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치우슈코 봉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9)
27번째 줄:
이 전투의 전술적 중요성은 거의 인식되지 못하였으나, 승리의 소식은 온 폴란드로 순식간에 퍼져 나갔고 혁명파(독립파)들은 그 세력을 크게 신장할 수 있었다. [[루블린]](Lublin)과 [[볼히니아]](Volhynia)에 집결하여 러시아 군 편입을 위해 러시아로 출발할 준비를 하고 있던 폴란드군은 코시치우슈코의 군대에 4월 초에 합류하였다.
 
4월 17일 바르샤바에서 러시아는 봉기를 지지하는 용의자<ref name="Williams">[[Henry Smith Williams]], ''The Historians' History of the World'', The Outlook Company, 1904, [http://books.google.com/books?ie=UTF-8&vid=LCCN05017306&id=nPqWfzFFScYC&pg=PA418&lpg=PA418&dq=IGELSTR%C3%96M Google Print, p.418]</ref>들을 체포하고 미약한 규모의 [[스타니스와프 모크로노비스키]](Stanisław Mokronowski)장군 휘하의 바르샤바의 폴란드군 수비대를 무장해제하기 위해 [[미오도바]](Miodowa) 거리의 [[무기고]](Arsenal)을 점령하였다.<ref name="Reszka">{{웹 인용 | author=Grzegorz Reszka | 제목=Insurekcja kościuszkowska | publisher= | year=2005 | work=polskiedzieje.pl | url=http://www.polskiedzieje.pl/artykul,idart-139,t-Insurekcja-kosciuszkowska | accessdate=29 March 2006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926220627/http://www.polskiedzieje.pl/artykul%2Cidart-139%2Ct-Insurekcja-kosciuszkowska | 보존날짜=2007년 09월 26일 | 깨진링크=예 }}</ref> 이는 러시아군 바르샤바 수비대에 대한 [[얀 킬린스키]](Jan Kiliński)가 이끄는 봉기를 촉발시켰다. 이때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Stanisław II Augustus)는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였다. 러시아의 주 폴란드 대사 이자 사령관 [[이오시프 이겔스트롬]](Iosif Igelström)의 무능함과 그 선택된 봉기일자가 봉기군을 도왔다. 그 날은 [[성 주간]](Holy Week)이라서 러시아 수비군 대부분이 비무장 상태로 [[성찬]](Eucharist)에 참가하기 위해 교회로 갔기 때문이다. 봉기가 시작되면서부터, 폴란드 군대는 시민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동시 다발적으로 분산된 러시아 부대에게 기습을 가했다. 도시 전역으로 러시아군에 대한 저항이 확산 되었다. 이틀간 러시아군과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러시아군은 6,000의 수비대 중 2,000-4,000 사이의 손실을 입고 도시밖으로 축출 되었다. [[빌뉴스]](Vilnius)에서도 4월 22일 [[야쿠바 야신스키]](Jokūbas Jasinskis)가 이끄는 비슷한 봉기가 발생했다. 무장해제된 러시아 병사의 학살을 막기 위해 부활절 기간에는 "범죄보다는 인간애"를 강조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바르샤바 공성전 기간 동안 복수를 위한 토론을 벌였다.
 
1794년 5월 7일 , 코시치우슈코는 "[[포우아니에츠 선언]]"(Proclamation of Połaniec)으로 알려진 법령을 공포하였다. 이는 폴란드에서의 [[농노제]] 폐지, 농민에게도 인권을 보장하며, 귀족계층의 착취에서 국가가 농민을 보호한다는 선언 이었다. 비록 새 법은 결코 완전히 시행되지도 못하였고, 대부분의 귀족들이 이 법령을 무시하였지만, 많은 농민들이 이에 고무되어 혁명군-독립군에 가담하였다. 이는 폴란드 역사상 최초로 ''귀족''정을 의미할 뿐이던 ''[[국가]]''의 일부로 농민들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