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성 (물리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2번째 줄:
 
== 실험적 접근 ==
[[파일:Yin yang.svg|thumb섬네일|음양어 [[태극도]]]]
이처럼 양자물리의 영역은 일견 상당히 혼란스럽게 보인다. [[간섭]]과 [[회절]]을 일으키는 빛은 에너지를 [[광양자]]의 다발로 공급한다. 공간을 직선으로 움직이면서 충돌을 하는 [[전자]] 또한 파동처럼 간섭무늬를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이에 준하는 질서는 존재한다. 빛과 전자의 거동은 똑같은 방법으로 혼돈을 준다. 왜냐하면 빛이나 전자 모두 다 [[파동]]과 [[아원자입자|입자]]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18번째 줄:
 
반대되는 성분이 모든 것을 나타내는 성분이 된다는 생각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옛날 동양에서는 이러한 생각이 세계를 보는 데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음양|음양 사상]]으로, [[태극도]]에 상징적으로 나타나 있다. 무늬에서 한쪽은 음이라 부르고 다른 한쪽은 양이라 부른다. 음이 있으면 항상 양이 존재한다. 단지 음과 양이 합쳐야 전체가 된다. 낮음이 있으면 높음이 있고, 밤이 있으면 낮이 존재한다. 탄생이 있으면 사망이 있다. 또한 사람은 음(감정, 본능, 여성성, 우뇌)과 양(유추, 남성성, 좌뇌)의 합으로 되어있다. 보어는 음양의 그림을 상보성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받아 들여서, 1947년 물리학에 대한 공헌으로 작위를 받았을 때, 음양의 모양을 가문을 나타내는 상징<ref>http://www.nbi.dk/hehi/logo/bohr_crest.png</ref> 으로 선택하였다.
[[파일:Coat of Arms of Niels Bohr.svg|right|150px|thumb섬네일|닐스 보어의 문장]]
 
== 참조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