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57번째 줄:
=== [[일제강점기]] ===
{{본문|목포부#도시의 발전}}
[[파일:Fukuyama-Cho in Mokuho.JPG|thumb섬네일|220px|목포부 (일제강점기)]]
목포 개항 이후 [[완도]]를 통해 이어지던 뱃길에 항상 목포가 끼게 되었고 목포-제주 사이를 정기적으로 항해하는 기선이 생겨났다. 1921년 설립된 순항선조합의 선박을 비롯해 [[인천]], [[부산]], [[여수]]를 오가던 배들은 목포를 중간 기착지로 삼아 항해를 이어나갔다.
 
69번째 줄:
1949년 [[목포부]]에서 목포시가 된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목포시는 계속적으로 면적이 늘어났다. 이는 1963년 무안군 지역 흡수<ref name="법률1175호">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ref> 와 간척에 따른 결과였다. [[1973년]], [[1987년]] 무안군 삼향 일대 행정편입 및 [[1999년]] [[하당신도시|하당신도심]] 2단계 매립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면적이 46.02km<sup>2</sup>에서 46.91km<sup>2</sup>로 늘어났으며 북항 근처의 바다 매립, 삼학도 인근과 충무동 신항 매립으로 면적이 47.92km<sup>2</sup>까지 늘어나 현재에 이르고 있다.
 
[[파일:베아채에서 바라본 남악신도시.jpg|thumb섬네일|220px|남악신도시]]
목포의 명소인 [[삼학도]]는 1940년도에 목포 앞바다에 있던 삼학도를 연륙하면서 68년부터 73년까지 추진된 간척공사로 육지로 변했다. 삼학도는 크게 대·중·소삼학도로 구분되며 2000년부터 복원사업을 실시했다. 시민단체의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아 난항이 컸던 사업이었다. 그러나 2006년 공사 6년 만에 소삼학도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해 물길을 두고 다리를 통해 건너갈 수 있도록 3개의 섬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소삼학도와 중삼학도 사이가 5개의 다리로 연결돼 [[2007년]] [[3월 1일]]부터 개방된 상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158582 2005-11-25 "옛 삼학도 모습"]</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330208 "목포 삼학도 35년 만에 복원...1일 개방"] 2007-03-01</ref>
 
267번째 줄:
{{본문|목포시의 행정 구역}}
{| class="wikitable sortable"
|[[파일:Mokpo-map.png|thumb섬네일|700px|목포시 행정구역]]
|}
 
[[파일:Scenery of Mokpo city(South Korea).JPG|right|thumb섬네일|220px|목포 시가지 모습]]
목포시는 23개의 행정동과 64개의 법정동으로 구분된다. 면적은 50.12&nbsp;km²으로 [[대한민국]]의 [[도시]]들 중에서 6번째로 작다.<ref>[[구리시]], [[과천시]], [[군포시]], [[광명시]], [[오산시]], 목포시 순이다.</ref> 2014년 자료 기준으로, 수도권 및 광역시 안의 기초자치단체를 제외한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들 중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으며 동시에 가장 면적이 작다.<ref>{{웹 인용|url=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0&tblId=DT_11001N_2013_A001&vw_cd=MT_ZTITLE&list_id=110_11001_006_0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제목=성 및 연령별 인구와 인구밀도|성=|이름=|날짜=|웹사이트=KOSIS 국가통계포털|출판사=|언어=ko|확인날짜=}}</ref> 또한 섬 지역은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동으로 편입해 일선 주민 센터에서 관리한다. 현재의 목포시 구획은 1914년 4월 1일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완도군]] 팔금면, [[진도군]] 도초면이 무안군으로 흡수됐고, 그 후 여러 차례 무안군의 지역들을 조금씩 편입시켰다. 하지만 [[1995년]] [[지방자치|지방자치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더는 편입시키지 못하고 간척으로 인한 면적증가만 이루어졌다.
 
538번째 줄:
목포는 도농복합형 도시가 아닌 단일 도시로서 외곽 지역에 간간히 농가가 나타나지만 대규모가 아닌 0.5ha 미만의 농가가 총 1,326가구 중 459가구를 차지한다. 쌀이나 보리, 콩 중에서 콩류의 생산량이 그나마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목포시 통계연표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계속적으로 [[참외]], [[오이]], [[토마토]] 등 과채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참깨 등 특용작물의 생산량도 증감을 반복하고는 있으나 지속적인 생산세를 보이고 있다.
 
[[파일:SquidDrying.jpg|thumb섬네일|220px|[[홍어]]를 말리는 모습(목포시 소재)]]
목포항에는 수많은 어선이 정박해있다. 어선들은 [[흑산도]] 연안으로 나가 흑산 [[홍어]]를 잡아 팔거나 [[갈치]]를 파는 어선이다. 목포 거주 어민 수는 2005년 2,727명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목포 연안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수산물은 어류로서 2006년 기준 26,862톤의 어획고를 올렸다. [[갑각류]]와 [[연체동물]], [[해조류]]가 그 뒤를 이으며 세발낙지로 대표되는 연체동물의 수획고는 한때 1,000톤에도 미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4년부터 호조세로 돌아섰다.<ref>농어업 부분은 목포시 2007년 통계연표를 참조해 작성한 것임을 밝힙니다.</ref>
 
553번째 줄:
광복 이후에는 목포역 일대의 구도심에 모든 기능이 집중되어 문화시설 및 상업 기능이 모두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로 생겨난 연산동 위주로 아파트 단지가 대거 들어서고 1999년부터 하당신도시가 생겨나면서 상당 부분의 인구 유출로 신도시 인근의 상권이 대두되고 원도심의 시내는 계속된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게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2027& 목포시, 전국 최초 '원도심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ref> 원도심의 상업 기능은 상당 부분 상실되어 식품 및 주류 업소들도 거의 자리를 옮겼다. 상권이 줄어들면서 시에서는 오래전부터 대책마련에 고심했으며 원도심 활성화 조례까지 제정했다. 그러나 인구 유출이 많이 진행된 상태고 구도심과 신도심 사이의 거리 차이로 인해 쉽사리 회복되지 않고 있다.<ref>[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009021814394289765 원도심활성화, 또 하나의 신도시건설] 아시아경제 2009-02-19</ref>
 
[[파일:Mokpo Sushi Center.jpg|thumb섬네일|220px|북항 지역에 밀집해 있는 회 음식점들. 일명 '북항회센터'.]]
전통적으로 구도심에 있었던 목포역 상권과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시장은 시민들이 소비를 하는 중추로 꼽혀왔다. 인근에 유일한 백화점이었던 화니백화점이 있었으나 [[IMF 위기]]를 겪으며 화니백화점을 문을 닫았고 중앙극장이 되었다가 현재는 다른 업종으로 변경되어 각 층별로 별도 점포가 영업을 하고 있다. 더욱이 상업 기능의 대부분을 담당하던 구도심은 [[이마트]](2000.12), [[롯데마트]](2001), [[농협]] [[농협유통#농협 하나로클럽|농수산물유통센터]](2003.08)가 각각 하당 석현지구, 하당 [[평화광장]], 하당 석현지구 근처에 개점하면서 기능을 상실하게 됐고 목포역 주변에 있던 코렉스 마트(2004년 폐점)도 문을 닫기에 이르러 대형할인점의 경우 2008년 1월 17일 문을 연 [[홈플러스]] 목포점이 용당동 인근에 있어 신도심이 아닌 곳에 있는 것으로는 유일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1890613 2008-01-11 "삼성 홈플러스 목포점 17일 개점"]</ref> 이제 구도심 인구가 장을 보기 위해 시장 대신 하당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상이다. 다만 여객선터미널 인근에 있는 동명어시장 및 북항에 어시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 홍어나 낙지를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구도심활성화와 재래시장을 돕기 위해 시 당국은 재래시장 상품권을 도입하는 한편 각 시장의 자율권을 살려 문화교실을 도입하는 방편으로 재래시장 되살리기에 나서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08116 목포시 재래시장상품권 인기몰이 `왜?'] 2009-02-18</ref> 비케이큐브 사와 목포시와의 소송전 끝에 광주고검의 상고 포기 지휘로 결국 건축 허가를 내주고, 하당 포르모큐브 옆 부지에 비케이큐브의 대형할인마트가 들어서게 됐다.<ref>[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120109144710147&p=yonhap '법정 다툼' 목포 신도심 대형마트 허가]</ref><ref>[http://media.daum.net/society/nation/others/view.html?cateid=100011&newsid=20120109143010352&p=moneytoday 목포시, 3년 만에 대형마트 건축허가…광주고검 상고포기 지휘]</ref>
2016년 12월 22일에는 [[남악신도시]]에 [[롯데아울렛]] 남악점과 [[롯데마트]] 남악점이 새로 오픈하면서 대형 할인점들끼리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608번째 줄:
|}
 
[[파일:Korail Honam Line Mokpo Station.jpg|thumb섬네일|220px|목포역]]
[[목포역]]은 [[1913년]] [[5월 15일]] [[호남선]] 목포역 - [[함평역]] 간 운행이 시작되면서 보통역으로 출범했다. [[호남선]]의 종착역이자 수탈의 아픔을 지닌 역으로서 현재에는 연간 120만명의 여객 수송을 담당하며 호남권 물류를 담당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daos.net/railway/info.htm?code=180 |제목=다오스 기차역 |확인날짜=2011-04-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30608233704/http://www.daos.net/railway/info.htm?code=180 |보존날짜=2003-06-08 |깨진링크=예 }}</ref>
 
619번째 줄:
 
=== 도로 교통 ===
[[파일:국도1,2호선시작점.JPG|right|thumb섬네일|220px|국도1, 2호선 시작점 기념비]]
주된 교통은 승용차 및 시내버스, 시외버스가 있다. 또한 국도 제1,2호선,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로 전국각지와 연결되어 있다.
 
677번째 줄:
 
=== 해상 교통 ===
[[파일:Coastal area around Mokpo.JPG|thumb섬네일|220px|오른쪽|[[유달산]]에서 본 목포 앞바다]]
목포에는 국내 연안 및 해외를 연결하는 [[목포항]]의 [[목포여객선터미널]]과 농협 철부선이 다니는 목포 북항이 있다. 목포여객선터미널은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과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로 분리되어 있고, 국내 여객항로는 [[흑산도]], [[홍도]], [[제주도]] 및 신안군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담당한다.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상하이]]로 국제여객선이 공식취항식을 갖고 국내 유일 상하이행 배편으로 출범하였지만 현재는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상태다.
 
683번째 줄:
 
== 문화 ==
[[파일:Yudalsan Mokpo at Night.jpg|thumb섬네일|220px|야간조명이 설치된 유달산의 야경]]
[[파일:Downtown of Mokpo.jpg|thumb섬네일|220px|루미나리에가 설치된 목포 구시가지]]
[[파일:Korean marine relic pavilion, Mokpo.JPG|thumb섬네일|220px|국립해양유물전시관]]
[[파일:Mokpo Musicfountatin.jpg|thumb섬네일|220px|목포 춤추는 바다분수]]
목포역 인근에 있는 [[유달산]]은 목포의 자랑이자 상징과 같다. 유달산은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병풍처럼 보인다 해서 금강산의 여름 별칭인 개골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4~5월에는 유달산 꽃축제가 열려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유달산의 볼거리는 정상에 올랐을 때 보이는 [[다도해]] 절경에 있다. 유달산은 228m로 그 높이가 낮지만 목포시 한가운데서 보는 다도해의 절경이 아름다우며 [[낙조대]]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771번째 줄:
 
=== 체육·문예 시설 ===
[[파일:Mokpo Art Center.JPG|thumb섬네일|220px|목포 문화예술회관]]
* [[목포유달경기장|유달경기장]] (용당2동)
용당동 용당로에 자리한 [[목포유달경기장]]은 [[1987년]] 9월 목포실내수영장과 함께 개관하였으며 총 부지 면적 65,964m<sup>2</sup>, 천연잔디구장(69×97m), 8레인의 우레탄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뒤편에는 정구장과 테니스장이 있어 지역 스포츠 동호회의 활동이 잦다. 경기장 1층에는 핸드볼,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 협의회가 들어서 있다. 유달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을 바탕으로 목포시는 2004년부터 시 체육회와 함께 동계전지훈련 유치를 위해 뛰어왔다. 홍보 결과에 힘입어 2004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에까지 축구, 육상, 유도, 경정 등 127개팀 5,912명을 유치했고<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258574 한국일보 2004-11-23 "스포츠 동계훈련 목포로 오세요"]</ref> 앞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투척 종목만을 다루는 목포전국육상대회가 시작되면서 선수들의 발길이 더욱 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08469& 2006-02-03 2006 목포 전국육상경기대회 개최 ]</ref> 2009년 8월 23일부터 한중일 주니어 기능경기대회가 목포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시설 정비가 이뤄져<ref>[http://mokpombc.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63609&sca=%B4%BA%BD%BA%C5%F5%B5%A5%C0%CC&spt=-61129&page=7 목포MBC 2008-11-28 "목포 유달경기장 리모델링 추진"]</ref> 트랙을 비롯한 내부 시설 증강 및 외벽 철거가 이뤄졌다.
971번째 줄:
* {{국기나라|대한민국}} [[성남시]]
* {{국기나라|대한민국}} [[영주시]] (1998년)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국기나라|대한민국}} [[마산시]] (1998년)
* {{국기나라|대한민국}} [[청주시]]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