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테스키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매캐한 연기(토론)의 편집을 Ted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봇: 지롱드 주 출신을(를) 지롱드주 출신(으)로 분류 대체함; 예쁘게 바꿈
30번째 줄:
 
== 생애 ==
[[파일:Chateau la brede.jpg|left왼쪽|thumb섬네일|몽테스키외의 생가인 샤또 드 라 브레드]]
몽테스키외는 [[프랑스]]의 남서부에 있는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였던 줄리아 컬리지를 졸업한 후 26세에 [[개신교|개신교도]]였던 아내 [[장 드 라르티귀]]를 신부로 맞아들였다. 그의 아내는 부유한 귀족 집안 출신이었으며 결혼 지참금으로 포도 농장의 소유권을 가져왔다. 몽테스키외는 귀족이었으나 장남이 아니었기 때문에 작위와 봉토를 물려받을 수 없는 처지였다. 그러나 결혼한 이듬해에 백부가 사망하였고, 그의 유서에 따라 백부의 작위와 봉토를 계승하여 제2대 몽테스키외 남작({{llang|fr|Baron de secondat Montesquieu, 바론 드 세콘다 몽테스키외}})가 되었다. 작위를 상속하기전 몽테스키외의 원래 이름은 '''샤를 루이 드 스공'''이었다. 백부의 작위를 상속한 몽테스키외는 백부가 맡고 있었던 [[보르도]]의 지방법원의 원장직 역시 계승하게 되었다.<ref name="공윈">공윈, 최옥영 역, 거침없이 빠져드는 역사이야기 - 철학편, 시그마북스, 2007, 185 - 186쪽, {{ISBN|89-8445-274-2}}</ref>
 
37번째 줄:
[[1721년]]에 《[[페르시아인의 편지]]》라는 글을 발표하여 당시의 정치와 사회를 비꼬았다. 이에 진로를 고심하던 몽테스키외는 세습하여 물려받은 그의 법원 원장직을 경매로 처분하고 [[파리 (프랑스)|파리]]로 이주하여 연구와 저술에만 전념하게 된다.<ref name="공윈"/> 그 후 법률 연구를 위하여 각국을 여행하였는데, 특히 영국 정치의 좋은 점에 감명을 받았다. [[1734년]]에 선보인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은 몽테스키외의 이름이 유럽 전체에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 법의 정신 ==
[[1748년]]에 《[[법의 정신]]》을 발표하였는데, 이 책에서 그는 법학 연구에 처음으로 역사 법학적, 비교 법학적, 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법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법의 정신]]》은 당시 정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는 여기서 군주정, 귀족정, 민주정이라는 과거 이론가들의 고전적 구분법을 버리고 자신의 고유한 분석틀에 따라 각 정부형태들의 활동원리를 정의했다. 그는 공화정은 덕, 군주정은 명예, 독재정은 공포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또 최초로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으로 권력을 나누는 [[삼권분립|삼권분립설]], 입헌 군주 제도론 등을 전개하는 한편, 전제주의를 극력 공격하면서 법은 각국의 여러 환경에 적합한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이런 주장은 인권 선언과 미국 헌법에도 영향을 미쳤다.<ref>브리태니커 편찬위원회《근대의 탄생》(Agora,P242)</ref>
 
50번째 줄:
 
== 참고문헌 ==
[[파일:Lettres familieres a divers amis d'Italie.tif|thumb섬네일|''Lettres familieres a divers amis d'Italie'', 1767]]
; 몽테스키외의 저서
* 《페르시아인의 편지》 - 이수지 역, 다른세상, 2002, {{ISBN|89-7766-037-8}}
64번째 줄:
 
{{기본정렬:몽테스키외, 샤를루이 드 세콩다}}
 
[[분류:몽테스키외| ]]
[[분류:1689년 태어남]]
줄 75 ⟶ 74:
[[분류: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역사철학자]]
[[분류:지롱드 주지롱드주 출신]]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왕립학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