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eobot (토론 | 기여)
잔글 경자치단체 명칭 변, replaced: 남구 (인천광역시) → 미추홀구 using AWB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파일:A Part of Daedongyeojido to show incheon.png|350px|thumb섬네일|[[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ref>{{harvnb|김윤식 등|2006|p=43}}</ref>,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다.<ref name="삼국사기">김부식, 《삼국사기》 , 35권, 잡지 4, 지리 2, 신라조</ref> [[고려]] 시대에는 수도인 [[개성]]에 인접한 해안 지역으로서 해양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였으며, 왕성을 보호할 목적으로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를 오늘날 [[부평 (인천)|부평]]인 수주(樹洲)에 두었다. 안남도호부는 시흥, 양천, 통진, 김포, 그리고 원인천(原仁川) 지역이라 할 수 있는 소성현(邵城縣)이 속해 있었다.<ref name="오영태">{{harvnb|오영태|1994|p=28-29}}</ref> 소성현은 고려 왕실의 외척을 배출하여 계속하여 지위가 격상되었는데, [[고려 숙종]]대에 경원군(慶源郡)으로 승격되었고, [[고려 인종|인종]]대에는 인주(仁州)로, [[공양왕]] 대에는 경원부(慶源府)로 승격되었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2003|p=48-51}}</ref> 그러나, [[조선]]이 개국한 후 [[조선 태조|태조]]는 다시 인주로 격하하였고, [[조선 태종|태종]]이 고을 사이의 서열을 정비하면서 인천으로 격하하여 오늘날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ref name="나채훈박한섭21">{{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19}}</ref>
65번째 줄:
== 선사시대 ==
 
[[파일:Korea-Ganghwado-Dolmen-02.jpg|thumb섬네일|강화도의 고인돌]]
 
인천 지역에서 직접적인 구석기 유물이 출토된 것은 아직 없지만, [[영종도]] 송산지역에서 주먹도끼 등이 나온 것으로 보아 [[구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에서 사람이 살고 있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영종도 지역에서는 신석기에서 청동기 시대에 걸친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다.<ref>[http://museumuf.hanyang.ac.kr/indexD6.html 한양대학교박물관 신석기시대 영종도 유물]</ref> 인천의 여러 섬에서는 고인돌과 함께 간돌화살, 간돌칼 같은 [[간석기]]가 출토되었다.<ref>{{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14}}</ref> 구석기 유물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해수면이 상승한 때문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다.<ref name="인하대학교박물관">[http://www.inhamuseum.kr/incheon/incheon.php 인천의 역사], 인하대학교박물관</ref> 인천의 [[신석기 시대|신석기]] 흔적은 주로 [[강화군|강화]], [[부평구|부평]], [[옹진군|옹진]] 및 [[동구 (인천광역시)|동구]]∙[[중구 (인천광역시)|중구]]의 연안 섬지역에서 밝혀지고 있으며, 내륙지역에서는 개발로 인해 거의 찾을 수 없다. [[작약도]](동구 만석동)에서는 조개더미와 석기 및 빗살무늬토기 그리고 돌화살촉 등이 출토된 적이 있었고, 영종도∙[[삼목도]]∙[[용유도]]∙[[무의도]] 일대에서도 [[인천국제공항]] 건설과 관련하여 유적조사가 실시되어 많은 신석기 유적이 확인∙조사된 바 있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2003|p=31-34}}</ref>
73번째 줄:
== 삼국시대 ==
 
{{인용문|[[파일:Neungheodae site.JPG|thumb섬네일|left|150px|능허대터]] 沸流欲居於海濵, 十臣諌曰惟此河南之地北帶漢水東據髙岳南望沃澤西阻大海其天險地利難得之勢作都於斯不亦冝乎. 沸流不聽分其民歸弥鄒忽以居之. 温祚都河南慰禮城以十臣爲輔翼國號十濟 <br /> 비류는 바닷가에 머물고자 하였다. 십신이 오히려 이 하남의 땅이 북으로 한수를 마주하고 동으로 높은 산에 닿고 남쪽으로는 물이 풍부하며 서쪽으로는큰 바다를 비껴서서 그 천험한 땅을 다시 얻기는 어려우니 그곳에 도읍을 정하심이 좋지 않겠습니까 하고 간하였다. 비류는 듣지 않고 백성을 나누어 미추홀로 가 자리잡았다.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십신이 보좌하니 나라 이름을 십제라 하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1권〉<ref>[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sg_023r 삼국사기 권제23 백제본기 제1], 국사편찬위원회</ref> }}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온조와 함께 고구려에서 남하한 비류가 미추홀에 도읍을 하였다고 하며, 삼국사기의 지리지에서는 미추홀의 위치가 인천이라고 밝히고 있다.<ref name="삼국사기" /> 미추홀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동사강목]]》에서는 문학산성 인근으로 추정하고 있다.<ref>《동사강목 제1상》〈계묘년 마한 신라 시조 40년, 고구려 유리왕 2년, 백제 시조 부여온조(扶餘溫祚) 원년 ○ 이로부터 3국이 되었다(한 성제 홍가 3년, 서기 기원전 18년)〉의 미추홀 각주 - 지금의 인천(仁川)이다. 세속에 전해오기를, 문학산(文鶴山) 위에 비류성의 터가 있고 성문의 문짝 판자가 지금도 오히려 남아 있으며, 성안에 비류정(沸流井)이 있는데 물맛이 시원하다.’고 한다. 《여지승람》에 실리지 않아 한스럽다.</ref> 미추홀이란 이름은 물가에 있는 지역을 뜻하는 뭇골, 또는 거친 들판이 있는 지역을 뜻하는 맷골의 음차라는 해석이 있다.<ref>[http://m.grandculture.net/contents.aspx?use=&lc=GC047&ct=A&ctid=A00005&contid=GC04700355 미추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ref>
83번째 줄:
== 고려시대 ==
 
[[파일:Korea-Haeinsa Tripitaka Koreana woodblock 2770-06a.jpg|thumb섬네일|팔만대장경판]]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개성|송악]]을 중심으로 해상무역을 하는 [[호족]]이었다. 서해안 일대의 호족들은 각자 독자적인 사무역을 통하여 세력을 모았고 왕건과 협조하여 고려를 세웠다. 신라말 고려초의 인천지역 호족으로는 인주 이씨(仁州 李氏, 경원이씨), 부평 이씨(富平 李氏), 강화 위씨(江華 韋氏)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인주 이씨는 문종대에서 인종대에 이르는 7대 80여 년 동안 정권을 장악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2003|p=45-51}}</ref>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자겸]]이 있다.<ref>백유선 외,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두리미디어, 2007년, {{ISBN|8977151376}}, 234쪽</ref>
96번째 줄:
 
=== 행정 ===
[[파일:인천도호부청사 동헌.jpg|thumb섬네일|복원된 인천도호부 동헌]]
 
조선을 개국한 [[조선 태조|태조]] 이성계는 고려 왕실과 관계가 깊은 인천을 경원부에서 다시 인주로 격하시켰고, 태종 대에 이르러 인천으로 다시 격하되었다.《[[세종실록 지리지]]》에 태종 13년 고을의 이름에 주(州)가 들어간 곳 가운데 정3품인 목사(牧使)가 있는 곳은 그대로 주로 두고 종4품 지관(知官)이나 종6품 감무(監務)가 있는 곳은 산(山) 또는 천(川)으로 개명하도록 하였다는 설명이 보인다<ref>{{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21}}</ref>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인천의 경계를 “동쪽으로 45리에 [[안산시|안산]]이 있고, 서쪽과 남쪽은 바다인데 모두 7리요, 북쪽으로는 10리에 부평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토박이 성씨로 이(李), 공(貢), 하(河), 채(蔡), 전(全), 문(門)의 6성과 이주해 온 성씨로 박(朴)과 최(崔)가 있으나 최씨는 없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주변의 섬에서 소금을 구웠다는 것과 [[무의도]]에서 나라의 말 92필을 길렀다고 한다.<ref>《세종실록지리지》, 인천</ref>
107번째 줄:
 
=== 군사 ===
[[파일:Fortress in Ganhwado.svg|thumb섬네일|[[강화해협]] 곳곳에 위치한 진과 돈대의 위치]]
 
조선시대의 조세 운반에는 조운선이 쓰였는데 각지의 조운선은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인천 앞바다와 [[강화해협]]를 거쳐 서울로 향하였다.<ref>[http://jung2.bucheon.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001005004002004 조선시대 부천의 역사], 부천시</ref> 이렇게 인천 일대는 서울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이다. 조선 초기인 태조 3년에는 [[왜구]]가 [[교동도]]까지 올라와 침범하였다.<ref>[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aa_10205014_001&tabid=k 태조실록 2년 5월 14일]</ref> 조선 조정은 인천 일대를 서울의 입구라는 의미에서 인후지지(咽喉之地)로 보아 방비하였고 교동도호부에 경기 수영을 두었다.<ref name="김경옥" /> 군사적으로 인천도호부는 부평도호부, 강화진무영과 함께 수원진관에 소속되어 있었다.<ref name="인하대학교박물관" /><ref>〈여지도서〉,《[http://www.incheon.go.kr/ebook/pdf/2004_12_3.pdf 역주 인천부읍지]》,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4년, 97쪽</ref>
125번째 줄:
 
== 개항기 ==
[[파일:Corée.jpg|thumb섬네일|일본과 러시아의 줄다리기 사이에 낀 조선. 1904년 프랑스 만평]]
 
개항기는 [[한국의 역사]]에서 큰 격동기로 인천은 이 시기 주요한 사건에 깊숙히 관여되어 있다. [[이양선]]이 출몰하기 시작하면서 서양과의 직접적인 대면이 이루어졌고, [[병인양요]], [[신미양요]]와 같은 전쟁이 있었다. [[운요호 사건]]으로 인해 맺어진 [[강화도조약]] 이후 [[조선]]은 개항기를 맞았고, [[제물포조약]]이후 인천에는 개항장이 들어섰다. 청나라와 일본의 조계지를 비롯한 각국의 조계가 들어선 이후, 인천에는 [[전기]], [[전신]], [[전화]], [[기차]], [[학교]], [[교회]], [[은행]], [[우체국]]과 같은 새로운 문화가 물밀듯이 들어왔다. 조선을 먹잇감으로 삼은 [[제국주의]] 열강들은 인천을 무대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같은 전쟁을 치르기도 하였다. 이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의 침략야욕이 노골화됨에 따라 인천은 점점 일본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어 지명 마저 일본풍으로 바뀐 곳이 많았다. 일본은 [[인천항]]을 거점으로 식민지적 경제 관계를 세우기 시작하였다.
136번째 줄:
[[조선 정조|정조]]와 [[조선 순조|순조]] 시기의 박해 이후 조선은 천주교를 엄금하고 있었으나, [[조선 철종|철종]] 시기 [[세도정치]] 세력가들은 천주교에 관대한 편이었다. 이를 계기로 프랑스는 [[베르뇌 주교]], [[펠릭스클레르 리델|리델 신부]] 등 [[예수회]] 선교사를 보내 포교를 하였다. 그러나, [[조선 고종|고종]] 3년(1866년) 조선은 다시 천주교를 억압하기 시작하였고 프랑스인 신부 9명을 처형하였다. 프랑스는 [[병인박해]]로 불리는 이 사건을 빌미로 [[병인양요]]를 일으켰다. 프랑스군은 강화도에 상륙하여 정족산성과 강화읍성을 공격하여 많은 문화재를 약탈하였다. 정족산성에서 [[양현수]]가 이끄는 총병의 공격을 받은 프랑스군은 더 이상 교전은 불리하다는 판단아래 철수하였다. 이를 계기로 [[흥선대원군]]은 쇄국양이(鎖國攘夷) 정책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였다.<ref>김육훈, 《살아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후마니스트, 2013년, {{ISBN|9788958621768}}, 31-33Whr</ref>
 
[[파일:Interior of Fort McKee., 06-1871 - NARA - 559259.tif|thumb섬네일|left|신미양요 당시 광성보에서 전몰한 조선군]]
[[신미양요]]는 [[1871년]] [[6월 10일]]([[조선 고종|고종]] 8년 [[음력 4월 23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다.<ref>정연선 외, 《한국에서의 미국학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년, {{ISBN|8974643294}}, 198쪽</ref> 미국은 [[제너럴 셔먼 호 사건]]의 책임과 통상 교섭을 명분으로 조선의 주요 수로였던 강화도와 김포 사이의 [[염하]]를 거슬러 올라왔고 조선 측의 거부를 무시하고 탐침을 시도하여 교전이 일어났다.<ref name="역사연구소25">역사연구소, 《함께보는 한국근현대사》, 서해문집, 2013년, {{ISBN|9788978432087}}, 25쪽</ref> 3일간의 교전 결과 조선은 [[광성보]]가 함락되고 순무중군 [[어재연]]을 비롯한 수비 병력 대다수가 사망하였다. 미해군은 20일간 통상을 요구하며 주둔하였으나 조선의 완강한 쇄국 정책으로 아무런 협상을 하지 못하고 퇴각하였다.<ref>이광희, 《한국사를 뒤흔든 20가지 전쟁》, 씽크하우스, 2007년, {{ISBN|8901063093}}, 133쪽</ref> 신미양요는 미군이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 조선의 입장에서는 결사 항전하여 이양선을 몰아낸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대원군은 이를 계기로 전국에 척화비를 세우고 쇄국 정책을 고수하였으며, 일본이 여러 차례 통상을 요구하는 것을 거절하였다.<ref>김육훈, 《살아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후마니스트, 2013년, {{ISBN|9788958621768}}, 35쪽</ref> 미국은 참전한 9명의 수병과 6명의 해병에게 명예훈장을 수여하였다.<ref>[http://www.history.army.mil/html/moh/korean1871.html Korean Campaign 1871 Medal of Honor Recipients]</ref> 미국 아시아함대는 1865년 동인도-중국 함대가 개편되어 설립된 것으로 신미양요는 아시아함대의 첫 전투였다. 미국의 이러한 함대 재편과 조선 침공은 미국도 제국주의 [[열강]]의 대열에 합류하려는 정책의 소산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해외 팽창 정책은 별다른 성과 없이 조선의 배외 감정만을 더욱 높이게 되었다.<ref>서해문집, 《내일을 여는 역사》 통권 13호, 2003년, {{ISBN|8974831880}}, 61쪽</ref>
 
[[1875년]] 9월 20일(고종 12년, 음력 8월 21일) 이른바 함포외교를 계획한 일본이 측량을 구실로 [[초지진]] 앞까지 운요호를 접근시켜 교전이 일어난 [[운요호 사건]]이 일어났다. 운요호 사건은 일본 내에서 정치적 위기를 겪고 있던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 정권이 정국 타개를 위해 기획한 것으로, 일본 해군이 조선의 영해를 무단 침입한 것 때문에 발생하였지만, 일본은 초지진에서 먼저 발포한 것을 구실삼아 조선에 불평등 조약을 강요하였다. 그 결과 [[강화도조약]]이 채결되어 조선은 쇄국정책을 포기하고 개항을 하게 되었다.<ref>{{harvnb|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2013|p=73-109}} - 김흥수, 〈뜻밖의 봉변, 운요호 사건〉</ref>
 
[[파일:Battle of Phungdo.jpg|thumb섬네일|청일전쟁 풍도 해전을 묘사한 일본의 판화]]
[[1894년]] [[동학농민전쟁]]의 진압을 구실로 청나라가 군대를 파견하자 일본 역시 조선의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였다. 두 나라의 군대는 인천 앞 바다의 [[풍도해전]]을 시작으로 [[청일전쟁]]을 벌였고, 일본군이 한양에 입성한 뒤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에 이르기까지 전선이 확대되었다. 일본은 대외적으로 청의 부당한 간섭에 대해 조선의 독립을 지원한다고 선전하였지만, 속내는 조선을 자신들의 종속국으로 삼고자 하는 것이었다. 8월 17일 일본 정부는 “한국을 명의상 독립국으로 공인하지만, 대일본제국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영원히 또는 장기간 그 독립을 도와주고 타국으로부터의 수모를 막아주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고 결정하였다. 이는 사실상 조선을 일본의 종속국으로 삼겠다는 결정이었다.<ref>나카쓰카 아키라, 김승일 역, 《근대 한국과 일본》, 범우사, 1995년, {{ISBN|8908020543}}, 76-79쪽</ref> 전쟁에서 이긴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 그리고 [[펑후 제도]]를 할양받는 한편, 조선에서 청나라의 영향력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런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한 서구 열강은 [[삼국 간섭]]을 통해 일본을 압박하여 랴오둥 반도를 다시 중국에 반환하도록 하였다.<ref>{{harvnb|강창일|2008|p=107 - 108}}</ref> 일본은 삼국 간섭을 수용하면서도 “결과적으로 모든 것은 국력의 문제로 귀착된다. 국력이 다른 나라의 간섭을 물리칠 수 있다면 어떠한 굴종도 감수할 필요가 없다.”라고 하며 조선에 대한 침략 야욕을 멈추지 않았다.<ref>{{harvnb|한상일|2006|p=93}}</ref>
 
[[파일:Battle of Chemulpo.jpg|thumb섬네일|left|러일전쟁 당시 제물포 해전에서 침몰하는 러시아 군함]]
일본의 조선에 대한 야욕은 결국 러시아의 제국주의와 충돌을 빚었다. 일본과 러시아가 무력충돌 조짐을 보이자 조선 정부는 서둘러 중립국을 선언하였지만, 일본은 이를 무시하고 [[1904년]] [[2월 8일]] [[뤼순]]과 인천에서 [[러시아]] 함대를 공격하여 전쟁을 시작하였다. [[제물포 해전]]에서 승리한 일본은 인천을 통해 한양으로 진격하였고, 조선 정부에 [[한일의정서]]를 강요하여 한반도를 전장으로 만들었다.<ref>나카쓰카 아키라, 김승일 역, 《근대 한국과 일본》, 범우사, 1995년, {{ISBN|8908020543}}, 98-99쪽</ref> [[러일전쟁]]은 1905년 까지 계속되어 일본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영국과 미국의 지원을 받아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사할린을 할양받는 한편, 조선에 대한 독점적인 ‘우월권’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 결과 1905년 일본은 [[을사조약]]을 강요하여 조선의 자주권을 빼앗았다. 당시 조선에서 활동하던 외교관과 기독교 선교사를 포함한 대다수의 서구인들은 일본이 조선에서 이른바 “근대화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적극 지지하였다.<ref>{{harvnb|부르스 커밍스|2001년|p=201-206}}</ref>
 
=== 조계지의 형성 ===
{{참조|인천 차이나타운}}
[[파일:Plan of General Foreign Settlement at Chemulpo made in the 1890s.jpg|thumb섬네일|조계 설치시 제작된 조선 인천 제물포 각국조계지도]]
[[파일:Japanese town at Incheon 1900s.jpg|thumb섬네일|1900년대 초 일본조계지]]
[[파일:Japanese architectures built in early 1900s at Incheon.JPG|thumb섬네일|옛 일본 조계지의 현재 모습. 왼쪽에 차례로 제58은행, 제18은행, 제1은행이 보인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인천은 외세와 직접대면하는 격랑을 맞게 되었다. 인천은 1883년 근대의 개항과 더불어 다양한 외래문물이 수용되고 또 외부로 나가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하였다. 인천항에 몰려온 서구 및 중국·일본 등 여러 나라들은 인천을 Chemulpo 혹은 Jinsen<ref group="주해">인천의 일본식 발음 진센을 로마자로 옮긴 것이다.</ref> 이라 일컬었다.<ref name="Chemulpo">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http://www.incheon.go.kr/ebook/pdf/2007_6.pdf Chemulpo, Jinsen 그리고 인천, 외국인 상업세력과 관련하여], 2007년</ref>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제물포]]는 개항 후보지로 선정되었지만 실제 개항지로 선정되는 데에는 6년이 걸렸다. 조선도 서울의 바로 옆에 개항장이 들어서는 것을 꺼렸고, 일본도 다른 후보지들을 물색하느라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이다.<ref>{{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76}}</ref> [[1882년]] [[제물포 조약]]으로 제물포가 개항지로 선정되었고, 청과 일본, 서구 열강들이 앞다투어 제물포로 몰려들었다. 일본은 제물포 조약 직후 지금의 [[중구 (인천광역시)|중구청]] 자리에 영사관을 세웠고, 청나라 역시 청국이사부(靑國理事府)를 세웠다. 1885년 청나라는 본국과 연결되는 전신선을 세웠다.<ref name="ReferenceA">{{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85-86}}</ref>
203번째 줄:
==== 교통과 통신 ====
{{참조|경인선}}
[[파일:Yamen de Tchemoulpo pictured by Charles Varat.jpg|thumb섬네일|1888년 촬영된 인천감리서(제물포 소재)]]
 
경인선은 한국 최초의 철도이다. 1891년 미국의 기업가 제임스 모스가 미국 공사 [[호러스 뉴턴 알렌|알렌]]을 통하여 조선 정부와 철도부설을 협의하였으나, 일본이 개입하여 일본의 자본으로 철도를 부설하는 '조일잠정합동조관'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청일전쟁 직후 삼국간섭으로 일본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을미사변]]으로 일본을 배척하는 여론이 높아지자 철도 부설권은 다시 모스에게 넘어갔다.<ref>{{harvnb|이회한|2008|p=60}}</ref> 모스는 경인철도 부설권을 양여받은 직후, 인천에 거주하는 같은 미국인 타운센드(W. D. Townsend)와 함께 한국개발공사를 설립하고 콜브란(Henry Collbran)을 기사장으로 하여 경인간 노선을 실측하였고, 1897년 3월 27일에 인천 우각현(쇠뿔고개, 오늘날 도원고개)에서 기공식을 거행하고 공사에 착수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2003|p=153}}</ref> 모스는 미국으로 돌아가 철도 부설 자금을 모집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철도부설권은 결국 일본 자본이 모여 만들어진 경인철도합자회사에 팔렸다.<ref>{{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135-136}}</ref> 1899년 9월 18일 인천역 ~ 노량진역 간 33킬로미터 구간이 개통되었다. 당시 개통된 역은 인천 - 축현 - 우각동 - 부평 - 소사 - 오류동 - 노량진의 7개 역이었다.<ref name="나채훈박한섭137">{{harvnb|나채훈 박한섭|2006|p=137}}</ref>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가 개통되었고 사흘 후인 7월 7일 [[서울역]]까지 연결되어 서울-인천간 철도 교통이 완성되었다.<ref name="고종석">고종석, 《히스토리아》, 마음의산책, {{ISBN|8989351383}}, 278쪽</ref> 경인선은 개통초기 하루 2회 왕복하였으나 전구간이 개통되면서 하루 5회 왕복 운행되었다.<ref name="나채훈박한섭137" />
 
[[파일:A model of train to run Gyeongin line at 1897.JPG|600px|thumb섬네일|center|경인선 초기에 운행된 [[모가형 증기 기관차]]의 모형.]]
 
제물포에 제일 처음 도입된 근대적 통신은 [[전신]]이다. 청나라는 조계지와 본국간의 연락을 위해 전신을 설치하였다.<ref name="ReferenceA"/> 한편, [[전화]]는 조선의 필요에 의해 개설되었는데, 조계지역을 관장하는 인천감리서와 조정사이의 연락을 위해 가설되었다. 한국에 전화가 처음 들어온 것은 청나라에 파견된 유학생 상운이 1882년 3월 제물포항으로 귀국하면서 가져온 것이 시초이나, 실제 통화를 위해 개설된 것은 1898년 무렵으로 보인다. 가장 오래된 통화 기록은 1898년 1월 28일 인천 감리가 외아문(外衙門)에 “오후 3시에 영국 범선 3 척이 입항할 것”이라고 보고한 것이다. 일반인이 전화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02년으로 일본이 서울-인천 간 전화를 불법으로 가설하려하자 조선이 서둘러 사업을 시작하였다.<ref>{{harvnb|조우성|2004|p=56-57}}</ref>
213번째 줄:
==== 항만의 정비와 무역 ====
{{참조|인천항}}
[[파일:Engineering work built Incheon port at 1906.jpg|thumb섬네일|인천항 축항 공사]]
 
제물포는 조선 시대 중기 이후 중요한 군사 거점이었고, 개항 이전에 이미 진과 마을을 구성하고 있었다. 훗날 일제는 개항 이전의 제물포가 “갈대가 우거진 한적한 포구에 불과했다”며<ref>《[http://www.incheon.go.kr/ebook/pdf/2004_12_6.pdf 역주 인천 개항25년사]》,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04년, 13쪽</ref> 개항을 말미암아 크게 발전하였다고 자랑하였으나 이는 자신들의 업적을 과장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ref>{{harvnb|조우성|2004|p=23}}</ref> 그러나, 개항초기 제물포는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고 갯벌이 발달하여 큰 선박이 통행하기에는 불편한 곳이었다. 이 때문에 인천항은 여러 차례 규모를 확장하여 방조제를 만들고 항만을 정비하였다. 1906년 전국 각 항구의 항만시설 개선이 필요하게 되어 실지조사를 시행하였고, 이 조사에 기초해 인천항을 비롯한 전국 10개 항에 대한 항만시설개선계획이 수립되었다. 인천항은 6개년 계획으로 진행되었는데 도중에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로 병탄되어 일본의 [[조선총독부]]가 사업을 계속하여 1912년 5월 완공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2003|p=105-152}}</ref>
265번째 줄:
 
==== 사회상 ====
[[파일:Newton Allen.gif|thumb섬네일|호러스 뉴턴 알렌. 선교사로 한국에 들어와 미국 공사가 되었다. 알렌은 개신교를 한국에 전파하는 한편, 경인선 부설권, 하와이 이민 등 미국의 이권 획득에도 적극 개입하였다.]]
==== 기독교의 전파 ====
개항을 통해 인천에는 새로운 문화가 들어오고 형성되었다. 일본에 이어 [[조미통상조약]]을 맺어 조선에 들어온 미국은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알렌|알렌]]을 공사로 임명하여 각종 이권 침탈에 참여하는 한편, [[개신교]]의 전파에도 힘을 기울였다. 통상조약은 포교 활동까지 허락한 것은 아니었지만, 개항장에서 외국인의 종교 활동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자유롭게 선교활동을 할 수 있었다. 알렌과 미국 북장로교회의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언더우드]]가 서울 지역 선교에 공을 들이는 사이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아펜젤러]]와 스크랜튼은 인천을 기반으로 선교를 하였다. 스크랜튼은 “인천과 서울의 관계는 도쿄와 요코하마의 관계와 같다”고 여겨 인천 지역의 선교를 중요하게 보았다. 이들은 [[내리교회]]를 건립하였고 훗날 조선인 최초의 목사가 되는 김기범 등이 교인이 되었다. 내리교회는 교육활동에도 힘을 기울여 1892년 교회 안에 영화여학당을 세웠다. 김기범은 1901년 5월 4일 목사 안수를 받았다.<ref>{{harvnb|이회한|2008|p=106-108}}</ref> 한편, 1886년 [[조불통상조약]]이 채결되면서 천주교는 오랜 박해가 끝나고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하게 되었다. 프랑스 예수회는 빌렘 신부를 파견하여 [[답동성당]]을 세우고 수녀원을 함께 건립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870000,23 답동성당], 문화재청</ref> [[성공회]] 역시 [[성공회 내동성당]]을 세우는 등 포교활동에 들어갔으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510000,23 인천내동성공회성당], 문화재청</ref>, 중국과 일본인 거류지에도 각자가 신봉하는 여러 종교 시설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276번째 줄:
 
=== 이민 ===
[[파일:이승만과 박용만.jpg|thumb섬네일|left|1913년 2월. 하와이 호놀룰루 기차역에 선 박용만과 이승만]]
 
개항 이후 조계지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하는 사이 한국에서도 새로운 삶을 찾아 이민을 하는 일이 생겼다. 인천항에서 배에 올라 [[하와이]]와 [[멕시코]]로 이민을 떠난 한국인들은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고된 노동을 하였다.
292번째 줄:
 
=== 식민지 자본주의 ===
[[파일:Dock of Incheon port built at 1917.jpg|thumb섬네일|1917년 촬영된 인천항 갑문]]
[[파일:Matches made by Joseon Inchon Company ltd at early 20c.jpg|thumb섬네일|조선인촌주식회사에서 제작한 성냥]]
일제는 인천항의 접안 능력과 물류량을 확대하기 위해 갑문식 항구를 건설하였다. 1911년 6월부터 1918년 10월까지 진행된 갑문식 갑거 공사로 인천항은 4,500 [[톤]] 급 3척과 2,000 톤 급 4 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13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제는 인천항을 다시 확장하고자 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30%의 공정만을 마친채 중단되었다.<ref>{{harvnb|경인일보 특별취재팀|2001|p=82-83}} (상권)</ref>
 
317번째 줄:
 
=== 노동운동 ===
[[파일:Women working in a rice mill factory at Incheon ruled by Japanese at 1920s.jpg|thumb섬네일|left|1920년대 인천 정미소의 여성 선미공]]
일제는 회사령을 발표하여 조선에 일본 자본을 유치하고자 하였다. 일본은 저임금 구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노동집약적인 산업을 조선에 유치하였는데, 총독부는 “조선 산업정책의 기본은 본국인 일본 제국의 산업정책과 관련하여 협조”하는 것으로 보아 일본의 산업 구조를 보완하는 정책을 폈다. 이 때문에 노동자를 보호하는 정책은 기대할 수 없었고, 노동자의 요구는 철저히 억제되어야 하였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 산업조사위원회 위원 가타 나오하루(賀田直治)는 일본 자본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조선인 노동자의 장점으로 임금이 저렴하며, 언어습득이 빠르고, 파업을 일으킬 능력이 부족하고, 일본 공장법의 범위 밖에 있으므로 하등의 지장 없이 일을 시킬 수 있다는 것 등을 들었다.<ref>이상의, 《일제하 조선의 노동정책 연구》, 혜안, 2006년, {{ISBN|89-8494-272-3}}, 54쪽</ref>
 
327번째 줄:
 
=== 사회상 ===
[[파일:Wolmi beach at 1924.jpg|thumb섬네일|1920년대 월미도 해수욕장]]
1923년 남만주철도회사 경철국(京鐵局)이 13만 엔의 경비를 들여 월미도에 3천명 수용 규모의 해수조탕(海水汐湯)을 짓고 관광지를 조성하였다. 월미도와 육지를 콘크리트 도로로 연결하였고, 유원회사를 차려 자본 30만 엔으로 약 7,00평의 땅 사들여 여관, 임대별장, 간이식당, 매점 등을 차리고 월미도 북쪽과 남쪽에 해수욕장을 개설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2009|p=30-31}}</ref> 1920년대에 들어 여름이면 납량열차가 운행되어 수 많은 인파가 월미도로 밀려들었다. 1930년에는 송도에 유원지가 추가로 건설되었다.<ref>{{harvnb|이회한|2008|p=195-197}}</ref> 1930년대 월미도는 서울 인근의 대표적인 휴양지였다. 비행사 [[장덕창]](張德昌)이 수상 비행기를 몰고 와 소월미도 해상에 내려앉아 전국적인 화제를 낳기도 했다. 월미도 유원지는 훗날 한국전쟁 와중에 파괴되었다.<ref>[http://smart.incheon.go.kr/incheon/list_view2.html?code=19085&m_code=2577&m_code2=2585 월미도 조탕], 인천광역시</ref> 당시 발행되던 잡지 《[[개벽 (잡지)|개벽]]》 제48호에서는 〈전에 없던 명승〉이란 제하의 기사에서 월미도 유원지에 대해 “이것을 보고는 웃는 사람도 잇고 아니 눈물짓는 사람도 만타. 風光이 제 아모리 絶佳하단덜 구경은 口敬이다. 아마도 其中에 웃는 사람들은 배불니 먹고 뒤짐지고 八字거름으로 그니는 그네들이 아니고 누구이랴 ”하고 평가하였다.<ref>[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502 월미도의 해수탕, 조탕(潮湯)], 기호일보, 2008년 3월 10일</ref>
 
333번째 줄:
 
== 해방정국 ==
[[파일:Preparatory Committee for National Construction in Chemulpo.JPG|thumb섬네일|미군을 환영하는 현수막을 내건 제물포 건국준비위원회]]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일본 제국]]이 패망하자 한국은 해방을 맞았다. 일본의 패망 직후 [[여운형]]을 중심으로한 독립운동가들은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고 독립을 준비하였다. 건준 인천지부는 1945년 8월 25일 경 시내 영화극장(현 인형극장)에서 주로 [[조봉암]]∙이승엽과 인연이 있는 양곡업계 인물들과 일제 때부터 좌익사상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결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준 인천지부는 광복 직후 인천을 대표하는 정치조직으로 활동하였다. 조봉암은 자신을 따르는 청년들을 규합하여 일제 때 인천경찰서에서 유도 교관을 하던 이임옥을 중심으로 인천시내 경동 애관극장에서 보안대를 결성하였다.<ref name="인천시_인천의역사_214216">{{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p=214-216}}</ref>
 
346번째 줄:
== 한국전쟁 ==
{{참조|인천상륙작전}}
[[파일:Battle of Inchon.png|thumb섬네일|인천상륙작전 후 미군이 상륙정을 정박하여 상륙하는 모습.]]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면적인 남침으로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다.<ref name="한국사특강302303">한국사특강위원회,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년, {{ISBN|89-7096-115-1}}, 302-303쪽</ref> 전쟁을 일으킨지 3일만에 [[서울]]을 함락한 [[조선인민군]]은 7월 4일 인천을 점령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p=222}}</ref> 인민군의 진격이 임박하자 대한민국 정부는 인천지역 [[보도연맹|보도연맹원]]을 모아 학살하였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의 기록에 따르면 “1950년 6월 29일 인천에서 한국경찰이 400여 명 이상의 주민을 학살하였다”고 미 8군이 극동사령부에 보고하였다.<ref>{{harvnb|이회한|2008|p=216}}</ref> 한편, 인천을 점령한 인민군은 군경 및 우익단체 15명을 학살하였고<ref>{{harvnb|이회한|2008|p=219}}</ref>, 100여명의 우익인사를 인천경찰서 유치장에 구속하였다.<ref>{{harvnb|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2003|p=223}}</ref>
358번째 줄:
== 현대 ==
=== 산업화 ===
[[파일:Bupyeong-gu Incheon Korea.jpg|thumb섬네일|부평구 주요부. 앞에 보이는 공장이 한국GM이다.]]
1955년 일제 시대 지어진 부평 자동차 공장(오늘날 [[한국GM]] 자리)에서 [[국제차량제작 시발]]을 만들었다. 그러나, 미군 지프차의 부품을 재사용한 국제차량제작 시발은 1957년 정부의 보유차량대수 제한조치로 타격을 입고 1964년 생산을 중단하였다. 부평의 자동차 산업은 이후 [[새나라자동차]], [[신진자동차공업]], [[새한자동차]], [[대우자동차]], 한국GM을 거쳐 계속되었다.<ref>{{harvnb|경인일보 특별취재팀|2001|p=283-285}} (상권)</ref>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수출주도형 경제 계획을 수립하고 공업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인천은 서울에 인접한 주요한 항구로서 대규모 [[공업단지]] 조성과 함께 수출 단지로서 육성되었다. 1965년 인천수출산업공단이 설립되었고, 1969년부터는 주안기계공업단지가, 1970년부터는 인천 비금속공업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로서 인천은 [[제조업]] 중심의 도시가 되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정부는 [[중화학공업]] 육성을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제조업 내에서 [[경공업]]의 비중이 현저히 감소하는 대신,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급속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인천도 동일한 변화를 겪게 되어 1980년대에 [[남동공업단지]]가 조성되었다. 남동공업단지에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인천의 용도지역 부적격업체 650여개를 포함한 수도권 내 이전대상 1,800여 업체가 연차적으로 입주하였다. 입주대상 대다수는 석유화학 및 조립금속 등의 중화학업체였다.<ref>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인천역사문화총서 30,《인천 경제의 재조명》, 2006년, 16-17쪽</ref>
 
366번째 줄:
 
=== 교통의 확충 ===
[[파일:Incheon International Airport.jpg|thumb섬네일|인천국제공항]]
산업화로 [[인천항]]의 물류량이 급증하자 1965년 제2도크 공사를 시작으로 인천항은 계속하여 확장되어왔다. 1974년 총사업비 149억 8,500만원이 든 제2도크가 완공되었고<ref>{{harvnb|경인일보 특별취재팀|2001|p=84}} (상권)</ref>, 1985년에는 5만톤급 갑문 1기를 증설하였으며, 2004년에는 인천 남항이 개장하였다. 인천항은 여전히 확장 중으로 2009년 신항 1단계 공사로 컨테이너터미널(6선석) 공사가 시작되었다.<ref>[http://www.icpa.or.kr/promote/gabmoon/history/index.do 소개 및 역사], 인천항만공사</ref>
 
385번째 줄:
 
=== 정치 ===
[[파일:조봉암 사형집행 보도.jpg|thumb섬네일|1959년 8월 1일자 조선일보.]]
해방 이후 [[반민특위]]가 설치되어 친일파를 척결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강화출신의 대표적인 친일파 [[갈홍기]]는 1938년 인천기독교연합회에서 서무를 맡으면서 학병을 독려하는 등 친일 행위를 하였으나 반민특위의 처벌을 받지 않은 것은 물론 이승만 정권에서 외무부 차관, 공보처장 등을 지냈고 박정희 정권에서는 말레이시아 대사를 역임했다. 갈홍기는 66년 말레이시아 대사를 끝으로 은퇴한 뒤 89년 사망하였다.<ref>{{harvnb|경인일보 특별취재팀|2001|p=176-177}} (하권)</ref>
 
398번째 줄:
=== 도시화와 행정구역 확장 ===
{{참조|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설명=행정구역 변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파일:인천의 확장.svg|thumb섬네일|인천의 확장]]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천은 점차 거대 도시로 변모하였다.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곳곳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1970년 이후 인천의 인구 변화는 아래의 표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