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파일:Antennae galaxies xl.jpg|thumb섬네일|250px|[[더듬이 은하]]는 은하의 충돌로부터 발생하는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의 예이다.]]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llang|en|Starburst galaxy}})는 은하의 장기간 평균 별형성률이나 다른 많은 은하에서 관측된 별형성률에 비해 유난히 큰 속도의 [[항성 형성|별의 형성]]을 겪고 있는 은하이다.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서의 별형성률은 매우 커서 은하의 나이보다 짧은 시간만에 가스 보유량을 전부 별을 형성하는데 소모할 것이다. 그러한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일반적으로 [[은하의 형성 및 진화|은하의 진화]]에 대해 짧은 시간을 차지하는 단계이다. 대부분의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또다른 은하와 [[은하병합|병합]] 중에 있거나 매우 근접해 있다. 유명한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로는 [[시가 은하|M82]], [[더듬이 은하|NGC 4038/NGC 4039]](더듬이 은하), [[IC 10]]이 있다.
 
== 정의 ==
[[파일:Light and dust in a nearby starburst galaxy.jpg|thumb섬네일|근처의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서의 빛과 먼지<ref>{{뉴스 인용|title=근처의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서의 빛과 먼지 |url=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potw1313a/|accessdate=2013년 4월 4일|newspaper=ESA/Hubble}}</ref>]]
 
용어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 관해 몇몇 정의가 존재하는데, 모든 [[천문학자]]들이 동의할 만한 엄격한 정의는 없다.<ref name="Kennicutt2012_536">[[#Kennicutt2012|Kennicutt & Evans (2012), p. 536.]]</ref> 그러나, 정의는 보통 아래의 세가지 요소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23번째 줄:
 
=== 종류 ===
[[파일:Artist's impression of a galaxy undergoing a starburst.jpg|thumb섬네일|폭발적 항성생성을 겪고 있는 은하 관한 예술가의 표현.<ref>{{뉴스 인용|title=전체가 갓난 별의 온기를 느끼는 은하|url=http://www.spacetelescope.org/news/heic1308/|accessdate=2013년 4월 30일|newspaper=ESA/허블 프레스 릴리즈}}</ref>]]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의 유형 분류는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가 그 자체로 특별한 유형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어렵다. 폭발적 항성생성은 [[원반은하]]와, 종종 은하 도처에 퍼져 있는 폭발적 항성생성 무리를 내보이는 [[불규칙은하]]에서 발생한다. 그래도 천문학자들은 보통, 많고 뚜렷한 관측적 특징에 기반하여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를 분류한다. 분류 일부는 아래와 같다.
38번째 줄:
 
=== 구성요소 ===
[[파일:Messier 82 HST.jpg|thumb섬네일|[[메시에 82]]는 [[큰곰자리]]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가까운 원형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이다.]]
 
첫째로,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별을 형성하기 위한 많은 유효가스 공급량을 가져야 한다. 폭발적 항성생성 그 자체는 다른 은하와의 (M81/M82와 같은)접근, (더듬이 은하와 같은)충돌, 또는 (항성막대와 같은)은하의 중심쪽으로 물질에 힘을 가하는 또다른 과정에 의해 촉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