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40번째 줄:
 
== 역사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경농관.jpg|thumb섬네일|150px|경농관]]
경성공립농업학교는 1918년 [[조선총독부]]의 도지사가 교장의 사무를 맡아 5월 1일 개교했다. 내전 후 1956년 3월 21일 4년제 대학인 서울농업대학으로, 1974년 [[서울시]] 정책에 따라 도시 관련 학과 위주로 개편하였고 이름을 서울산업대학으로 바꿨다. 1975년 관리부서가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에서 서울특별시로 이관됐다.<ref>[http://museum.uos.ac.kr 서울시립대 박물관 홈페이지] 에 있는 대학 역사 페이지의 내용을 간추렸다.</ref> [[서울산업대학]]은 1977년부터 교명 변경을 추진했고, 1981년 새 교명은 서울시립대학으로 정해졌다. 1984년부터는 ‘종합대학 승격’이 학내 민주화 투쟁의 핵심구호로 등장했고, 학생들은 대학 종합화를 위해 시민 서명 운동, 단식 농성 등을 통해 구 교육법에 의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서울시립대학교’ 그 한 줄의 역사|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578&p_key=sn578%BB%E7%C8%B83&p_idx=5566&p_section=%BB%E7%C8%B8|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고득관 객원기자|날짜=2008-05-13|확인날짜=2010-11-03}}</ref> 1993년에는 서울학연구소, 1996년에는 도시과학대학이 설립됐다. 1997년에는 영문교명을 The University of Seoul로 변경했고,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도시과학특성화대학에 선정됐다. 1998년 도시과학연구소가 설립됐다. 2003년,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에 재선정됐다. 2008년에는 개교 9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2009년에는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했다. 2013년에는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을 개원했다.
 
== 교정 ==
[[파일:서울시립대학교탑.jpg|thumb섬네일|150px|시대탑]]
서울시립대 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다. [[청량리역]]에서 정문까지의 거리는 약 1km이고 [[회기역]]에서 후문까지의 거리는 약 800m이다. 후문쪽 길은 복잡하고 오르막길이다. 캠퍼스의 크기는 약 270,000m<sup>2</sup>(134,000평)이며 시설로는 대운동장, 하늘못(연못), 온실 등이 있다. 주요 건물로는 과학기술관, 본관, 제1공학관, 제2공학관, 배봉관, 언무관, 경상관, 중앙도서관, 생활관, 국제학사, 인문학관, 정보기술관, 학생회관, 대강당, 자연과학관, 21세기관, 박물관, 전농관, 건설공학관, 조형관, 실내체육관, 음악학관, 법학관, 종합교육연구동 등이 있다. 교정 동쪽에 [[배봉산]]이 있다.
 
교정이 아름다워 드라마와 영화, 광고 등의 촬영 장소로도 각광을 받는다.<ref>{{뉴스 인용|제목=아름다운 캠퍼스, 최고의 교육환경, 학비부담도 적어|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501&p_key=sn501%BA%B8%B5%B54&p_idx=1880&p_section=%BA%B8%B5%B5|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고득관 기자|날짜=2002-10-28|확인날짜=2011-04-21}}</ref>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지금은 연애중]]》, 《[[여름향기]]》, 《[[사랑해, 울지마]]》, 《[[마이 프린세스]]》, 《[[첫사랑 (2003년 드라마)|첫사랑]]》, 《[[젊은이의 양지]]》, 《[[혼 (드라마)|혼]]》, 《[[내일은 사랑]]》, 《[[3일의 약속]]》, 《[[연애소설]]》, 《[[국화꽃 향기]]》, 《[[번지점프를 하다]]》 등이 서울시립대에서 촬영되었다.
 
[[파일:서울시립대학교 동문탑.jpg|thumb섬네일|150px|동문탑]]
장산곶매 동문탑은 1988년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총동창회가 1억 5,500만원의 동문 성금으로 건립했다. 장산곶매는 1989년 10월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상징 동물이다. 장산곶매를 받치고 있는 탑의 전체적인 모습은 연필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배움을 상징한다.<ref>{{뉴스 인용|제목=〈그때 그 시대〉 시대인 화합의 상징, 동문탑|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555&p_key=sn555%BF%A9%B7%D02&p_idx=3828&p_section=%BF%A9%B7%D0|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임주혁 수습기자|날짜=2006-09-25|확인날짜=2010-11-04}}</ref> 교문은 1937년 건립된 것이 폭이 6m였고, 1991년 개축한 교문은 기둥 2개, 문 3개 형태로 폭은 23m였다.<ref>{{뉴스 인용|제목=‘서울시립대’ 하면 떠오르는 것?|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580&p_key=sn580%BD%C9%C3%FE%BA%B8%B5%B52&p_idx=5625&p_section=%BD%C9%C3%FE%BA%B8%B5%B5|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고득관 객원기자|날짜=2008-06-10|확인날짜=2010-11-04}}</ref> 교문은 2010년 석재에 내린 식물 뿌리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여 현재 임시 철거 중인 상태이다. 2010년 12월 9일 정문 진입로에 시대탑이 세워졌다. 시대탑은 서울의 ㅅ, 사람 人을 형상화했고, 걷는 모양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고 끊임없이 발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우리대학 상징물 제막식과 대운동장 개장식 열려|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616&p_key=sn616%BA%B8%B5%B52&p_idx=7204&p_section=%BA%B8%B5%B5|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김태현 기자|날짜=2011-03-02|확인날짜=2011-04-21}}</ref>
 
274번째 줄:
 
== 교내 기구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jpg|thumb섬네일|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
| valign="top" |
319번째 줄:
== 부속 기관 ==
=== 중앙도서관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중앙도서관.jpg|thumb섬네일|150px|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은 1960년 116평의 건물에 15,000여권의 장서로 출발하여 1977년 10월 중앙도서관으로 위상이 바뀌면서 본격적인 대학도서관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1987년 서울시립대학이 종합대학교로 승격하면서 1,877평을 신축하여 지금의 위치로 이전했다. 1998년 9월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환경변화에 대비한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해 전자정보실이 포함된 1,963평을 증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장서량은 2013년 기준 약 88만여권이다. 1층에는 정기간행물실, 사서과 사무실, 휴게실이 있고, 2층에는 대출실, 3층에는 4개의 열람실, 13개의 스터디룸, 4층에는 논문실, 전자정보실, AV룸, 세미나실 등이 있다.
 
332번째 줄:
 
=== 박물관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jpg|thumb섬네일|150px|박물관]]
박물관은 문화유산을 조사, 수집, 보관하여 교육,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문화감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1984년 9월 4일 개관했다. 각종 근현대사 자료를 소장, 전시하고 있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평일, 토요일에 개방하고 있다.
 
358번째 줄:
== 학생 단체 ==
=== 학생회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학생회관.jpg|thumb섬네일|150px|학생회관]]
총학생회는 재학생들의 투표로 선출되는 중앙학생자치기구이다. 학생총회, 대동제, 전농문화체전, 농활, 새내기 새로배움터, 봉사활동 등을 주최한다. 단과대와 학과에도 학생회가 있고, 학과 행사를 여는 역할을 한다. 총학생회는 1956년 4년제 대학이 된 이후 시작되었다. 1975년 학생회가 폐지되고 학장을 단장으로 하는 [[학도 호국단]]이 창설됐다. 학도호국단은 각 학년을 중대로, 각 학과를 소대로 편성하고 안보 교육과 군사 훈련을 하는 군대식 조직이었다. 1980년 3월 학생 대표들은 ‘학생회 부활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4월 15일 총학생회 선거를 실시했지만 신군부의 [[5·17 쿠데타|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로 보름 만에 해산됐다. 1985년 2월 문교부가 [[학도 호국단]] 폐지를 결정하면서 4월 11일 총학생회 선거가 실시됐고 제21대 총학생회가 10년 만에 건설됐다.<ref>{{뉴스 인용|제목=장산곶매, 날개를 펴다|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579&p_key=sn579%BD%C9%C3%FE%BA%B8%B5%B51&p_idx=5584&p_section=%BD%C9%C3%FE%BA%B8%B5%B5|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고득관 객원기자|날짜=2008-05-27|확인날짜=2010-11-03}}</ref> 역대 총학생회는 2008년 제44대 Change Up, 2009년 제45대 시대공감, 2010년 제46대 2010 총학생회 등이 있었다. 제46대 2010 총학생회는 [[아이티 지진]] 피해 복구 모금, [[남아공 월드컵]] 응원 콘서트,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6월 지방 선거]] 부재자 투표소 설치 등을 이끌었다.<ref>[http://cafe.daum.net/uosisthebest/sEQ/68108 "2010총학생회 1학기 활동보고"], 《서울시립대광장》, 2010년 8월 27일</ref><ref>[http://cafe.daum.net/uosisthebest/sEQ/71831 "제46대 2010총학생회 공약정리"], 《서울시립대광장》, 2010년 12월 10일</ref> 2011년 제47대 동고동락 총학생회는 서울시의 등록금 부당 사용을 비판했고,<ref>{{뉴스 인용|제목=서울시립대 총학 “등록금으로 서울시 공무원 보너스 안돼”|url=http://www.vop.co.kr/A347572.html|출판사=민중의소리|저자=김만중 기자|날짜=2010-12-22|확인날짜=2011-05-10}}</ref> 학생총회에서 국공립대 법인화 반대를 의결했다.<ref>{{뉴스 인용|제목=학생총회, 학생들과 소통을 꾀하다|url=http://press.uos.ac.kr/detail.asp?p_ho=619&p_key=sn619%BA%B8%B5%B51&p_idx=7320&p_section=%BA%B8%B5%B5|출판사=서울시립대신문|저자=박종혁, 오새롬 기자|날짜=2011-04-11|확인날짜=2011-05-10}}</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