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구식 태그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9번째 줄:
|결과 = 청 제국의 승리, [[삼전도의 굴욕]]
|이유 = [[조선]]의 척화배금 외교
|교전국1 = [[파일:Flag of the Qing Dynasty (1889-1912).svg|center|90px]]<center>{{중앙|[[청나라|청 제국]]</center>}}
|교전국2 = [[파일:Flag of the king of Joseon.svg|center|90px]]<center>{{중앙|[[조선|조선 왕국]]<center>}}
|지휘관1 = [[숭덕제]]<br>[[아이신 교로 다이샨]]<br/>[[아이신 교로 지르갈앙]]<br>[[아이신 교로 도르곤]]<br>[[아이신 교로 호오거]]<br>[[아이신 교로 요토]]<br>[[아이신 교로 도도]]<br>[[타타라 잉월다이]]<br>[[슈무루 양구리]]<br>[[마푸타]]<br>[[사르후다]]<br>[[상가희]]<br>[[경중명]]<br>[[공유덕]]
|지휘관2 = [[파일:Coat of Arms of Joseon Korea.png|17px]] [[조선 인조|인조]]<br>[[김자점]]<br>[[임경업]]<br>[[이완]]<br>[[신경원]]<br>[[김준용]]<br>[[유림]]<br>[[홍명구]]{{KIA}}<br>[[허완]]{{KIA}}
|병력1 = 1차 선봉대 300명<br>2차 선봉대 1,000명<br>3차 선봉대 3,000명<br>좌익군 12,761명<br>본군 15,272명<br>후미군 12,840명<br>쿠툴어<ref>이훈,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2018, ''[[강희]]기에 출반된 [[만주어]][[사전]]《어제청문감(細製淸文鐘,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은 쿠툴어(Kutule)를 '따르는 노복(Dahame Yabure Ahasi)'라고이라고 설명한다. 청 초기에 조선인도 이와 유사하게 인식하여 《심양일기》에서 구토리(驅土里)를 '종인(從人)'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런 규정에서 알 수 있듯이 쿠둘어는 원래 노복들이 담당했고, 전쟁이 일어나면 팔기의 기병을 수행하어 참전했다. 쿠툴어는 참전하여 말을 관리했을 뿐만 아니라 물을 긷고 밥을 짓는 등 온갖 잡일을 담당하면서 주인을 모셨다. 전쟁에서 승리하여 약탈할 따도 쿠툴어가 중요했다. 쿠툴어가 많을수록 약탈품도 많이 챙길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쿠툴어는 전세가 불리해지거나 전투 병력이 부족할 때는 곧바로 전투병으로 전환해서 쓸 수 있었다.''</ref> 2천<ref>구범진・이재경, 「丙子 胡亂 당시 清軍의 構成과 規模」, 『韓國文化』 2015</ref>
|병력2 = 속오군(지역군, 예비군) 80,000~90,000<br>정규군 54,000명<br>수군 30,000명
|사상자1 = 정확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