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시황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威光(토론)의 22447908판 편집을 되돌림
내용을 "문서 훼손하지마 개떠라이 싸이코 색끼들아 찔리는 색끼 바로 너 씌발라마"(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1번째 줄:
문서 훼손하지마 개떠라이 싸이코 색끼들아
{{왕족 정보
찔리는 색끼 바로 너
|이름 = 시황제 |원래 이름=始皇帝
씌발라마
|그림 = Qinshihuang.jpg
|그림설명 =
|서명 =
|문장 =
|문장설명 =
 
|작위 = [[중국의 황제 목록|중국 황제]]
|재위 = 기원전 220년-기원전 210년 9월 10일
|즉위식 =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진 이세황제|이세황제]]
|재상 =
 
|작위2 = [[진 (영성)|진왕]]
|재위2 = 기원전 247년 5월 7일-기원전 220년
|즉위식2 =
|전임자2 = [[진 장양왕]]
|후임자2 = (칭제)
|재상2 =
 
|휘 = 성: 강(姜) <br />씨: 여(呂) <br />명: 정(政)
|별호 =
|연호 =
|묘호 = (없음)
|존호 =
|시호 =(없음)
|능호 =
 
|출생일 = 기원전 259년 2월 19일
|출생지 = [[조 (전국)|조]] [[함양]]
|사망일 = [[사구의 변|기원전 210년 9월 10일]]
|사망지 = [[진나라|진]] 사구(沙丘; 오늘날의 [[허베이성]] [[핑샹현]])
|매장지 =
|능묘 = [[진시황릉|여산릉]]
 
|왕조 = [[진나라|진조]]
|가문 = 강성 여씨 (姜姓呂氏)
|아버지 = [[여불위]]
|어머니 = [[조희 (진 장양왕)|조희]]
|배우자 =
|자녀 = 장남 [[부소]]<br />18남 [[진 이세황제|호해]] 등
|친인척 =
|종교 = [[법가]]
}}
 
'''진 시황제'''({{zh-cp|c=秦始皇帝|p=Qín Shǐ Huáng Dì}}, [[기원전 259년]] 1월 ~ [[기원전 210년]] [[음력 7월 22일]])는 [[전국 칠웅]] [[진 (영성)|진나라]]의 제31대 왕이자, [[중국]] 최초의 [[중국의 황제|황제]]이다. 성은 '''영'''(嬴), 이름은 '''정'''(政) 이라 하나 [[여불위]]의 아들이라는 역사 기록대로 이름은 '''여정'''(呂政)이며, 혹은 '''강성여씨'''(姜姓呂氏)이므로 '''강정'''(姜政)이라고도 부른다. 사마천 사기 진시황본기에는 [[진 장양왕]] [[영자초]]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으나 생부라는 내용은 없고, 출생 부분에 대해 사마천 사기 여불위 열전에 당시 세도가 대단하던 [[조 (전국)|조나라]]의 상인 출신의 [[승상]] [[여불위]](呂不韋)의 아들이라는 역사기록이 있다. 당시에도 진시황을 여정(呂政)이라고 부르고 있었으며, 이를 원나라때까지 어느 누구도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은 없었다. 진시황이 강성여씨 라는 근거는 여불위는 강성 여씨(姜姓 呂氏)로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 측 역사기록 : '''吕不韦(前292年—前235年),姜姓,吕氏,名不韦,卫国濮阳(今河南省安阳市滑县)人。 战国末年著名商人、政治家、思想家,官至秦国丞相。'''
앞서 설명했듯이 <사마천의 사기 中 여불위 열전>에는 여불위의 아들 진시황을 임신하고 있었던 조희를 정치적 목적으로 진장양왕에 바쳤다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12개월이 아닌 대기(大期)('만삭'이라고 해석해야 옳음. 대기는 여자가 아이를 낳을시기를 말함.) 즉, 때가 다 되어서 시황 정(政)을 낳았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여불위의 성을 따랐을경우 '''여정(呂政)'''이며, '영정'이라는 이름처럼 종성을 따라서 '영정'이라고 칭할 경우 여씨의 종성을 따라'''(姜姓 呂氏)''' 즉, '''강정'''(姜政)이 되는 것이다.
 
 
[[기원전 246년]]부터 [[기원전 210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기원전 246년]]부터 [[기원전 241년]]까지 [[여불위]](呂不韋)가 섭정을 하였고 [[기원전 241년]]부터 [[기원전 210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을 하였다. [[불로불사]]에 대한 열망이 컸으며, 대규모의 문화 탄압 사건인 [[분서갱유]]를 일으켜 [[수 양제]]와 더불어 중국 역사상 최대의 폭군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도량형]]을 통일하고 전국 시대 국가들의 장성을 이어 [[만리장성]]을 완성하였다. 분열된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 제도와 군현제를 닦음으로써, 이후 2천년 중국 황조들의 기본틀을 만들었다. 전근대의 중국에서는 특히 유학 관료들에 의하여 폭군이라는 비판을 계속 받았으나, 오늘날 [[중국]]에서는 [[병마용]] 발굴 이후부터 시황제의 진취성과 개척성에 초점을 맞추어 재평가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초기 생애 ==
[[기원전 259년]]에 조나라에 인질로 잡혀온 진나라 공자 영자초와 그 부인 [[조희 (진 장양왕)|조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나 원래 조희는 조나라 수도 [[한단]]의 기생으로, 조나라의 거상 여불위가 데리고 있었다. 여불위는 조희를 영자초에게 바쳤고, 영자초는 조희를 아내로 삼았다. 《[[사기 (역사서)|사기]]》 여불위열전에서는 이 과정에서 원래 조희는 여불위의 아들을 임신하고 있었으나, 여불위가 이를 숨기고 정치적 목적에서 진시황제를 숨겨주었다고 기록이 되어있다. 이는 한나라때부터 원나라때까지 몇년천을 이어오는 과정에서도 한번도 반론이나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없었다.
 
어쨌건, 줄곧 조나라에서 자라다가 [[기원전 250년]], 증조부인 [[진 소양왕|소양왕]] 영직이 [[주나라]]를 멸망시켰다. 그리고 소양왕은 얼마 후, 사망하였고 그 아들인 [[진 효문왕|효문왕]] 영주가 즉위했다. 이에 영자초는 처자와 여불위를 데리고 진나라로 돌아와 태자에 책봉되었으나, 효문왕은 즉위한 지 3일만에 사망하고, 태자 영자초가 즉위하니, 이가 장양왕이다.
 
곧 태자에 책봉되었지만, 선천적으로 몸이 매우 허약하였다. 3년 뒤에 아버지 장양왕이 훙서하자, 13세의 어린 나이로 진나라의 제31대 국왕의 자리에 즉위하였다.
 
== 여불위와의 분쟁 ==
 
새로 진나라 왕이 된 시황제는 친정을 할 수 있는 나이는 아니었기에, 아버지 때에 승상이 된 여불위가 섭정이 되어 국사를 돌보았다. 여불위는 마음대로 국사를 휘둘렀으며, 심지어는 시황제의 모친 조태후와도 각별한 사이였다 한다. 이에 여불위는 [[노애]]라는 자신의 수하를 환관처럼 꾸며 조씨의 처소로 보냈고, 조씨는 노애와의 사이에서 2명의 아들을 낳았다.
 
이에 조씨는 노애와 함께 수도 [[함양]]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서 거처하였다. 하지만, [[기원전 238년]]에 시황제가 성인식으로 잠시 함양을 비우자, 노애가 반란을 일으켰다. 소식을 들은 시황제는 곧바로 군사를 파견하여 노애를 [[능지처참]]에 처하고 어머니 조씨를 감금하였다. 노애와 조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2명도 살해하였다.
 
그리고, 시황제는 여불위를 승상의 자리에서 내치고, 자결을 강요하였다. 이듬해인 [[기원전 237년]]에 여불위는 결국 자결하였으며 시황제는 비로소 친정을 시작하였다.
 
== 전국 통일 과정 ==
전국 통일 과정은 이미 시황제가 즉위 하기 이전인 [[장양왕]]때 부터 시작되었다. 아버지 장양왕이 기원전 250년 주나라 정벌, 즉 진주전쟁에서 승리하여 정복 병합하면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230년]]부터 시황제는 모든 군사를 동원하여 중국 통일을 위한 통일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제일 먼저, 진나라는 가장 세가 약했던 [[한 (전국 시대)|소한]]부터 멸망시켰다.
 
[[기원전 228년]]에는 조나라까지 멸망시켰다. 그 때, [[연나라]]의 태자 [[연태자 단|희단]]이 자객 [[형가]]를 시켜 잔치 자리에서 영정을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이어, [[기원전 225년]]에는 [[위 (전국 시대)|위나라]], [[기원전 223년]]에는 진나라 다음으로 세가 가장 세었던 [[초 (춘추전국)|초나라]], [[기원전 222년]]에는 연나라, 그리고 [[기원전 221년]]에 드디어 마지막 남은 [[제나라]]까지 멸망시켜 시황제의 나이 40세에 전 중국 땅을 마침내 통일하였다.
 
== 최초의 황제 ==
 
시황제는 국왕(國王)라는 칭호가 자신에겐 맞지 않는다며, 새로운 칭호를 원하였다. 그리고 이사와 왕관 등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칭호를 정하게 된다. 처음에 정은 [[도교]]에서 나오는 신비한 칭호인 태황(太皇)과 천황(天皇)과 지황(地皇) 중에서 어느 칭호를 정해야 할 지 고민이었다. 이사와 왕관 등은 태황과 천황과 지황 중에서 가장 높은 직위인 태황의 칭호를 바쳤다. 결국 고심 끝에 시황제는 [[삼황오제]]에서 '황'과 '제'를 따 합쳐서 [[황제]](皇帝)라 칭하기로 하였고, 자신은 황제의 자리가 처음이니 시황제(始皇帝)로 부르라 명했다. 또한 그는 자신이 시황제로 시작하여, 자신의 뒤를 잇는 황제들이 2세, 3세 등 만세까지 진 제국이 지속되기를 바랐다.(통일 후, 진시황은 뒤의 신하나 자식들이 아버지나 선군의 시호를 짓는 것이 품위에 맞지 않는다 생각하고 자신의 후대 황제들을 이세, 삼세황제등으로 부르게 지시하였다.)
 
시황제는 승상 [[이사 (진나라)|이사]]의 의견을 따라 [[군현제]]로 나라를 다스렸고, 전국을 36개 군으로 나누고, 군마다 수(행정 장관), 위(사령 장관), 감(감찰관)을 두었다. 또한, 천하의 부호 12만 호를 함양으로 이주시켜 천하 제일의 산업도시가 되어 발전하면서 그들을 철저하게 감시했다. 그리고 황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함양궁을 제2궁전,제3궁전이 회랑으로 이어져 웅대한 궁전으로 바꾸고, 전국의 농민을 사역에 동원하여 인해전술로 폭 50m의 황제 전용 도로를 만들었다. 시황제는 자기를 역사상 어느 누구도 하지 못한 일을 해낸 천재라고 생각하여, 고관에게 정무를 맡기고 싶은 생각이 없었다. 그래서 법은 시황제가 모두 정하고, 결재도 혼자서 했다. 그래서 상소는 함양궁에 산더미처럼 쌓여졌다. 상소는 저울로 달아졌고, 결재량은 하루에 1석(30kg)으로 정해졌다. 도량형과 화폐, 문자 등을 통일하여 제국을 효율적으로 다스리려 하였고, 도로 역시 정비하여 각지의 교통체계를 강화하였다. 시황제는 남쪽으로도 군사를 파견하여 4개 군을 신설하였으며, 북방의 [[흉노족]]이 중국을 위협하자, 대장군 [[몽염]]을 변방으로 보내어, 그들을 정벌, [[내몽고]]의 땅 일부도 편입시켰다.
 
== 분서갱유와 폭정, 대토목공사 ==
 
[[기원전 213년]], 함양궁에서 큰 연회를 베풀었다. 그때 시황제의 나이는 46세로 절정기였다. 연회도중 박사 [[순우월]]이 [[봉건제]]와 군현제를 놓고 복야 [[주청신]]과 언쟁을 벌였다. 이 때, 순우월이 봉건제로 부활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승상 이사는 30일 내에 진나라의 역사와 의술, 농경 등에 관한 책 이외의 모든 책들을 태워버리라 주청올렸고, 시황제는 이를 받아들여 실행시켰다. 이것이 바로 분서(焚書)이다.
 
이듬해인 [[기원전 212년]], 시황제는 [[방사]] [[후생]]과 [[노생]]에게 불로장생의 약을 가지고 오라 명하였으나, 도리어 그들은 시황제를 비판하며, 도망쳐 버리자 화가 난 시황제에게 조정 안에 수상한 학자가 일하고 있다는 정보가 들어왔다.
학자들은 모두 자기가 아니라며 잡아뗐으나 시황제는 이들을 모두 잡아들였으니, 그 수가 460여명이나 되었다. 그리고, 그들을 구덩이에 넣고 생매장시켰으니, 이것이 바로 갱유(坑儒)이다. 그리고 이를 모두 합쳐서 [[분서갱유]](焚書坑儒)라 불렀다. (분서갱유는 원래 단지 책을 압수하거나 학자들을 단속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는데 한제국 성립후 유학자들이 한제국의 성립의 명분성을 위해서 확대했다는 설이 있다.)
이에 분개한 황태자 [[부소]]가 시황제에게 간언했으나, 부소는 오히려 시황제의 분노를 사 대장군 몽염이 있는 국경 근교로 유배되었다.
 
시황제는 북방에 흉노의 침입을 염려하여 대장군 몽염에게 서쪽으로 임도로부터 동쪽으로 요동까지 그 유명한 [[만리장성]]을 쌓도록 명했다. 이 만리장성에 동원된 인부가 150만여 명이나 되었고, 그 중에서 죽은 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라 하였다.
 
또한, 시황제는 함양 근교에 [[아방궁]]을 쌓도록 하였고, 나아가서는 70만 명의 인부를 동원, 함양 근교의 여산 전체에 자신의 능묘를 건설토록 했다. 이런 대토목공사를 하는 동안, 국가의 재정은 엉망이 되고 말았다.
 
== 불로 불사의 꿈 ==
 
[[파일:Xian museum.jpg|thumb|300px|진시황릉의 [[병마용]]]]
어느 날 시황제의 행차는 낭아산에 도착했다. 시황제는 그 풍경이 맘에 들어 3개월 정도 머물렀는데 갑자기 그곳에서 이상한 것을 보았는데 한 섬이 갑자기 나타나자마자 희미하게 사라져 갔다. (오늘날의 신기루라고 추정하고 있다.) 어느 날 제(산둥성)에 살고 있는 서복이라는 방사가 시황제가 보았던 섬은 전설상의 봉래산 이었다고 주장하고는 봉래산에서 불로불사약을 구해오겠다고 했다. 서복이 갈 배에는 수많은 보물과 소년소녀 3000명이 실어졌다. 그리고 서복은 떠났으나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서복이 탄 배가 지금의 일본으로 가서 그곳에서 정착했다는 설이 있다. 시황제가 불로불사약을 너무나도 간절히 원하고 있어서 각지에서 수상쩍은 방사들까지 모여들었다. 그들은 어디 어디 가면 구할 수 있다던가, 아니면 자기가 불로불사의 기도를 올린다면서 돈을 뜯어가자 시황제는 효험이 없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법률까지 만들었다. 시황제는 불로불사 약인 줄 알고 먹고 자신의 생명까지 위축한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수은이다. 결국 시황제는 불로불사를 꿈꾸다가 마침내는 자신의 생명까지 줄어든 비참한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 가족관계 ==
 
* 부황 : [[여불위]] '''(姜姓呂氏)'''(생부)
* 모후 : [[조희 (진 장양왕)|조희]](趙姬)
* 동생 : [[여성교|장안군 성교]]
* 후비 : 호희(胡姬)
* 후비 : 정비(鄭妃)
* 후비 : 옥수비(玉修妃)
* 자녀
** 장남 : [[부소]]
** 18남 : [[진 이세황제]] 호해
 
=== 황후 ===
시황제의 황후에 관한 기록은 정사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나, 야사 하나가 남아 전해온다.
 
{{인용문|기원전 250년 무렵, 중국 어느 지역에 황제의 자리에 오를 왕자가 살았다. 그는 법률에 따라 즉위 전에 결혼식을 올려야 했다. 미래의 황훗감이니만큼 마음을 터놓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했다. 그래서 왕자는 현자의 조언을 따라 인근 처녀들을 모두 불러 모으라고 영을 내렸다.
 
한편 궁에서 오랜 세월 일해온 한 늙은 여인은 간택령 소식을 듣고 시름에 잠겼다. 딸이 왕자에게 남몰래 연정을 키워왔음을 아는 까닭이었다. 집에 돌아온 여인이 딸에게 그 소식을 전하자, 딸은 자기도 궁으로 가겠다는 것이 아닌가. 여인은 기겁을 했다.
 
"얘야, 거긴 뭐 하러 간다는 게냐? 내로라하는 집안의 어여쁜 규수들만 모일 거다. 그런 생각일랑 아예 하지 마라. 나도 안다, 네 마음이 얼마나 아픈지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런 미치광이 짓을 해서는 안 되는 게야."
 
딸이 대답했다.
 
"어머니, 전 괴롭지 않아요. 미친 건 더더구나 아니고요. 저도 알아요, 제가 뽑힐 일은 절대 없으리란 걸요. 하지만 그러면 잠깐만이라도 사랑하는 왕자님을 가까이서 뵐 수 있을 게 아니에요. 그거면 돼요, 제 운명이 거기까지라는 걸 깨닫게 된다 해도 말이에요."
 
처녀는 저녁이 다 되어서야 궁에 도착했다. 과연 미모를 뽐내는 아가씨들이 아름다운 옷과 값진 보석으로 한껏 치장한 채 모여들었다. 궁정 대신들에게 둘러싸인 왕자가 과제를 제시했다.
 
"그대들 모두에게 각자 씨앗 한 알씩을 주겠소. 그 씨앗으로 여섯 달 안에 가장 아름다운 꽃을 피워 가져오는 이가 장래 이 나라의 황후가 될 것이오."
 
처녀는 씨앗을 가져와 화분에 심었다. 그녀는 원예에 능숙하지 못했지만, 꽃의 아름다움이 자신이 품은 사랑의 크기를 말해줄 거라 굳게 믿으며 끈기를 가지고 화분에 정성을 쏟았다.
 
그러나 석 달이 지나도 씨앗은 싹이 트지 않았다. 처녀는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정원사니 농부들에게 물으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소용이 없었다. 그래도 그녀의 사랑은 어느 때보다 무럭무럭 자라고 있었다.
 
결국 여섯 달이 지나도 화분에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았다. 성과라고는 없었으나 그녀는 자신이 그동안 최선을 다했음을 알고 있었다. 처녀는 어머니에게 말했다. 정해진 시간에 궁으로 가겠노라고. 그녀는 그것이 인생에서 왕자를 대면할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했다.
 
새로이 모인 자리에 처녀는 빈 화분을 들고 나타났다. 다른 후보자들은 저마다 멋진 꽃이 자란 화분을 들고 있었고, 그 꽃들은 어느 것 할 것 없이 모두 아름다웠다.
 
드디어 기다리던 순간이 다가왔다. 왕자가 들어와 아가씨들이 가져온 꽃을 하나씩 둘러본 후 결과를 발표했다. 왕자가 지목한 신붓감은 늙은 여인의 딸이었다.
 
다른 처녀들이 웅성거리더니 항의했다. 왜 하필이면 싹도 틔워오지 못한 저 여자가 간택되었느냐고.
 
왕자는 조용한 목소리로 그 연유를 설명했다.
 
"저 여인이야말로 황후의 미덕이라는 꽃을 피워낸 사람이오. 바로 정직이라는 꽃. 내가 그대들에게 나눠준 씨앗은 싹을 틔우지 못하는 것이오."
 
|파울로 코엘료, 《흐르는 강물처럼》 203 ~ 205쪽}}
 
== 전국 순행 ==
 
[[파일:Terracotta army xian.jpg|thumb|300px|[[진시황릉]]의 또다른 [[병마용]]]]
시황제는 재위 기간 중 무려 다섯 차례씩이나 전국 곳곳을 순행하였다. 그러나, 이런 때에 많은 협객이 폭군 시황제를 죽이려 하였다. 그리하여 시황제는 순행 시, 언제나 5개의 수레를 군사들이 호위토록 하고, 자신은 그 수레 중 하나에 탔다. 시황제가 자신을 죽이려 드는 협객을 얼마나 두려워 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리고 시황제는 길가에 자신의 [[송덕비]]를 세워 자신의 공적을 과시하기도 했다. 한번은 시황제가 [[금릉]](金陵, 현재의 [[난징|남경]])에 왔을 때, 왕기가 일어났다. 이에 분개한 시황제는 근처에 소나무를 빽빽이 세워 왕기의 기운을 막으려 했다. 그리고 금릉은 [[삼국 시대 (중국)|삼국 시대]]까지 [[말릉]](枺陵)으로 불리었다. (이후 건업으로 개칭되고 이후 건강으로 재개칭)이렇게 시황제는 거의 온 중국 대륙을 돌아다녀 자신이 성공한 군주임을 천하에 과시하였다.
 
시황제는 [[기원전 210년]]에 마지막 순행을 하였다. 여기에는 승상 이사와 중거부령인 환관 [[조고]], 그리고 자신의 26번째 아들이자 막내아들인 [[진 이세황제|호해]]가 자신을 뒤따랐다. [[사기 (역사서)|사기]]에 따르면 황제는 돌아오는 도중 평원진에서 유성이 떨어졌는데 그 운석에 누군가가 '시황제사이지분(始皇帝死而地分)' 즉, 시황제가 죽고 천하가 갈라진다고 써놓았다. 이에 충격을 받은 시황제는 병으로 쓰러졌다고 한다. 또는 화가 난 시황제가 그 지역의 주민을 몰살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시황제는 사구 지방에 이르자, 병이 매우 위독해졌으며 유언장을 조고에게 쓰라 하고, 그 내용은 옥새를 적장자인 황태자 부소에게 전달케 하고, 부소에게 함양에서 자신의 장례를 주관하라 명하였다.
 
[[기원전 210년]] [[음력 7월 22일]], 진시황제 영정은 50세의 나이로 붕어하고 말았다. 그의 시신은 자신이 만든 지하궁전인 여산에 묻혔다. 이 능묘는 [[1974년]] 우물공사를 하면서 부장품인 병용(군사모양의 인형)과 더불어 발견되어 지금도 발굴 중이다.
 
그러나 이사와 조고, 호해는 시황제의 죽음을 숨겼으며 시황제의 시신이 있는 수레 옆에 절인 생선을 같이 운반하여 시신 썩는 냄새가 들키지 않도록 했다. 조고는 시황제의 유서를 조작, 황태자 부소와 몽염에게 자결을 하였고 부소는 자결하였으나 몽염은 이 명에 대해 의심을 품어 자결하지 않자 조고는 몽염을 일단 감옥에 가두었다. 얼마 뒤, 시황제의 26남 [[호해]]는 황제에 오르니 그가 진 [[이세황제]]이다. 원래 이세황제는 몽염을 살려주려고 했으나 조고의 말을 듣고는 몽염과 몽의를 반역혐의로 몰아 삼족을 멸하였다.
 
== 진 시황제를 소재로 한 작품 ==
=== 영화 ===
 
* {{국기그림|중국}} [[시황제 암살]]
* 영웅
* 진송
 
=== 만화 ===
 
* [[킹덤]]
 
== 함께 보기 ==
 
{{Col-begin}}
{{Col-2}}
* [[왕전]]
* [[이사]]
* [[몽염]]
* [[여불위]]
* [[번오기]]
{{Col-2}}
* [[조고]]
* [[노애]]
* [[형가]]
* [[진무양]]
* 연 태자 [[단 (사람)|단]]
* [[만리장성]]
{{Col-end}}
 
== 각주 ==
 
{{위키공용분류|Qin Shi Huang}}
<references/>
 
{{전임후임|
|전임자 = 아버지 [[진 장양왕|장양왕]] 자초
|후임자 = (칭제건원)
|대수 = 31
|직책 = 중국 [[진 (영성)|진나라]] [[왕]]
|임기 = [[기원전 247년]] ~ [[기원전 221년]]
}}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18남 [[진 이세황제|이세황제]] 호해
|대수 = 1
|직책 = 중국 [[진나라]] [[중국의 황제|황제]]
|임기 =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10년]]}}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진 이세황제]] 영호해
|직책 = [[중국의 황제|중국 황제]]
|임기 =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10년]]}}
{{진나라의 황제}}
{{기본정렬:시황제, 진}}
{{전거 통제}}
 
[[분류:기원전 259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210년 죽음]]
[[분류:진나라의 황제]]
[[분류:암살 미수 생존자]]
[[분류:창업군주]]
[[분류:사생아]]
[[분류:기원전 3세기 중국 사람]]
[[분류:자유 연애]]
[[분류:진 시황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