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초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9)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파일:US pat 5589909 fig 2.png|right|thumb섬네일|320px|위상차 검출 방식 개념도]]
[[파일:Coco Peru is told its show time by David Shankbone.jpg|right|thumb섬네일|250px|자동 초점으로 대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사진에서는 초점이 거울에 비춘 사람에 맞추어져 있다.]]
'''자동 초점'''(自動焦點, {{llang|en|autofocus, '''AF'''}})은 특정 물체(피사체)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광학]] 시스템([[카메라]])의 기능이다. 현재 시판되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는 [[Through-the-lens|TTL]] 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이들 카메라는 별도의 자동 초점 센서 없이, [[CCD]]/[[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은 영상의 대비를 분석하여 초점을 자동으로 맞춘다. 현재 시판되는 [[필름]] [[SLR 카메라]] 및 [[디지털 SLR 카메라]]에는 대부분 TTL 위상차 검출 방식(through-the-lens Metering)이 적용된다.
 
== 개괄 ==
[[파일:US pat 6097894 fig 3.png|right|thumb섬네일|320px|[[캐논 EOS-1D]] 시리즈의 45개 자동 초점 포인트]]
자동 초점 방식은 크게 능동 방식(Active System)과 수동 방식(Passive System)으로 나뉜다. 능동 방식은 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가 [[초음파]]나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능동’이라고 불린다. 수동 방식은 물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다. <ref name="norman">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ref>
 
51번째 줄:
 
=== 이중상 합치 방식 ===
[[파일:US pat 4257705 fig 3.png|right|thumb섬네일|320px|이중상 합치 방식의 개념도. d=fD/δ 공식을 통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중상 합치]] 방식은 사용자가 이중상 합치 [[레인지파인더 카메라]](coincidence rangefinder camera)에서 [[삼각 측량]] 원리를 이용하여 눈으로 초점 맞추는 것을 [[CCD]] 센서와 컴퓨터가 대신 하는 것이다. [[이중상 합치]] 원리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시스템과 주 광학 시스템이 연동되어 움직인다. 별도의 두 개 창을 통해 얻어진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초점을 맞추는 데, 다음 두 가지 작동 방식이 있다.<ref name="norman"/>
 
62번째 줄:
 
=== 대비 검출 방식 ===
[[파일:Us pat 4411505 fig 1a.png|right|thumb섬네일|400px|3개의 라인 센서를 사용하는 대비 검출 방식 개념도. 초점이 맞는 경우 6<nowiki>''</nowiki> 이미지의 대비가 최대 값을 갖는다.]]
[[파일:US pat 4411505 fig 12.png|right|thumb섬네일|320px|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도식.]]
대비 검출 방식(對比 檢出 方式, contrast detection system)은 렌즈를 움직이면서 영상 일부(주로 중앙부분)의 대비를 계속적으로 계산하고, 대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초점이 맞았다고 판단한다. <ref name="norman"/> 대비 검출 방식은 비디오 카메라와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다.
 
82번째 줄:
</gallery>
==== 위상차 검출 방식 자동 초점 센서의 종류 ====
[[파일:US pat 5589909 fig 2.png|right|thumb섬네일|320px|한 쌍의 센서(80, 81)를 사용하는 위상차 검출 시스템]]
[[파일:US pat 4835615 fig 14.png|right|thumb섬네일|320px|두 쌍의 센서(X<sub>1</sub>, X<sub>2</sub>, Y<sub>1</sub>, Y<sub>2</sub>)를 사용하는 크로스 타입 자동 초점 포인트]]
[[파일:US pat 5049731 fig 4.png|right|thumb섬네일|320px|3개의 초점 포인트를 가지는 위상차 검출 방식 시스템]]
위상차 검출 방식에서 단일 축(single-axis 혹은 single-line) 자동 초점 포인트는 보통 1쌍의 [[CCD]]/[[CMOS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진다. 각 CCD/CMOS 이미지 센서는 라인 센서로서 길쭉한 모양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수평·수직 방향 중 한 방향의 대비(contrast. 혹은 디테일)만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크로스 타입(cross-type) 자동 초점 포인트는 보통 두 쌍의 CCD/CMOS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지고, 수평·수직 방향 모두의 대비를 검출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다.<ref name="dcm"/>
 
101번째 줄: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렌즈와 센서가 가깝기 때문에 [[빔 스플리터]] 등이 필요한 TTL([[Through-the-lens]]) 위상차 검출 방식을 적용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는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정확한 [[Through-the-lens|TTL]] 대비 검출 방식만을 사용한다. 예외적으로 [[올림푸스]]의 CAMEDIA C-8080 및 C-7070, [[코닥]]의 EasyShare DX7440, [[캐논 주식회사|캐논]]의 Powershot Pro1과 같은 몇몇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외부 센서를 사용하는 위상차 검출 방식과 [[Through-the-lens|TTL]] 대비 검출 방식을 동시에 채용하여 빠르고도 정확한 자동 초점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카메라들에 사용되는 위상차 검출 방식은 [[Through-the-lens|TTL]]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접사]] 때나 광각·망원 어댑터를 사용할 때 위상차 검출 방식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파일:US pat 4772912 fig 3.png|right|thumb섬네일|320px|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SLR의 도식. 42에 센서가 있다.]]
==== 위상차 검출 방식의 단점 ====
위상차 검출 방식은 다음과 같은 경우 초점을 못 맞추거나 사진가의 의도와 다른 물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ref>[http://www.nikonusa.com/pdf/manuals/dslr/D2X_en_print.pdf The Nikon Guide to Digital Photography with the D2x]</ref> 다음 중 많은 사항은 다른 자동 초점 방식에도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