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메이 (토론 | 기여)
'더 보기' 목차 이름을 '같이 보기'로 고침. {{전거 통제}} 틀을 추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거부권'''(veto)은 어떠한 회의에서 의결된 내용(주로 새로 제정된 법안)에 대해, 당사자나 관련된 제 3자가 이의 발효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이다. '나는 금지한다(I forbid)'라는 의미의 라틴어 veto를 차용하였다.
 
== 역사 ==
=== 고대 로마의 거부권 ===
거부권의 역사는 고대 로마 공화정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귀족들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원로원]]의 의결사항이 평민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호민관]]은 이를 거부할 수 있었다. 이것은 관습적으로 인정된 권리로, 원로원이 제정한 법 자체를 무효화하지는 않으나, 해당 법률은 실효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호민관은 [[민회]]에 법안이 부의되는 것을 거부할 권리 또한 가지고 있었다.
 
2명의 [[집정관]] 또한 서로에게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어서, 집정관간의 상호동의 없이는 집정관에게 주어진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다. 의견의 분열로 인한 비효율을 보완하기 위해, 전시와 같은 긴급상황에서는 모든 결정을 독자적으로 내릴 수 있는 [[독재관]]을 선임하였다.
 
== 사례 ==
국가 운영에 있어 권력기간 사이의 [[견제와 균형]]의 원칙을 도입한 선구적인 예이다.
===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거부권 ===
 
==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거부권 ==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는 만장일치제로, 일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상임이사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가운데 한 국가라도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결의할 수 없다. 어떤 국가가 특정 안건에 대해 반대하지만 거부권을 행사하기는 원치 않는 경우, 기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대한민국]]의 거부권 ===
법률안거부권(法律案拒否權)은 [[입법부|국회]]에서 의결되어 정부에 이송되어 온 법률안에 대하여 [[대통령]]이 이의가 있을 때에 이의서를 붙여 국회의 재의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법률안 재의요구권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53조 1~2항은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은 정부에 이송되어 15일 이내에 대통령이 공포한다. 법률안에 이의가 있을 때에는 대통령은 위의 기간내에 이의서를 붙여 국회로 환부하고, 그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국회의 폐회중에도 또한 같다’라고 하여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을 규정하고 있다.<ref name="글로벌_1">법률안거부권,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대한민국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은 대통령이 거부할 수 있다. 거부한 법률은 국회에서 2/3이상의 찬성으로 재의를 받으면 대통령의 인준 없이 즉시 법률로 성립된다.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미국연방헌법]]에서 유래한 제도이다. 미국연방헌법과 같은 대통령 정부형태에 있어서 법률안 거부권이 인정되는 것은, [[입법권]]은 국회가 갖는 데 대하여 법률의 집행은 입법과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행정부]]의 책임이므로 행정부의 입장에서 법률안에 이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ref name="글로벌_1"/>
 
== 같이 보기 ==
* [[보류거부]]
 
== 주석 ==
<references />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