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원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윤원량'''(尹元亮, [[1495년]] ~ [[1569년]])은 조선 중기의 척신이다. 자(字)는 명숙(明淑), 본관은 [[파평 윤씨|파평]](坡平), 파산부원군 [[윤지임 (1475년)|윤지임]](尹之任)의 아들이며 [[윤원형]](尹元衡)·[[윤원로]](尹元老)의 형이다. [[조선 중종|중종]]의 제3계비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의 친정 오빠이자, [[조선 인종|인종]]의 후궁 [[숙빈 윤씨]]의 친정아버지이다. [[경기도]] 출신.
 
윤원형과 윤원로와 갈등하지 않아 천수를 누렸으나 [[1546년]]부터 윤원형이 [[윤원로]]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그의 이름이 언급되기도 했다. 그는 형제들 중 장수하여 선조 즉위를 보고 사망했다. [[2002년]] [[9월]] 그의 일가 묘역에서 그의 출산 중 사망한 그의 서손녀가 임산부 미라로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ref>[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89183 무덤 밖으로 걸어나온 16세기 양반가 여인] 시사저널 2003.11.11.</ref> 해당 미라는 그의 일찍 죽은 아들 윤소의 서녀였다.
 
== 생애 ==
=== 출생과 가계 ===
윤원량은 [[1495년]] [[경기도]] [[파주시|파주군]]에서 파산부원군 [[윤지임 (1475년)|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태어났다. [[고려]] 태사 [[윤신달]]의 19대손이며19대손이자 [[문하시중]] [[윤관]]의 15대손이다. 위로 형 [[윤원개]], 아래로는 동생 [[윤원필]], [[윤원로]],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 [[윤원형]]이 있었다.
 
중종의 왕비인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의 둘째 오빠로 대윤과 소윤의 친척이었는데, 소윤에 더 가까웠다. 윤임 일파를 대윤이라 하고 윤원형 일파를 소윤이라고 했다. 윤원형과 [[윤임]]은 친척이었는데, 윤원형의 5대조 [[윤번]]의 딸이 [[조선 세조|세조]]비 [[정희왕후]]로, 정희왕후의 남동생 윤사흔의 4대손이었다. [[윤임]]은 [[윤번]]의 차남 [[윤사윤]]의 후손으로 윤원량과 [[윤원형]], [[윤원로]]의 아버지 [[윤지임 (1475년)|윤지임]]과는 8촌간이었다. 윤원량은 [[윤번]]의 셋째 아들 [[윤사흔]]의 고손자였다.
12번째 줄:
 
=== 활동 ===
[[1524년]] 세자익위사 세마(洗馬)가 되자 양사에서 동궁에서 시위(侍衛)를 맡기기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탄핵하였지만 [[중종]]이 이를 듣지 않았다.<ref>중종실록 50권, 중종 19년 2월 23일 무오 1번째기사 1524년 명 가정(嘉靖) 3년 대간이 이함·유홍의 일, 동궁의 관속, 김의석 형제, 금주에 관해 계하다</ref> 그뒤 장령(掌令) 유윤덕(柳閏德)·헌납(獻納) 최극성(崔克成) 등이 그를 거듭 공격했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
 
[[1530년]] 부사과(副司果)로 재직 중, 대간으로부터 마땅히 해임되어야 될 군직인데도 높은 품계를 받고, 녹봉을 받은 사람의 하나라며 파직 탄핵을 당했으나 [[중종]]이 그들이 어떻게 자신이 해임될 줄을 알았겠느냐며 파직을 거부하였다.<ref>중종실록 68권, 중종 25년 7월 15일 임인 1번째기사 1530년 명 가정(嘉靖) 9년 간원이 남걸·황사경 등 11인의 군직인을 파직시킬 것을 청하다</ref> [[1536년]] 그의 딸이 세자의 후궁인 [[양제]]의 후보자로 간택되자 [[문정왕후]]의 근친이라는 이유로 사간 권기(權祺)가 문제제기를 하였으나 중종이 듣지 않았다.<ref>중종실록 81권, 중종 31년 2월 6일 신묘 1번째기사 1536년 명 가정(嘉靖) 15년 궁시 제작·양제 간택·유생과 시험의 폐단·견항진 공사 등에 대한 구언</ref> 이는 [[김안로]]가 자신의 외손녀나 손녀를 세자의 후궁으로 들이고자 사주했다는 설도 있다.<ref>중종실록 87권, 중종 33년 2월 20일 갑자 6번째기사 1538년 명 가정(嘉靖) 17년 박홍린을 흥양현에 귀양보내다</ref>
 
[[1543년]]에는 현감(縣監) 송호례(宋好禮)의 아내 권씨(權氏)의 시외조카 금계정(錦溪正) 기(祺)가 자기 집안의 노비 석급(石及)·최억년(崔億年)·지석견(池石堅)이라는 사람들을 데리고 문을 때려 부수고 불쑥 들어와 둘러서서 행패를 부린뒤 도주했는데, 그의 집에 숨겨주어서 물의를 빚었다. 이듬해 [[1월]] 대사헌 민제인(閔齊仁)의 탄핵을 받고 추고되었다. 이 과정에서 윤원량이 [[사헌부]]의 관리들을 모욕하여 문제가 되기도 했다.<ref>중종실록 101권, 중종 39년 1월 15일 갑인 1번째기사 1544년 명 가정(嘉靖) 23년 사헌부가 윤원량이 헌부 관리를 모욕한 일을 아뢰니 추고하고 법사가 살펴 보게 하다</ref> 이후 사헌부에서 거듭 계를 올렸지만 [[중종]]이 듣지 않았다.
 
[[1546년]](명종 1) [[위사공신|위사]][[원종공신]]이 되고 1자급 승자되었다.
 
그는 정3품 [[돈녕부]] [[도정]]을 지냈고<ref name=autogenerated1>[http://www.donga.com/fbin/searchview?n=200211060291 donga.com[뉴스:기사검색&#93;<!-- 봇이 붙인 제목 -->]</ref> 그의 딸 [[숙빈 윤씨]](淑嬪 尹氏)는 [[조선 인종|인종]]의 후궁이 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 /> 여동생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중종]]의 계비가 되었으므로 처남매부간이면서 겹사돈이기도 하다.
 
그동안 그는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 윤씨의 남동생으로 알려져 왔으나 [[2002년]] [[11월]] 파평윤씨 선산에서 그의 손녀 윤씨의 미이라 발견으로 문정왕후의 오빠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한다.<ref name=autogenerated2>[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26477 파평윤씨 母子미라 “윤원형 종손녀 맞다” ::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211060291 donga.com[뉴스&#93;-436년 전 임신부-태아 미라…문정왕후 종손녀로 밝혀져<!-- 봇이 붙인 제목 -->]</ref><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211150267 donga.com[뉴스&#93;-'모자 미라'서 너울-토시 발견…출토복식중 最古<!-- 봇이 붙인 제목 -->]</ref>
 
권세에 별다른 욕심을 부리지 않아 동생인 [[윤원형]], [[윤원로]]와 충돌하지 않았으나, 윤원형과 윤원로의 갈등 중에 그의 이름이 한때 언급되기도 했다. [[돈녕부]][[도정]]으로 관직을 사퇴하고 물러났다. [[1565년]]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 사후 [[윤원형]]이 몰락한 뒤에도 해를 당하지 않았다. [[조선 선조|선조]]의 즉위를 본 후 [[1569년]](선조 2년)에 사망하였으며, 사망 일자는 미상이다.
 
만년에 혼자 살게 되었다. 혼자 사는 윤원량이 [[윤원형]]의 집을 자주 찾아갔지만 [[윤원형]]은 그를 집 문 밖에 세워놓고 병을 핑계로 만나길 거절하였다.<ref>명종실록 31권, 명종 20년 8월 15일 기묘 3번째기사 1565년 명 가정(嘉靖) 44년 양사가 윤원형의 죄악을 아뢰다</ref> [[조선 선조|선조]]의 즉위를 본 후 [[1569년]](선조 2년)에 사망하였으며, 사망 일자는 미상이다.
 
=== 사후 ===
줄 42 ⟶ 52:
**** 장녀 : [[숙빈 윤씨]](淑嬪 尹氏), [[조선 인종|인종]]의 후궁
* 처부 : 장일취(張日就)
 
== 기타 ==
왕조실록에 나타난 그의 인물평은 어리석다<ref>중종실록 101권, 중종 39년 1월 16일 을묘 1번째기사 1544년 명 가정(嘉靖) 23년 사헌부가 죄인을 숨겨준 윤원량의 일을 아뢰다</ref>, 혼미하고 용렬한 위인<ref>명종실록 3권, 명종 1년 2월 14일 신축 3번째기사 1546년 명 가정(嘉靖) 25년 사간원에서 박간 등과 지친들의 자급을 올린 것에 대해 아뢰었으나 불윤하다</ref> 등의 평이 전한다.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