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첫밗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죽암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향찰의 훈독자는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읽혀졌는지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 가령 ‘春’이라는 훈독자가 있으면 이것이 ‘봄’이란 뜻을 나타냄은 분명하지만 ‘春’이 현대 한국어나 중세 한국어처럼 ‘봄’이라는 소리로 발음되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 훈독자는 이와 같은 불확실함이 항상 달라 붙는다. 따라서 위의 ‘夜音’처럼 말음 표기가 되어 어형의 일부가 밝혀지는 등 어형에 관해 어떤 암시가 없으면 그 독음을 확정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향찰의 표기법은 불확실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그 어형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국어사와 [[한국어한국 한자음|한자음]]에 관한 깊은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해야 한다.
 
== 향찰의 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