''그 자체 ''로 의미가 있으며, 내적 밖의 다른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라와 켓을 분리하는 의미를 생각하는데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따라서, 표현 <span class="nowrap">&#x27E8;{{math|{{bra-ket|''A''&#x7C;|''B''&#x27E9;</span>}}}}에 대한 해석은 아래에 있는 두번째 해석, 즉, 선형 범함수의 작용으로 해석되어진다. 
 
==== 브라와 켓을 행벡터와 열벡터로 해석 ====
고정된 [[정규 직교 기저]]를 사용하는 유한차원 벡터공간에서, 내적은 다음과 같이 행벡터와 열벡터의 행렬 곱셈으로 쓰일 수 있다.
 
:<math> \langle A | B \rangle \doteq A_1^* B_1 + A_2^* B_2 + \cdots + A_N^* B_N =
: <math />
\begin{pmatrix} A_1^* & A_2^* & \cdots & A_N^* \end{pmatrix}
\begin{pmatrix} B_1 \\ B_2 \\ \vdots \\ B_N \end{pmatrix}</math>
 
이를 바탕으로 하면, 브라와 켓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math>\begin{align} \langle A | &\doteq \begin{pmatrix} A_1^* & A_2^* & \cdots & A_N^* \end{pmatrix} \\
: <math />
| B \rangle &\doteq \begin{pmatrix} B_1 \\ B_2 \\ \vdots \\ B_N \end{pmatrix} \end{align}</math>
and then it is understood that a bra next to a ket implies [[matrix multiplication]].
 
그리고 이러한 정의는 브라 옆에 켓을 놓는것을 [[행렬 곱셈]]을 암시하는것으로 이해하게 한다.
줄 81 ⟶ 92:
브라의 [[켤레 전치]](''에르미트 수반''으로도 알려져 있다.)는 켓과 일치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math>\langle A |^\dagger = |A \rangle, \quad |A \rangle^\dagger = \langle A |</math>
: <math />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브라,
 
:<math>\begin{pmatrix} A_1^* & A_2^* & \cdots & A_N^* \end{pmatrix} \,,</math>
: <math />
 
가 있을 때, [[켤레 복소수]]를 취하고 [[전치행렬|행렬을 전치]]하면 다음과 같은 켓이 되기 때문이다.
 
:<math>\begin{pmatrix} A_1 \\ A_2 \\ \vdots \\ A_N \end{pmatrix}</math>
: <math />
 
==== 브라를 선형범함수로 해석 ====
무한차원공간으로 일반화하기에 더 쉬운 동치의 추상적인 정의로는 브라를 켓의 공간에서의 선형 [[범함수]]로, 즉, 켓을 입력으로 하고 복소수를 출력하는 [[선형 변환]]으로 두는 것이다. 브라로 표현되는 선형 범함수는 내적과 똑같이 정의된다. 따라서, 만약 <span class="nowrap">&#x27E8;{{math|{{bra|''A''&#x7C;</span> }}}}가 리스 표현 정리 아래에서 <span class="nowrap">&#x7C;{{math|{{ket|''A''&#x27E9;</span> }}}}와 상응하는 선형 범함수라면 다음과 같다.
 
:<math>\langle A | B \rangle = \langle A|\bigl(|B\rangle\bigr)</math>
: <math />
 
즉, 이것 또한 내적과 똑같은 복소수를 만들어낸다. 우변의 표현은 여전히 두개의 켓을 포함하지만 ''내적이 아니다''. 이러한 내용이 혼란스러울수는 있지만, 결국 같은 숫자가 만들어지므로 내적으로 계산해도 큰 문제는 없다.
줄 103 ⟶ 114:
브라–켓 표기법은 힐베르트 공간이 아닌 벡터 공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양자역학에서, 무한의 [[노름]]을 가지고 있는 켓, 즉, [[규격화 불가능]] [[파동함수]]들은 관습적으로 쓰이고 있다. 예시로는 [[디랙 델타 함수]]나 무한 [[평면파]]가 [[파동 함수]]로 사용되는 상태 등이 있다. 기술적으로, 이러한 상태는 [[힐베르트 공간]]에 속하지 않는다. However, 그러나, "힐베르트 공간"의 정의는 이러한 상태들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겔판트-나이마르크-세갈 구성]]과 [[조작된 힐베르트 공간]]을 참고하라.) 브라–켓 표기법은 이러한 넓은 맥락에서도 비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나흐공간|바나흐 공간]]은 힐베르트공간의 다른 정규화이다. 바나흐 공간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B</span>}}}}에서, 벡터는 켓으로, [[선형 범함수]]는 브라로 표기될 수 있다. 사실,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이 아닌 어떠한 벡터공간에서도 벡터를 켓으로 선형 범함수를 브라로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더 일반적인 맥락에서 꺾쇠괄호는 리스 표현 정리가 적용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 내적의 의미를 가질 수 없다.
 
== 양자역학에서의 사용 ==
양자역학의 수학적 구조들의 대부분은 [[선형 대수학|선형대수학]]을 기반으로 한다.
 
* [[파동 함수]] 및 다른 [[양자상태]]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의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이 힐베르트 공간의 정확한 구조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브라-켓 표기법에서의 예를 들자면 하나의 전자는 "상태"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에 존재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양자상태는 힐베르트 공간위에서 벡터 방향으로의 [[반직선]]이기 때문에, 0이 아닌 복소수 :<nowiki>{{math|''c''}}</nowiki>c; 에 대해 {{math|''c''<span class="nowrap">&#x7C;{{ket|''ψ''&#x27E9;</span>}}}} 또한 같은 상태에 대응된다.)
* 양자적 중첩상태는 중첩상태를 구성하는 상태들의 벡터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가 <span class="nowrap">&#x7C;{{math|{{ket|1&#x27E9;</span>}} + ''i'' <span class="nowrap">&#x7C;{{ket|2&#x27E9;</span> }}}}인 상태에 있는 것은 상태 <span{{math|{{ket|1}}}} class="nowrap">&#x7C;1&#x27E9;</span>과 상태 <span class="nowrap">&#x7C;{{math|{{ket|2&#x27E9;</span>}}}}가 중첩된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 관측은 양자상태의 힐베르트 공간 위에서의 선형연산과 연관된다. 이는 [[관측가능량]]이라고도 불린다.
* 동역학은 힐베르트 공간에서의 선형 연산자로 설명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슈뢰딩거 묘사]]에는 하나의 전자가 지금 상태 {{math|ψ⟩에{{ket|ψ}}}}에 있을 때 모든 가능한 {{math|ψ⟩에{{ket|ψ}}}}에 대해 적용되는 선형 시간 변화 연산자 U가 있어 약간의 시간 뒤의 상태를 U{{math|ψ⟩로 표시한다.  ''U''   <span class="nowrap">&#x7C;''{{ket|ψ''&#x27E9;</span>  ''U''<span}}}}로 class="nowrap">&#x7C;''ψ''&#x27E9;</span>표시한다.
* [[파동 함수|파동함수 규격화]]는 파동 함수의 [[노름]]을 1로 맞추는 작업이다.
 
줄 119 ⟶ 130:
 
=== 스핀이 없는 위치공간 파동함수 ===
{{여러그림
{{여러그림|image1=Discrete complex vector components.svg|image2=Continuous complex vector components.svg|width1=225|width2=230|caption1=복소 벡터 {{math|{{ket|''A''}} {{=}} ∑<sub>''k''</sub> ''A''<sub>''k''</sub> {{ket|''e<sub>k</sub>''}}}}의 이산 요소  {{math|''A''<sub>''k''</sub>}} 는 가산-무한차원 힐베르트 공간에 속한다. 여기에는 가산-무한하게 많은 {{math|''k''}} 값과 기저벡터 {{math|{{ket|''e<sub>k</sub>''}}}}가 있다.|caption2=복소벡터 {{math|{{ket|''ψ''}} {{=}} ∫ d''x'' ''ψ''(''x''){{ket|''x''}}}},의 연속 요소 {{math|''ψ''(''x'')}} 는 불가산-무한차원 힐베르트 공간에 속한다. 여기에는 무한하게 많은 {{math|''x''}} 값과 기저벡터 {{math|{{ket|''x''}}}}가 있다.|footer=복소벡터의 요소들은 첨자의 숫자에 반해 표시된다. 이산 {{math|''k''}} 와 연속 {{math|''x''}}. 두개의 특정한 요소 강조된다 무한히 많은것들 중에}}
| left
 
| footer = 복소벡터의 요소들은 첨자의 숫자에 반해 표시된다. 이산 {{math|''k''}} 와 연속 {{math|''x''}}. 두개의 특정한 요소 강조된다 무한히 많은것들 중에 Components of complex vectors plotted against index number; discrete {{math|''k''}} and continuous {{math|''x''}}. Two particular components out of infinitely many are highlighted.
| width1 = 225
| image1 = Discrete complex vector components.svg
| caption1 = 복소 벡터 {{math|{{ket|''A''}} {{=}} ∑<sub>''k''</sub> ''A''<sub>''k''</sub> {{ket|''e<sub>k</sub>''}}}}의 이산 요소 {{math|''A''<sub>''k''</sub>}}는 가산-무한차원 힐베르트 공간에 속한다. 여기에는 가산-무한하게 많은 {{math|''k''}}값과 기저벡터 {{math|{{ket|''e<sub>k</sub>''}}}}가 있다.
| width2 = 230
| image2 = Continuous complex vector components.svg
| caption2 = 복소벡터 {{math|{{ket|''ψ''}} {{=}} ∫ d''x'' ''ψ''(''x''){{ket|''x''}}}}의 연속 요소 {{math|''ψ''(''x'')}}는 불가산-무한차원 힐베르트 공간에 속한다. 여기에는 무한하게 많은 {{math|''x''}} 값과 기저벡터 {{math|{{ket|''x''}}}}가 있다.
}}
 
 
줄 129 ⟶ 148:
왼쪽의 Ψ('''r''') 은 공간상의 어느 점으로부터 복소수로의 대응이며, 오른쪽의 <span class="nowrap">&#x7C;Ψ&#x27E9;</span> = ∫ d<sup>3</sup>'''r''' Ψ('''r''') <span class="nowrap">&#x7C;'''r'''&#x27E9;</span> 는 켓이다.
 
그 다음에는 관습적으로 파동 함수에 선형 연산자가 작용할 때  켓에 선형 연산자가 작용한다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A \Psi(\mathbf{r}) \ \stackrel{\text{def}}{=}\ \lang \mathbf{r}|A|\Psi\rang \,.</math>
: <math />
 
예를 들어, [[운동량]] 연산자 '''p''' 는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
 
:<math>\mathbf{p} \Psi(\mathbf{r}) \ \stackrel{\text{def}}{=}\ \lang \mathbf{r} |\mathbf{p}|\Psi\rang = - i \hbar \nabla \Psi(\mathbf{r}) \,.</math>
: <math />
 
간혹 다음과 같은 표현을 만나게 될 때도 있다.
 
: <math>\nabla |\Psi\rang </math>
 
하지만 이것은 [[기호의 남용|표기법의 남용]]이다. 미분 연산자는 반드시 추상적인 연산자로 이해되어야한다. 켓에 대해 작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파동함수 미분의 한번 표현은 투사되다 위치벡터에,
 
:<math>\nabla \lang\mathbf{r}|\Psi\rang </math>
: <math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량 기저에서, 연산자는 단지 곱셈연산에 해당된다.( {{math|''iħ'''''p'''}} 와 같이.)
 
=== 상태의 중첩 ===
양자 역학에서 식 <span class="nowrap">&#x27E8;{{math|{{bra-ket|''φ''&#x7C;|''ψ''&#x27E9;</span> }}}}은 일반적으로 상태ψ가상태{{math|''ψ''}}가 상태 φ으로{{math|''φ''}}으로 [[파동 함수 붕괴|붕괴]]할 [[확률 진폭]]으로 해석된다.  ''ψ''  ''φ''니다.수학적으로 수학적으로,이 의미는 계수에 대한 투영의 {{math|''ψ''}}{{math|''φψ''}}니다. 그것은 또한 것으로 설명 프로젝션의 상태 {{math|''ψ''}} 에 국가 {{math|''φψ''}}니다.
 
=== 스핀-{{sfrac|1|2}} 입자에 대한 기저 변환 ===
=== 스핀<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1</span><span style="position:absolute;left:-10000px;top:auto;width:1px;height:1px;overflow:hidden;">/</span><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border-top:1px solid;">2</span> 입자에 대한 기저 변환 ===
스핀-<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sfrac|1</span><span style="position:absolute;left:-10000px;top:auto;width:1px;height:1px;overflow:hidden;">/</span><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border-top:1px solid;">|2</span>}} 입자는 이차원 힐베르트 공간을 가진다. [[정규 직교 기저]] 가운데 하나는 다음과 같다.
 
:<math>|{\uparrow}_z \rangle \,, \; |{\downarrow}_z \rangle</math>
: <math />
 
 <span class="nowrap">&#x7C;{{math|{{ket|↑<sub>''z''</sub>&#x27E9;</span>}}}} 가 [[각운동량 연산자|각운동량 연산자 ''S<sub>z</sub>'']] 의 값이 확실히 +<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sfrac|1</span><span style="position:absolute;left:-10000px;top:auto;width:1px;height:1px;overflow:hidden;">/</span><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border-top:1px solid;">|2</span> }}인 상태일 때, <span class="nowrap">&#x7C;↓<sub>''z''</sub>&#x27E9;</span> 는  [[각운동량 연산자|각운동량 연산자 {{math|''S<sub>z</sub>''}}]] 의 값이 확실히 −<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sfrac|1</span><span style="position:absolute;left:-10000px;top:auto;width:1px;height:1px;overflow:hidden;">/</span><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border-top:1px solid;">|2</span>}}인 상태이다.
 
이러한 [[기저 (선형대수학)|기저]]를 통해, 입자의''어떠한'' 양자 상태도 두 기저의 [[선형결합]](즉, 양자 중첩)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math>|\psi \rangle = a_{\psi} |{\uparrow}_z \rangle + b_{\psi} |{\downarrow}_z \rangle</math>
: <math />
 
이때 ''a<sub>ψ</sub>'' 와 ''b<sub>ψ</sub>'' 는 복소수이다.
줄 165 ⟶ 184:
다음처럼 같은 힐베르트 공간에 대한 ''다른'' 기저도 존재한다.
 
:<math>|{\uparrow}_x \rangle \,, \; |{\downarrow}_x \rangle</math>
: <math />
 
상태들은Sz상태들은{{math|''S<sub>z</sub>''}} 대신 {{math|''S<sub>x</sub>''}}의 관점에서 정의된 것이다.
 
또, 입자의 ''어떠한'' 상태도 위의 두 기저의 선형 결합으로 의 입자로 표현할 수 있는 선형 조합의 이러한 두 가지:
 
:<math>|\psi \rangle = c_{\psi} |{\uparrow}_x \rangle + d_{\psi} |{\downarrow}_x \rangle</math>
: <math />
 
벡터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쓰일 수 있다.
 
:<math>|\psi\rangle \doteq \begin{pmatrix} a_\psi \\ b_\psi \end{pmatrix} \quad \text{or} \quad |\psi\rangle \doteq \begin{pmatrix} c_\psi \\ d_\psi \end{pmatrix} </math>
: <math />
 
에 따라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좌표"의 벡터에 의존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이 있을 수학적으로 간의 관계 {{math|''a''<sub>ψ</sub>}}, {{math|''b''<sub>ψ</sub>}}, {{math|''c''<sub>ψ</sub>}}{{math|''d''<sub>ψ</sub>}}참조 로 변경의 기초입니다.
 
=== 잘못된 사용 ===
표기법의 몇가지 관례와 오용이 물리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혼동을 일으킬 여지가 있다.
 
같은 방정식에서 레이블과 상수로 같은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math|''α̂'' <span class="nowrap">&#x7C;{{ket|''α''&#x27E9;</span>}} {{=}} ''α'' <span class="nowrap">&#x7C;{{ket|''α''&#x27E9;</span>}}}}에서 기호 {{math|''α''}} 는 '''동시에''' 으로 ''연산자의 이름'' {{math|''α̂''}}, 와''고유벡터'' <span class="nowrap">&#x7C;{{math|{{ket|''α''&#x27E9;</span>}}}} 그리고 연관된 ''고유치고유값'' {{math|''α''}}로 사용되었다.
 
벡터의 요소를 표기할 때 이와 비슷한 일이 발생한다. 동 {{math|''Ψ''}} (대문자)는 전통적으로 파동함수와 연관되었고, {{math|''ψ''}} (소문자)는 같은 맥락에서 파동함수 또는 복소상수 레이블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아래첨자에 의해서만 구분된다.
 
주된 남용은 벡터 레이블 안에 연산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남용은 벡터의 크기변환을 빠르게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만약 벡터 <span class="nowrap">&#x7C;{{math|{{ket|''α''&#x27E9;</span> }}}}가 {{sqrt|2}} 배 크기변환될 때, 이것은이것을 <span class="nowrap">&#x7C;{{math|{{ket|''α''/<span class="nowrap">&#x221A;<span style="border-top: 1px solid; padding: 0 0.1em;">{{sqrt|2</span></span>&#x27E9;</span>}}}}}}으로 표시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법은 말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math|''α''}} 가 함수나 숫자가 아닌 레이블(이름)이기 때문에 연산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벡터를 텐서곱으로 표현할 때 일반적이다. 특히 레이블의 숫자가 밖으로 나갈 때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span class="nowrap">&#x7C;{{math|{{ket|''α''&#x27E9;</span>}} {{=}} <span class="nowrap">&#x7C;{{ket|''α''/<span class="nowrap">&#x221A;<span style="border-top: 1px solid; padding: 0 0.1em;">{{sqrt|2</span></span>}}<sub>1</sub>&#x27E9;</span>}}<span class="nowrap">&#x7C;{{ket|''α''/<span class="nowrap">&#x221A;<span style="border-top: 1px solid; padding: 0 0.1em;">{{sqrt|2</span></span>}}<sub>2</sub>&#x27E9;</span>}}}}처럼. 
 
== 선형 연산자 ==
 
=== 켓에 작용하는 선형 연산자 ===
켓을 입력으로 하고 켓을 출력으로 하는 [[선형 변환|선형 연산자]]를 맵이라고 한다. ("선형"으로 불리기 위해서는 몇가지 속성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서, 만약 {{math|'''''A''''' }}가 선형 연산자이고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 }}}}가 켓일 때, {{math|'''''A'''''<span class="nowrap">&#x7C;{{ket|''ψ''&#x27E9;</span> }}}}은 또다른 켓이다.
 
{{math|''N''}}-차원 힐베르트 공간에서,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  는 {{math|''N'' × 1}} [[열벡터]]로 쓰일 수 있으며, {{math|'''''A''''' 은}}는 복소수 항목을 포함한 {{math|''N'' × ''N''}} 행렬로 쓰일 수 있다. Ket켓 켓 {{math|'''''A'''''<span class="nowrap">&#x7C;{{ket|''ψ''&#x27E9;</span> }}}}는 일반적인 [[행렬 곱셈]]으로 계산될 수 있다.
 
선형 연산자는 양자역학 이론의 어떠한 부분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나 [[운동량]] 같은 관측가능량은 자기 수반 연산자로 표현되며, 변화 과정은 회전이나 시간의 진행과 같은 [[유니터리 작용소|유니터리]] 선형 연산자로 표현된다.
 
=== 브라에 작용하는 선형 연산자 ===
연산자는 브라의 ''오른쪽''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표기된다. 특히, 만약 {{math|'''''A''''' }}가 선형 연산자이고,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φ''&#x7C;</span> }}}}가 브라이면,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φ''&#x7C;</span>}}'''''A''''' }}는 규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또 다른 브라이다.
 
:<math>\bigl(\langle\phi|\boldsymbol{A}\bigr) |\psi\rangle = \langle\phi| \bigl(\boldsymbol{A}|\psi\rangle\bigr) </math>
: <math />
 
(다른 말로 [[함수의 합성]]이다.)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기록(참조. [[에너지 내적]])
줄 210 ⟶ 229:
: <math>\langle\phi|\boldsymbol{A}|\psi\rangle \,.</math>
 
{{math|''N''}}-차원 힐베르트 공간에서,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φ''&#x7C;</span> }}}}는  {{math|1 × ''N''}} [[행벡터]]로 쓰일 수 있고,,(이전 단락에서와 같은) {{math|'''''A'''''}} 는 {{math|''N'' × ''N''}} 행렬으로 쓰일 수 있다. 그러고 나면 브라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φ''&#x7C;</span>}}'''''A'''''}} 는 일반적인 [[행렬 곱셈|행렬의 곱셈]]으로 계산될 수 있다.
 
만약 같은 상태 벡터가 다음과 같이 브라와 켓쪽에 둘다 나타나면
 
:<math>\langle\psi|\boldsymbol{A}|\psi\rangle \,,</math>
: <math />
 
이 표현은 상태 프사이에 있는 물리학 계에 {{math|{{ket|''ψ''}}}}에 대해 관측 가능한 표현 연산자 A의 [[기댓값{{math|기대값]], 또는 평균을 나타낸다. '''''A'''''}}의 [[기댓값|기대값]], <span또는 class="nowrap">&#x7C;''ψ''&#x27E9;</span>평균을 나타낸다.
 
=== 외적 ===
힐베르트 공간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에서 선형 연산자를 정의하는 편리한 방법은 외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만약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φ''&#x7C;</span> }}}}가 브라이고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 }}}}이 켓이면, 외적
 
: <math> |\phi\rang \, \lang \psi| </math>
줄 225 ⟶ 244:
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유한 계급 연산자|계급-1 연산자]]를 나타낸다.
 
:<math> \bigl(|\phi\rang \lang \psi|\bigr)(x) = \lang \psi | x \rang |\phi \rang</math>.
: <math />니다.
 
유한차원 벡터 공간에 대해, 외적은 간단한 행렬 곱셈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줄 239 ⟶ 258:
</math>
 
이때 외적은 선형 연산자로 볼 수 있는 {{math|''N'' × ''N''}} 행렬이다.
 
외적의 사용 용도 가운데 하나는 [[사영작용소]]를 구성하는 것이다. 노름이 1인 주어진 켓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에 대해,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에 펼쳐진 하위공간으로의 직교사영은 다음과 같다.
 
:<math>|\psi\rangle \, \langle\psi| \,.</math>
: <math />
 
=== 에르미트 수반 연산자 ===
브라와 켓이 서로 변환될 수 있는 것 처럼(<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 }}}}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ψ''&#x7C;</span> }}}}으로 만듦으로써), {{math|''A''<span class="nowrap">&#x7C;{{ket|''ψ''&#x27E9;</span> }}}}에 상응하는 쌍대공간의 원소는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ψ''&#x7C;</span>}}''A''<sup>†</sup>}}이다. 이때 {{math|''A''<sup>†</sup>}} 는 연산자 A의{{math|''A''}}의 [[에르미트 수반]]이다. 다시말해,        ''A''
 
:<math> |\phi\rangle = A |\psi\rangle \quad \text{if and only if} \quad \langle\phi| = \langle \psi | A^\dagger \,.</math>
: <math />
 
만약 {{math|''A''}} 가 {{math|''N'' × ''N''}} 행렬로 표현된다면,  {{math|''A''<sup>†</sup>}} 는 A의{{math|''A''}}의 [[켤레전치]]이다.
 
 {{math|''A'' = ''A''<sup>†</sup> }}인 자기수반연산자는 양자역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관측가능량은 항상 자기수반연산자로 표현된다. 만약 {{math|''A''}} 가 자기수반연산자이면, <span class="nowrap">&#x27E8;{{math|{{bra|''ψ''&#x7C;</span>}}''A''<span class="nowrap">&#x7C;{{ket|''ψ''&#x27E9;</span> }}는 항상 실수이다.(복소수가 아니다).) 이것은 관측가능량의 [[기댓값]]이 실수임을 의미한다.
 
== 성질 ==
브라-켓 표기법은 선형대수 표현의 조작을 쉽게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여기에는 조작을 쉽게 하는 몇몇 특성들을 목록으로 정리해두었다. 무엇을 다음과 같이, {{math|''c''<sub>1</sub>}}과 와 {{math|''c''<sub>2</sub>}} 는 임의의 [[복소수]]이고,  {{math|''c''*}} 는 {{math|''c''}}의 켤레 복소수를 의미하며, {{math|''A'' }}와 {{math|''B'' }}는 임의의 선형 연산자를 나타내고, 이러한 특성은 브라와 켓 어느것을 골라도 적용된다.
 
=== 선형성 ===
줄 261 ⟶ 280:
* 브라가 선형 범함수
 
::<math>\langle\phi| \bigl( c_1|\psi_1\rangle + c_2|\psi_2\rangle \bigr) = c_1\langle\phi|\psi_1\rangle + c_2\langle\phi|\psi_2\rangle \,. </math>
:: <math />
 
* 일 때, 덧셈의 정의와 [[쌍대공간]]에서의 선형 범함수의 스칼라 곱의스칼라곱의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다.<ref>[http://bohr.physics.berkeley.edu/classes/221/1112/notes/hilbert.pdf Lecture notes by Robert Littlejohn], eqns 12 and 13</ref>
 
::<math>\bigl(c_1 \langle\phi_1| + c_2 \langle\phi_2|\bigr) |\psi\rangle = c_1 \langle\phi_1|\psi\rangle + c_2 \langle\phi_2|\psi\rangle \,. </math>
:: <math />
 
=== 연관성 ===
브라-켓 표기법으로 쓰여진 복소수, 브라, 켓, 내적, 외적, 선형 범함수와 연관된 모든 주어진 식에서, 괄호로 묶는것은 어떠한 문제도 되지 않는다(즉, [[결합법칙|연결결합법칙]] 속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 <math />\begin{align}
\lang \psi| \bigl(A |\phi\rang\bigr) = \bigl(\lang \psi|A\bigr)|\phi\rang \, &\stackrel{\text{def}}{=} \, \lang \psi | A | \phi \rang \\
\bigl(A|\psi\rang\bigr)\lang \phi| = A\bigl(|\psi\rang \lang \phi|\bigr) \, &\stackrel{\text{def}}{=} \, A | \psi \rang \lang \phi |
\end{align}</math>
 
등과 같다. 식의 오른쪽(어떠한 괄호도 없는)과 표현은 중의적이지만 표현되는것이 허용된다. ''왜냐하면'' 왼쪽의 표현과 같기 때문이다. 참고로 결합성은 물리의 비선형 시간 역전 연산자와 같은 비선형 연산자 표현까지 적용되지는 않는다.
 
=== 에르미트 수반 ===
브라–켓 표기법은 특히 에르미트 수반(또는 데거라고 하며 †으로{{math|†}}으로 표시한다.) †)의 표현입니다. 공식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브라의 에르미트 수반은 켓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줄 281 ⟶ 303:
* 모든 것(선형 연산자, 브라, 켓, 숫자)의 에르미트 수반의 에르미트 수반은 그 자신이다. 즉,
 
::<math>\left(x^\dagger\right)^\dagger=x \,.</math>
:: <math />
 
* 브라-켓 표기법으로 기술된 어떠한 조합의 복소수, 브라, 켓, 내적, 외적, 선형연산자에 대해, 그것의 에르미트 수반은 요소들의 순서를 뒤집고, 각각에 대해 에르미트 수반을 취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줄 289 ⟶ 311:
* 켓:
 
:: <math />
\bigl(c_1|\psi_1\rangle + c_2|\psi_2\rangle\bigr)^\dagger = c_1^* \langle\psi_1| + c_2^* \langle\psi_2| \,.
</math>
 
* 내적:
 
::<math>\langle \phi | \psi \rangle^* = \langle \psi|\phi\rangle \,.</math>
:: <math />
 
 
: Note {{math|{{bra-ket|''φ''|''ψ''}}}} 가 스칼라,Hermitian 복합 단지는 복잡한 공액,즉
 
::<math>\bigl(\langle \phi | \psi \rangle\bigr)^\dagger = \langle \phi | \psi \rangle^*</math>
: Note <span class="nowrap">&#x27E8;''φ''&#x7C;''ψ''&#x27E9;</span> 가 스칼라,Hermitian 복합 단지는 복잡한 공액,즉
:: <math />
 
* 행렬 원소:
줄 307 ⟶ 333:
* 외적:
 
::<math>\Big(\bigl(c_1|\phi_1\rangle\langle \psi_1|\bigr) + \bigl(c_2|\phi_2\rangle\langle\psi_2|\bigr)\Big)^\dagger = \bigl(c_1^* |\psi_1\rangle\langle \phi_1|\bigr) + \bigl(c_2^*|\psi_2\rangle\langle\phi_2|\bigr) \,.</math>
:: <math />
 
== 브라와 켓의 합성 ==
두 힐베르트 공간 {{math|''V'' }}{{math|''W''}} 는 [[텐서곱]]을 통해 또다른 공간 {{math|''V'' ⊗ ''W''}} 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양자역학에서 복합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계가 각각 {{math|''V''}}{{math|''W''}} 로 설명되는 두개의 부분계의 합성인 경우, 전체 계의 힐베르트 공간은 두 공간의 텐서곱이다. ( 두 부분계가 동일입자인 경우는 예외이며, 이러한 경우, 상황은 약간 더 복잡해진다.)
 
만약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 }}}}가 {{math|''V'' }}에 속한 켓이고, <span class="nowrap">&#x7C;{{math|{{ket|''φ''&#x27E9;</span> }}}}는 {{math|''W''}},에 속한 켓일 때, 두 켓의 직접 곱은  {{math|''V'' ⊗ ''W''}} 에 속한 켓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표기법으로 쓰여진다.
 
:<math>|\psi\rangle|\phi\rangle \,,\quad |\psi\rangle \otimes |\phi\rangle\,,\quad|\psi \phi\rangle\,,\quad|\psi ,\phi\rangle\,.</math>
: <math />
 
이러한 곱의 적용은 [[양자 얽힘]] 과 [[EPR 역설]]을 참고하라.
 
== 단위자단위 연산자 ==
완비정규[[직교]]계([[기저 (선형대수학)|기저]])이고,
 
:<math>\{ e_i \ | \ i \in \mathbb{N} \} \,,</math>
: <math />
 
인 노름이 내적{{math|{{angbr|·,·}}}}인 힐베르트 공간{{math|''H''}}를 고려하자.
인 노름이 내적<span class="Unicode">&#x27E8;</span>·,·<span class="Unicode">&#x27E9;</span>
[[분류:기호 틀]]
인 힐베르트 공간H를 고려하자.
 
기초적인 [[함수해석학|함수해석]]에서, 어떠한 켓 <span class="nowrap">&#x7C;{{math|{{ket|''ψ''&#x27E9;</span> }}}}는 다음과 같이 쓰일 수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math>|\psi\rangle = \sum_{i \in \mathbb{N}} \langle e_i | \psi \rangle | e_i \rangle,</math>
: <math />
 
이때 <span class="nowrap">&#x27E8;{{math|{{bra-ket|·&#x7C;|·&#x27E9;</span> 는}}}}은 힐베르트 공간 위에서의 내적이다.
 
이것은 켓의 (복소)스칼라의 교환법칙에 따라 다음의.
 
:<math>\sum_{i \in \mathbb{N}} | e_i \rangle \langle e_i | = 1\!\! 1</math>
: <math />
 
는 반드시 각 벡터를 자기 자신으로 보내는 ''항등 연산자''여야 한다.
 
 
: <br />
 
 
 
 
 
 
* &nbsp; &nbsp; 
 
.<ref>In his book (1958), Ch. III.20, Dirac defines the ''standard ket'' which, up to a normalization, is the translationally invariant momentum eigenstate <math>|\varpi\rangle=\lim_{p\to 0} |p\rangle</math> in the momentum representation, i.e., <math>\hat{p}|\varpi\rangle=0</math>. Consequently, the corresponding wavefunction is a constant, <math> \langle x|\varpi\rangle \sqrt{2\pi \hbar}=1</math>, and <math>|x\rangle= \delta(\hat{x}-x) |\varpi\rangle \sqrt{2\pi \hbar}</math>. </ref>
 
== 수학자들에 의해 사용된 표기법 ==
브라-켓 표기법을 사용할 때 물리학자가 고려하는 대상은 [[힐베르트 공간]] ([[완비 거리 공간|완비]] [[내적 공간]])이다.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를 힐베르트 공간이라고 하고, {{math|''h'' ∈ <span class="{{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를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안의 벡터라고 하자. 물리학자들이 <span class="nowrap">&#x7C;{{math|{{ket|''h''&#x27E9;</span> }}}}로 나타내고 싶은 것은 벡터 그 자체이다. 즉,
 
: <math> |h\rangle\in \mathcal{H} </math>.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를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의 [[쌍대 공간]]이라고 하자. 이것은  <span class="{{math|{{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위에서의 선형 범함수의 공간이다. 위상 동형 {{math|''Φ'' : <span class="{{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span class="{{mathcal"|H}}*}}는 style="font-family:정의된 'Lucida모든 Calligraphy{{math|', 'Monotype Corsivag',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mathcal|H</span>* 는 정의된 모든 g<-h에}}}}에 대해  {{math|''Φ''(''h'') {{=}} ''φ<sub>h</sub>'', }}으로 정의된다. ''g'' ∈ <span class="mathcal" style="font-family: 'Lucida Calligraphy', 'Monotype Corsiva', 'URW Chancery L', 'Apple Chancery', serif;">H</span> 
 
:<math> \phi_h(g) = \mbox{IP}(h,g) = (h,g) = \langle h,g \rangle = \langle h|g \rangle </math>,
: <math />,
 
이때, {{math|IP(·,·)}}, {{math|(·,·)}}, {{math|{{angbr|·,·}}}}, 그리고, {{math|{{bra-ket|·|·}}}}는 단지 힐베츠트 공간의(또는 처음 세 표기법의 경우, 내적 공간에서도) 두 원소 사이의 내적을 표현하는 다른 표기법일 뿐이다.
이때, IP(·,·), (·,·), <span class="Unicode">&#x27E8;</span>·,·<span class="Unicode">&#x27E9;</span>
표기의 혼동은 {{math|''φ<sub>h</sub>''}}, {{math|''g''}}와 {{math|{{bra|''h''}}}}, {{math|{{ket|''g''}}}}를 각각 식별하는데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문자 그대로 상징적 대체이기 때문이다. {{math|''φ<sub>h</sub>'' {{=}} ''H'' {{=}} {{bra|''h''}}}}라고 하고 {{math|''g'' {{=}} G {{=}} {{ket|''g''}}}}라고 하자. 이러한 가정은 다음과 같은 식을 제공한다
[[분류:기호 틀]]
 그리고  <span class="nowrap">&#x27E8;·&#x7C;·&#x27E9;</span> 는 단지 힐베츠트 공간의(또는 처음 세 표기법의 경우, 내적 공간에서의) 두 원소 사이의 내적을 표현하는 다른 표기법일 뿐이다. 표기의 혼동은 φh 기법을 혼란 때 발생한 식별 ''φ<sub>h</sub>'' 고 ''g'' 와 <span class="nowrap">&#x27E8;''h''&#x7C;</span> 고 <span class="nowrap">&#x7C;''g''&#x27E9;</span> 는 각각합니다. 이 때의 문자 상징적인 대체합니다. 자 ''φ<sub>h</sub>'' = ''H'' = <span class="nowrap">&#x27E8;''h''&#x7C;</span> 이고,  ''g'' = G = <span class="nowrap">&#x7C;''g''&#x27E9;</span> 이라고 하자. 이이러한 가정은 다음과 같은 식을 제공한다
 
:<math> \phi_h(g) = H(g) = H(G)=\langle h|(G) = \langle h|\bigl(|g\rangle\bigr) \,. </math>
: <math />
 
괄호를 무시하고 두개의 세로선을 제거한 식을 얻게 된다. 
 
 
: <br />
 
 
: <br />
 
== 참조 ==
줄 383 ⟶ 390:
* [[내적 공간|내적]]
 
== Notes참고 ==
{{reflist}}
 
== References각주 ==
 
* {{저널 인용|제목=A new notation for quantum mechanics|저널=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성=Dirac|이름=P. A. M.|url=http://journals.cambridge.org/action/displayAbstract?fromPage=online&aid=2031476|연도=1939|권=35|호=3|쪽=416–418|bibcode=1939PCPS...35..416D|doi=10.1017/S0305004100021162|ref=harv}}니다. 또한 자신의 표준 텍스트, ''양자 역학의 원리'',IV edition Clarendon Press(1958 년), {{ISBN|978-01985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