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확인날짜 수정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확인날짜 수정
80번째 줄:
|
|----
|''E. l. kenyoni''<ref>Sea otter researcher Karl W. Kenyon, after whom the subspecies is named, was never convinced that ''E. l. kenyoni'' was a distinct subspecies.{{웹 인용|url=http://www.starrsites.com/acsmb/Soundings/archives/Soundings0706.pdf|제목=Soundings: The Newsletter of the Monterey Bay Chapter of ACS|출판사=American Cetacean Society Monterey Bay Chapter|월=6|연도=2007|확인일자확인날짜=2008-01-22|형식=PDF|이탤릭체=예|확인날짜=2008-01-22|보존url=https://www.webcitation.org/5jYBE9tOb?url=http://www.starrsites.com/acsmb/Soundings/archives/Soundings0706.pdf|보존날짜=2009-09-05|깨진링크=예}}</ref>
[[파일:Otter3.jpg|150px]]
|Wilson, 1991
114번째 줄:
성체의 [[이빨]]은 32개이고, 그 중 [[어금니]]는 둥글납작하여 음식을 잘라내기보다는 까부수는 데 적합하다.<ref>Kenyon, p.43</ref> 아랫[[앞니]]가 세 쌍이 아니라 두 쌍인 [[육식성]] 동물은 [[기각류]]와 해달 뿐이다.<ref>Love, p.74</ref> 성체 해달의 [[치열]]은 <span class="nowrap"><span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0.5em; font-size:85%; text-align:center;"><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title="윗니 치열: 앞니.송곳니.앞어금니.어금니">3.1.3.1</span><span style="display:block; line-height:1em; padding:0 0.1em; border-top:1px solid;" title="아랫니 치열: 앞니.송곳니.앞어금니.어금니">2.1.3.2</span></span></span>이다.<ref>Kenyon, p.47</ref>
 
해달의 기초 대사율은 비슷한 크기의 육상 포유류보다 2~3배 높다. 해달은 차가운 물속 환경에서 열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엄청난 칼로리를 태워야 하고, 매일 자기 체중의 25~38% 무게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ref>VanBlaricom, p.17</ref><ref name=wlap>{{웹 인용|url=http://wlapwww.gov.bc.ca/wld/documents/otter.pdf|제목=Sea Otter|출판사=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Lands and Parks|월=10|연도=1993|확인일자확인날짜=2007-12-13|형식=PDF|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216083821/http://wlapwww.gov.bc.ca/wld/documents/otter.pdf|보존날짜=2008-02-16|deadurl=예|이탤릭체=예|확인날짜=2007-12-13}}</ref> 소화 효율은 80 ~ 85% 정도이며,<ref>Love, p.24</ref> 먹은 먹이는 3시간 정도면 소화가 끝나고 배설된다.<ref name = nickerson21/>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먹으면서 함께 섭취하는데,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 바닷물을 마시기도 한다. [[신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맹물을 얻어내고 진한 오줌을 배설한다.<ref>{{저널 인용|저자=Ortiz RM |제목=Osmoregulation in marine mammals |저널=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ume=204 |issue=11 |쪽=1831–44 |연도=2001 |월=6|pmid=11441026 |url=http://jeb.biologists.org/cgi/pmidlookup?view=long&pmid=11441026|이탤릭체=예}}</ref>
 
== 습성 ==
125번째 줄:
해달은 짧은 시간 잠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데, 종종 [[해저]]까지 내려간다. 약 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지만,<ref name = "Silverstein_p13"/> 보통 1분 정도 잠수하고, 아무리 길어도 4분 이상 잠수하지는 않는다.<ref name=marinebio/> 해달은 돌을 들었다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해양 동물로, 먹이를 찾기 위해 앞발로 돌을 들고 뒤집는다.<ref name=wp>{{뉴스 인용|저자=Reitherman, Bruce (Producer and photographer) |날짜= 1993 |제목=Waddlers and Paddlers: A Sea Otter Story–Warm Hearts & Cold Water |url= |medium= Documentary |출판사= [[PBS]]|출판위치= U.S.A.|accessdate= |time= |quote= }}</ref> 또한 해달은 수초에 붙어 있는 달팽이류 등 생물을 떼어내거나, [[조개]]를 찾기 위해 바닷속 진흙을 뒤질 수도 있다.<ref name=wp/> 또한 이빨보다 앞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유일한 해양성 포유류이기도 하다.<ref name=nickerson21>Nickerson, p.21</ref>
 
양 앞다리 밑에는 각각 헐거운 살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는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해달은 이 주머니 안에 (우선적으로 왼쪽부터) 먹이를 모아서 수면으로 올라온다. 특이하게 주머니 안에 돌도 넣어 오는데, 이것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까부숴 열기 위한 것이다.<ref name=haley>{{서적 인용|제목=Marine Mammals of Eastern North Pacific and Arctic Waters|판=2nd|장=Sea Otter|연도=1986|출판위치=Seattle, Washington|출판사=Pacific Search Press|isbn=0-931397-14-6|저자= Haley, D. (ed.)|oclc=13760343}}</ref> 그리고 해달은 물 위에 누운 채 떠서, 앞발로 먹이를 찢은 뒤 입으로 가져가서 먹는다. 작은 [[홍합]] 따위는 껍데기째 씹어 삼키기도 하지만, 보다 큰 것은 속살을 비틀어 빼내 먹는다.<ref name = vanblaricom22/> 이때 아랫[[앞니]]를 사용해 조개의 속살을 꺼내려고 한다.<ref name=bbc>{{웹 인용|제목=Sea otter|url=http://www.bbc.co.uk/nature/wildfacts/factfiles/600.shtml|출판사=BBC|확인일자확인날짜=2007-12-31|보존url=https://archive.today/20121224021712/http://www.bbc.co.uk/nature/life/Sea_otter|보존날짜=2012-12-24|확인날짜=2007-12-31|깨진링크=아니오}}</ref> 가시로 덮여 있는 성게를 먹을 때는, 가시가 가장 짧은 성게 아랫면을 물어뜯는다. 그리고 성게의 부드러운 속살을 껍데기 속에서 핥아 빼먹는다.<ref name=vanblaricom22>VanBlaricom, p.22</ref>
 
해달은 먹이를 사냥하고 먹을 때 돌을 사용하는, 즉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포유류]] 동물이다.<ref name=vanaqua/> 단단한 조개를 열기 위해 조개를 가슴 위에 올려놓고 양발로 돌을 들어 조개를 요란하게 두드린다. 해달이 [[전복]]을 돌덩어리에서 떼어내려고 돌멩이로 망치질하듯 전복을 찍어대기도 한다. 관찰 결과 그 타격 속도는 15초 동안 45번 정도이다.<ref name=marinebio/>
169번째 줄:
[[파일:Sea Otter 0.jpg|thumb|left|250px|눈 감고 떠다니는 해달.]]
=== 알래스카 ===
[[알래스카]]는 해달 서식지의 중앙 지역이다. 1973년에 추산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수는 약 100,000 마리에서 125,000 마리 정도였다.<ref>Nickerson, p.46</ref> 하지만 2006년까지 알래스카의 해달 수는 73,000여 마리로 떨어졌다.<ref name=alaskafws>{{웹 인용|url=http://alaska.fws.gov/fisheries/mmm/seaotters/recovery.htm|제목=Sea Otters&nbsp;– Southwest Alaska Sea Otter Recovery Team (SWAKSORT)|출판사=U.S. Fish and Wildlife Service&nbsp;– Alaska|확인일자확인날짜=2008-01-15|이탤릭체=예|확인날짜=2008-01-1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206201842/http://alaska.fws.gov/fisheries/mmm/seaotters/recovery.htm|보존날짜=2008-02-06|깨진링크=예}}</ref> [[알류샨 열도]]의 해달 개체수가 급락한 것이 이 개체수 감소의 대부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개체수 급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범고래]]의 포식 활동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ref name=Schrope/>
 
[[프린스윌리엄 해협]]의 해달 개체군 역시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으로 수천여 마리의 해달이 떼죽음을 당함으로써 직격타를 맞았다.<ref name=wp/>
177번째 줄:
알래스카 남부에서 북아메리카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해달 서식지는 불연속적이다. [[밴쿠버 섬]]에서는 잔류 개체군이 20세기까지 존속했으나, 1911년 국제보호조약에도 불구하고 결국 1929년에 [[키유쿠트 (브리티시컬럼비아 주)|키유쿠트]]에서 최후의 해달이 잡힌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89 마리의 해달이 알래스카에서 밴쿠버 섬 서안으로 공수 또는 수송되었다. 이 89마리는 2004년에는 3,000 마리 이상으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도 뱅쿠버 서안에서 북으로는 [[스콧 곶 주립공원|스콧 곶]], 남으로는 [[바클리 해협]]까지 확장되었다.<ref>{{웹 인용|제목=Sea Otter Recovery on Vancouver Island's West Coast |출판사=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Public Education Programme |url=http://www.oceanlink.info/seaotterstewardship/history1.html |확인일자=2011-08-22 |이탤릭체=예}}</ref> 1989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중부 해안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던 군집이 발견되었다. 2004년 현재 300 마리에 이르는 이 군집이 알래스카에서 공수된 해달인지, 또는 모피잡이에서 살아남은 해달이 존속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ref name=bc>{{웹 인용|url=http://web.archive.org/web/20060917054125/http://www.vanaqua.org/aquanew/fullnews.php?id=1692|제목=British Columbia: Sea Otter Research Expedition|출판사=Vancouver Aquarium|저자=Barrett-Lennard, Lance|날짜=2004-10-20|확인일자=2007-12-11|이탤릭체=예}}</ref>
 
1969년과 1970년에는 해달 59 마리를 암치트카 섬에서 [[워싱턴 주]]로 들여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루어진 연례 조사에서 개체수는 504~743 마리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는 [[올림픽 반도]]에서 디스트럭션 섬과 필라포인트까지 넓어졌음이 보고되었다.<ref name=wdfw>{{웹 인용|이탤릭체=예|url=http://wdfw.wa.gov/wlm/diversty/soc/recovery/seaotter/index.htm|제목=Final Washington State Sea Otter Recovery Plan|출판사=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확인일자확인날짜=2007-11-2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8114253/http://wdfw.wa.gov/wlm/diversty/soc/recovery/seaotter/index.htm|보존날짜=2007-10-18|확인날짜=2007-11-29|깨진링크=예}}</ref>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의 해달은 거의 모두 외부 연안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올림픽 해안을 따라 해변에서 6 피트 떨어진 곳까지 가까이 접근하기도 하지만,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에서 보고된 해달 목격담은 대부분 [[북아메리카수달]]을 잘못 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북아메리카수달이 해변가에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헷갈린 것이다. 다만 1990년대 중반의 목격담 몇몇은 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었다.<ref name=wdfw/>
195번째 줄:
 
=== 오리건 ===
최후의 [[오리건]] 토종 해달은 1906년에 사살된 것으로 생각된다. 1970년과 1971년, 알래스카 암치트카 섬에서 95 마리의 해달을 오리건 남부 해안으로 공수했다. 하지만 이 재도입 계획은 실패했고 얼마 있지 않아 해달은 다시 오리건에서 사라졌다.<ref name=Jameson>{{서적 인용 |형식=M.Sc. thesis |제목=An Evaluation of Attempts to Reestablish the Sea Otter in Oregon |url=http://ir.library.oregonstate.edu/jspui/bitstream/1957/6719/1/Jameson_Ronald_J_ocr.pdf |성=Jameson |이름=Ronald James |연도=1975 |출판사=Oregon State University |확인일자확인날짜=2009-12-30 |oclc=9653603 |이탤릭체=예 |확인날짜=2009-12-30 |보존url=https://wayback.archive-it.org/all/20170525111401/http://ir.library.oregonstate.edu/jspui/bitstream/1957/6719/1/Jameson_Ronald_J_ocr.pdf |보존날짜=2017-05-25 |깨진링크=예 }}</ref>
 
2004년에는 수컷 해달 한 마리가 케이프아르고의 심프슨 암초를 차지하고 6개월 동안 거기서 살았다. 이 수컷은 워싱턴의 군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연안 폭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간 뒤 사라져 버렸다.<ref>{{뉴스 인용 |제목=Sea otter's stay raises scientists' hopes |url=http://www.ecotrust.org/nativeprograms/Seaottersstay.04.quinn.pdf |날짜=2004-10-17 |확인일자확인날짜=2009-12-30 |출판사=Oregonlive |이름=Beth |성=Quinn |이탤릭체=예 |확인날짜=2009-12-3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30175203/http://www.ecotrust.org/nativeprograms/Seaottersstay.04.quinn.pdf |보존날짜=2010-12-30 |깨진링크=예 }}</ref>
 
보다 최근에는 2009년 2월 18일에 오리건 주 [[디포베이]]에서 수컷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 이 수컷은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f name=oregonian>{{뉴스 인용|제목=Rare sea otter confirmed at Depoe Bay|url=http://blog.oregonlive.com/terryrichard/2009/02/rare_sea_otter_confirmed_at_de.html#more|날짜=2009-02-20|확인일자=2009-02-27|출판사=Oregonlive|이탤릭체=예}}</ref>
216번째 줄:
해달은 [[핵심종]] 개념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해달의 개체수와 몸집이 작음에 비해, 그 존재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은 [[성게]] 등 특정 [[저생성]]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억제한다. 성게는 [[켈프]]의 줄기 아랫부분을 갉아먹어 켈프가 떠내려 가 죽게 만든다. [[켈프림]]으로 인해 제공되는 생물 서식지와 영양소가 손실되면, 해양 생태계에 엄청난 누적 효과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북태평양에는 해달이 서식하지 않으며, 때문에 성게가 풍부하여 켈프림이 없고 [[성게 불모지]]가 형성되어 있다.<ref name=adw/>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해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결과, 연안 생태계의 건강에 있어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ref name=dfo>{{웹 인용|url=http://www.dfo-mpo.gc.ca/species-especes/species/species_seaOtter_e.asp|제목=Aquatic Species at Risk&nbsp;– Species Profile&nbsp;– Sea Otter|출판사=[[캐나다 어업해양청]]|확인일자확인날짜=20072008-1101-292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123064622/http://www.dfo-mpo.gc.ca/species-especes/species/species_seaOtter_e.asp|보존날짜=2007-11-23|deadurl=예|확인날짜=2008-01-23}}</ref> 또한 해달 개체수가 다시 늘어난 알류샨과 코만도르, 캘리포니아 [[빅서]] 해안 등지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ref name = vanblaricom33/> 다만 캘리포니아의 일부 켈프림 [[생태계]]는 해달 없이도 번창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요소에 의해 성게가 조절되는 것 같다.<ref name = vanblaricom33/> 켈프림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해달의 역할은, [[만]]이나 [[삼각강|하구퇴적지]] 등 닫혀 있는 지형보다 먼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연안 지형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ref name=vanblaricom33>VanBlaricom, p.33</ref>
 
켈프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해달은 [[홍합|홍합류]]에게 점령당하기 쉬운 바위투성이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이 바위에서 홍합류를 제거하여, [[홍합]]과 경쟁하는 종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하는 데 기여한다.<ref name="vanblaricom33"/>
223번째 줄: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ref name=vanaqua/>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ref name = Nickerson65/>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ref name=Nickerson65>{{웹 인용|저자=Nickerson, P.|url=http://www.defenders.org/programs_and_policy/wildlife_conservation/imperiled_species/sea_otter/publications_and_facts/faqs.php|제목=Sea Ot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출판사=Defenders of Wildlife|쪽=65|확인일자확인날짜=2011-08-3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09102511/http://www.defenders.org/programs_and_policy/wildlife_conservation/imperiled_species/sea_otter/publications_and_facts/faqs.php|보존날짜=2011-07-09|확인날짜=2011-08-31|깨진링크=아니오}}</ref>
 
== 인간과의 관계 ==
259번째 줄:
최근 수십년 사이, 알류산 열도에서는 예상치 못한 해달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1980년대의 알류샨 열도는 약 55,000 마리에서 100,000 마리의 해달의 보금자리였으나, 2000년에는 6,000 마리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ref name=cnn/>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견해(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범고래]]들이 해달을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해달이 사라지는 패턴이 포식의 증가와 일치한다. 하지만 범고래가 정말 해달을 잡아먹는지, 또 얼마나 잡아먹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ref name=Schrope>{{저널 인용 |저자=Schrope M |제목=Food chains: killer in the kelp |저널=Nature |volume=445 |issue=7129 |쪽=703–5 |연도=2007 |월=2|pmid=17301765 |doi=10.1038/445703a|이탤릭체=예}}</ref>
 
또 다른 요주의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990년대 해달 복원 정도가 등락을 거듭하거나 감소하고 있다.<ref name = ASLC/> 성체 및 성장기가 거의 끝난 개체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으며, 특히 암컷의 사망률이 높음이 보고되었다.<ref name="Leff" /> 죽은 시체의 [[부검]] 결과 질병, 특히 [[톡소포자충|톡소플라즈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구두동물|구두충]] 기생이 캘리포니아 해달의 주요 폐사 원인으로 밝혀졌다.<ref name=kreuder>{{저널 인용 |저자=Kreuder C |제목=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ern sea otters (''Enhydra lutris nereis'') from 1998–2001 |저널=Journal of Wildlife Diseases |volume=39 |issue=3 |쪽=495–509 |연도=2003 |월=7 |pmid=14567210 |url=http://www.jwildlifedis.org/cgi/pmidlookup?view=long&pmid=14567210 |공저자=Miller MA, Jessup DA; Lowenstine, LJ; Harris, MD; Ames, JA; Carpenter, TE; Conrad, PA; Mazet, JA|이탤릭체=예}}</ref> 해달에게 매우 치명적인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은 야생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주머니쥐]] 등이 숙주이며, 집고양이의 분비물이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달에게 감염될 수 있다.<ref name=kreuder/><ref name=mag72>{{뉴스 인용|url=http://www.magazine.noaa.gov/stories/mag72.htm|제목=Parasite in cats killing sea otters|출판사=[[미국 해양대기청]]|날짜=2003-01-21|뉴스=NOAA magazine|확인일자확인날짜=2007-11-24|이탤릭체=예|확인날짜=2007-11-2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225205629/http://www.magazine.noaa.gov/stories/mag72.htm|보존날짜=2007-12-25|깨진링크=예}}</ref> 캘리포니아해달의 폐사에 질병이 큰 것은 확실하지만, 어째서 다른 지역에 비해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이 다른 지역의 해달 개체군보다 질병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ref name=kreuder/>
 
미국, 러시아, 캐나다 각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여 해달 서식지를 보존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서는 폐기물 투기나 원유 시추와 같은 오염 행위가 일반적인 경우 금지된다.<ref>{{웹 인용|제목=National Marine Sanctuaries Regulations| 출판사= [[NOAA]] |url=http://sanctuaries.noaa.gov/protect/regulations/welcome.html|확인일자=2008-03-19}}</ref> [[몬트레이 만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약 1,200 마리,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5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다.<ref>{{웹 인용|제목=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출판사=City of Monterey|url=http://www.monterey.org/harbor/mbnms.html|확인일자확인날짜=2008-03-1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111030900/http://www.monterey.org/harbor/mbnms.html|보존날짜=2008-01-11|확인날짜=2008-03-19|깨진링크=예}}</ref><ref>{{웹 인용|제목=Olympic Coast National Marine Sanctuary History|출판사=[[NOAA]] |url=http://olympiccoast.noaa.gov/living/history_and_culture/history/welcome.html|확인일자=2008-03-19}}</ref>
 
=== 경제적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