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두 판 사이의 차이
→국제공산주의의 사양기현상
=== 국제공산주의의 사양기현상 ===
동구 공산당들은 소련의 무력을 배경으로 집권하는 과정에서 한결같이 인민민주주의를 표방하였다. 그것은 '사회주의로 가는 새로운 길'이라고 풀이되기도 했으나 실질상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특수형태임에 다를 바가 없었다. 소련에서의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타당(他黨)과의 연립정부 구성을 허용치 않는 것과 비교해서, 노동동맹(勞動同盟) 뿐만 아니라 민족자본가 계급까지 망라한 폭넓은 계급연맹을 기초로 하여, 공산당이 다른 정당들과도 통일전선정부를 형성한다는 {{누가|날짜=2011-11-8|설명도 있었으나}}, 그러한 존재양식은 반파쇼투쟁을 전후한 과도적 형태임에 불과했다. 결국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사상으로 하며, 일단 반제·반봉건(反帝反封建)의 단계를 거치고 나면 곧 이어서 프롤레타리아독재의 수립과
[[소련]]세력권으로부터의 이탈과 민주적 내정개혁을 지향하는 동구제국의 몸부림은 ① 반(反)스탈린운동, ② 자유화운동을 분별케 한다.<ref name="글로벌 사양기"/> 1956년 2월 25일, 제20차 [[소련 공산당]] 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는 비밀연설을 통해, [[스탈린]]에 대한 개인숭배를 비판하고, [[대숙청]] 당시 행한 스탈린의 무자비한 처사와 범죄행위를 고발하고<ref> 최종기 저, 《러시아 외교정책》서울대학교출판부(2005) {{ISBN|89-521-0578-8}}</ref> {{rp|40}} 가혹한 중앙집권제를 비판하는데 이르렀다.(→[[니키타 흐루쇼프]]) 반스탈린운동으로 인해 동유럽에서는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운동이 발전해 나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러한 사태발전은 소련이 좀처럼 용인하는 바가 아니었다. 더구나 자유화 운동에 이르러서는 서방접근 인상과 더불어 공산주의이론에 대한 본질적 수정처럼 간주되는 형편이어서 끝내 소련의 무력진압을 초래하는 꼴로 되고 말았다. <ref name="글로벌 사양기"/> [[폴란드]]에서는 1956년 6월 28일 [[포즈난]] 시의 지스포 기계 공장 노동자들이 최초로 봉기([[포즈난 식량폭동]])하여 곧 정치적인 자유를 요구하는 정치 시위로 번졌고 반소, 자유화 운동이 확산되어 10월 19일에는 전 폴란드에서 반정부 폭동이 일어났다. 그러자,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카가노비치]], [[아나스타스 미코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등이 폴란드를 방문해서 무력 간섭의 위협을 가함으로써 폭동이 진압되고 이 호기(好機)를 이용하여 10월에 민족주의자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가 소련에 충성을 맹세하여 소련의 후광을 입고 중앙위의 제1서기가 되어 정권을 장악하고 폴란드의 국민 탄압은 본격화되었다.<ref>최정호 저, 《젊음이젊은놈들》대한기독교서회(2004) {{ISBN|2001604940}}</ref> {{rp|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