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원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율원군 이종'''(栗元君 李倧, [[1433년]] ~ [[1476년]] [[1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손자이자 [[보성군 (왕족)|보성군]](효령대군의 3남)의 다섯째 아들이다. 이름은 종(倧)이요 자는 유안(幼安), 시호는 양경(襄頃), 양환(襄桓)이다. [[1467년]](세조 13) 특명으로 부원수(副元帥)에 책봉되고, 적개공신으로 군에 승작되고 정의대부(正義)가 되었다.

문무(文武)에 능하여 세조 12년 장용대장 대호군(壯勇大將大護軍)으로 평안도에 있을 때 총통도장(銃筒都將)으로 토벌대의 한사람에 임명되어 총통군(銃筒軍) 1,350명을 거느리고 도총사(都摠使) 귀성군 이준(龜城君李浚)을 도와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세종 15년(1433년)에 태어나 성종 7년(1476년) 향년 44세에 병사하였다.
 
== 생애 ==
[[1447년]](세종 39)
처음 광성대부 율원령(光成大夫 栗元令)에 책봉되고 뒤에 율원정으로 승작되었다. [[1467년]](세조 13) 특명으로 부원수(副元帥)에 책봉되고, 적개공신으로 군에 승작되고 정의대부(正義)가 되었다.
 
[[1457년]](세조 3) 보신부정(保信副正)이 되고, [[1460년]](세조 6) [[10월]] [[세조]]가 [[정의왕후]] 등과 함께 황해도(黃海道), 평안도(平安道)를 순행(巡幸)할 때 세자 장이 어가를 호위하고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영응대군]] 이염(永膺大君 李琰), [[계양군]] 이증(桂陽君李璔), 익현군(翼峴君) 이관(李璭)·순성군 이개(順城君) 李𧪚)·보성경 이합(寶城卿 李㝓)·영순군 이부(永順君 李溥), 귀성군 이준(龜城君 李逡) 등과 함께 호종(扈從)하였다. [[1460년]](세조 6) 세조가 친히 주관한 경서(經書) 시험에 합격하여 창선 대부(彰善大夫)를 가자되었다. 이어 [[세조]]가 종친 중에 학식과 무예가 출중한 사람을 뽑아 진종(陳宗)과 사종(射宗)을 삼을 때 입선하였다. 그는 늘 무예를 연마하여 능력을 인정받아, 세조가 군사를 사열할 때는 [[구성군]] 준과 함께 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줄 11 ⟶ 13:
그해 세조가 평안도(平安道)는 경계가 야인(野人)과 인접해있고, 방산진(方山鎭)은 곧 그 요충지(要衝地)인 이유로써 그를 명선 대부(明善大夫)를 가자(加資)해주고 가서 지키게 하였다. 그해 [[10월 22일]] 세조의 왕명으로 민발(閔發), 박수장(朴壽長) 등과 함께 [[평안도]](平安道)에 가서 오랑캐를 정벌하는 [[한명회]]를 지원하고, [[한명회]]의 휘하로 출정하라는 명을 받고 [[10월 25일]] 행 첨지중추원사(行僉知中樞院事) 민발, 행 호군(行護軍) 조계종(趙繼宗), 행 대호군(行大護軍) 박수장 등과 함께 군관(軍官) 1, 2인을 거느리고 [[평안도]]로 가 [[여진족]]과 교전하였다.
 
[[1466년]](세조 12) 율원도정(栗元都正), [[1467년]] 율원정으로 강작되었다가 이 해 [[5월]] 장용대장(壯勇隊將)에 임명되고, [[이시애의 난]]이 발생하자 [[7월 2일]] 그는 율원도정으로 총통도장(銃筒都將)에 겸임되었다. 같은 날 세조의 명으로 귀성군 이준, [[강순]] 등과 함께 여진족[[이시애]]군 토벌에 출정하였다. 7월 17일에는 각 군별 임무를 편성할 때 총통군(銃筒軍) 6백 명을 거느리고 여진족을이시애군과 공격하여 격퇴했다교전하였다. [[8월 20일]] 회군하여 도총사 이하 장수들을 포상할 때 채단(綵段) 2표리(表裏)를 하사받았다. [[1467년]](세조 13) 특명으로 부원수(副元帥)에 책봉되었다.
 
[[1467년]](세조 13) [[9월 3일]] 남도 절도사(南道節度使), 그해 9월 20일 도총사 귀성군 이하 관원들을 포상할 때, 삼등 공신(三等功臣)으로 녹훈되고, 공신호(號)는 적개 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토(田土)와 노비[臧獲]를노비를 하사받고, 작위가중의대부 군으로율원군(中義大夫 栗元君)으로 승작되었다. [[9월 20일]] 함길 남도 병마 절도사(咸吉南道兵馬節度使) 율원군(栗元君)에 임명되었다. 12월 10일 병으로 체직을 청하였으나 후임자로 천거된 권맹희(權孟禧)가 아버지의 병을 이유로 부임을 거부하므로 계속 함길남도 병마절도사를 맡아보았다. 12월 11일 세조가 친히 약물을 하사하여 12월 15일 내의(內醫) 차득참(車得驂)의 편에 보내 약을 주고, 진료를 하게 했다.
 
그러나 병이 깊어 [[1468년]](세조 14)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정의대부 율원군에 임명되었다. 그는 성질이 침착하고 진득하여 일을 만나면 세밀히 살피고 다른 사람을 대접할 때는 겸손하고 공손하였다 한다. [[1476년]](성종 7) [[1월 18일]]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1467년]](세조 13) [[9월 3일]] 남도 절도사(南道節度使), 그해 9월 20일 도총사 귀성군 이하 관원들을 포상할 때, 삼등 공신(三等功臣)으로 녹훈되고, 공신호(號)는 적개 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토(田土)와 노비[臧獲]를 하사받고 작위가 군으로 승작되었다. [[9월 20일]] 함길 남도 병마 절도사(咸吉南道兵馬節度使) 율원군(栗元君)에 임명되었다. 12월 10일 병으로 체직을 청하였으나 후임자로 천거된 권맹희(權孟禧)가 아버지의 병을 이유로 부임을 거부하므로 계속 함길남도 병마절도사를 맡아보았다. 12월 11일 세조가 친히 약물을 하사하여 12월 15일 내의(內醫) 차득참(車得驂)의 편에 보내 약을 주고, 진료를 하게 했다.
 
=== 사후 ===
[[1476년]](성종 7) [[1월 18일]]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바로 양경(襄頃)이란 시호(諡號)를 내렸는데, 인사유공왈양 민이경신왈경(因事有功曰襄 敏以敬愼曰頃)으로, 일로 인하여 공(功)이 있는 것이 양(襄)이고, 민첩하여 경신(敬愼)하는 것이 경(頃)이라 하여 양경이라 하였다. 그런데 1900년대에 편찬된 세보에는 양환이라 되어, 후에 다시 내려진 시호로 추정된다.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 왕릉골 곤좌(坤坐)에 있으며, 부인 무안현부인 동래정씨와 쌍분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