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I@home: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변수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38번째 줄:
 
== 수행 단계 ==
[[파일:Arecibo naic big.gif‎|thumb섬네일|right|220px|아레시보 천문대]]
SETI@home의 프로젝트는 몇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먼저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정보는 [[푸에르토리코]]에 위치한 지름 305m의 세계 최대의 단일 전파망원경인 [[아레시보 천문대]]의 수신기에서 수집된다. 수집된 데이터는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분산 컴퓨팅]]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는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작게 나누어 전 세계의 [[BOINC]]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로 분산되어 보낸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지며, 분석된 결과는 다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보내진다.
 
53번째 줄:
 
== 참여 ==
[[파일:SETIatHome Classic3.jpg|thumb섬네일|left|220px|SETI@home Classic v3.08의 동작]]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가 있다면 누구나 무료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킴으로써 SETI@home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개인용 컴퓨터의 CPU, 디스크 공간, 네트워크 대역폭의 일부를 사용하여 작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지 않을 때 [[화면 보호기]]의 형태로 작동하며, 사용자가 자원의 사용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면 보호기를 끄고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62번째 줄:
|확인날짜=2009-06-09}}</ref>
 
[[파일:seti1setikah.jpg|thumb섬네일|left|220px|SETI@home Enhanced v6.03의 동작]]
=== SETI@home Enhanced ===
[[BOINC]] 기반의 SETI@home으로 넘어오고 약 2년여 지나 [[2006년]] [[5월 3일]] 새로운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인 "SETI@home Enhanced" 프로그램이 나오게 되었다. 이는 그동안 발전한 컴퓨터 기술에 따라 외계에서 오는 전파를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변경된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에 비하여 처리 시간도 더 걸리지만 그에 따라 크레딧({{lang|en|Credit}})도 더 받을 수 있게 되었다.
70번째 줄:
|확인날짜=2010-01-27}}</ref>
 
[[파일:APsetikah.jpg|thumb섬네일|left|220px|Astropulse v5.05의 동작]]
=== Astropulse ===
[[Astropulse]]는 새로운 타입의 SETI 프로젝트로서 기존의 SETI@home의 확장이며 대체하는 프로그램은 아니다. 기존의 SETI@home은 종래의 [[AM 방송|AM]]이나 [[FM 방송|FM]] 라디오와 같이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신호를 찾지만 그에 반해 Astropulse는 좀 더 넓은 대역에서 외계신호를 찾기 위한 프로그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