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 방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계통1=[[한국어족]]
|계통2=[[남부 방언|남부 한국어]]
|계통3=[[서남 방언|남부 한국어]]
|지도=
 
14번째 줄:
}}
'''서남 방언'''(西南方言) 또는 '''호남 방언'''(湖南方言), '''전라도 방언'''(全羅道方言), '''전라도 사투리'''(全羅道사투리)는 한반도 서남부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 [[호남 지방]] 일대 지역에서 사용된다. 서남방언은 중부방언, 서북방언과 함께 음장(音長, Length, 음량) 지역으로 묶이는데 이 지역의 음장은 단어의 의미를 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서남방언의 자음체계는 중부방언과 동일하다. 소백산맥을 경계로 동남방언과 구획된다.
 
== 특징 ==
서남 방언은 소위 [[움라우트]]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데, '퇴끼'([[토끼]]), '괴기'(고기), '가랭이'(가랑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ㅓ'가 'ㅡ'로 발음되거나 'ㅔ'가 'ㅣ'로 발음되는 등의 [[고모음화]] 현상이 특징이며 이러한 현상은 장모음에서 빈번하다. '그짓말'(거짓말), '비개'(베개) 등이 그 예이다. 그리고 보통 끝에 ~디 , ~잉 등이 온다.
 
역행동화가 유난히 심한 것도 이들 방언의 특징이다. '잽히다'(잡히다)니 '괴기/게기'(고기) 등의 역행동화의 분포는 전국적으로 상당히 넓으며, '뱁이다, 맴이다'처럼 명사가 뒤에 조사를 만나 역행동화를 일으키는 현상은, 충청도 일부 지방에서도 발견되지만 이 남부방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만하다.
줄 30 ⟶ 31:
=== 전라북도 방언의 하위 구획 ===
==== 언어 분화 기준 ====
 
어휘 분화를 기준으로 동부와 서부로 구획한 기준. <ref>李承宰(1986) “해방 이후의 방언 연구사”, 국어생활 5, 국어연구소</ref>
 
64번째 줄:
 
 
== 움운음운 ==
* 10개 단모음 체계 실현. 다만 중․서부 전남지역에서는 /e/와 /ɛ/가 합류되어 9개 단모 음 체계 형성.
* 이중모음 ‘ㅢ’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어의 첫음절 ‘ㅢ’는 ‘으’로, 둘째 음절 ‘ㅢ’는 ‘이’로 실현됨. 관형격 조사 ‘ㅢ’는 ‘으’ 혹은 ‘에’로 실현됨. <보기> 으사(의사), 토이(토의), 나으(의) 책
105번째 줄:
 
== 어휘 ==
 
시안(겨울), 괴비(호주머니), 깍끔(산), 빡보(곰보), 아래기(소주), 추수새기(수수께끼), 세우(바늘), 사챙이(새끼), 배고마(배꼽), 훈지(그네), 숨기새기(숨바꼭질/숨박곡질), 자갈줄(고삐), 다듬독(다듬잇돌/다듬이돌), 망생이(망아지), 강생이(강아지), 깨고락지(개구리), 포도시(겨우), 무담시/무단씨/맬갑시(괜히), 금새보/폴새(벌써), 댑대로(도리어), 나코(나중에), 역실로/역부로(일부러), 싸게(빨리), 모냐치게(먼저번에), 데고(함부로), 꼼치다(감추다), 땡기다(던지다), 몽니부리다(화내다), 시피보다/시퍼보다(업신여기다), 돌르다(훔치다), 꼼치다(감추다), 방구다(겨누다), 지루다(기르다), 벌씨다(까다), 피맡다(뱉다), 허치다(뿌리다), 아부이/아배/압씨(아버지), 어무이/어매/엄씨(어머니), 아지매(아주머니), 할매/함씨(할머니), 할압시/한압씨(할아버지), 가시보시(부부), 가시나(여자아이), 큰애기(처녀)
줄 141 ⟶ 140:
* 팥죽 : ①퐅죽(전지역 ※부안, 임실, 고창, 순창, 남원) ② 펕죽(진안, 장수)
* 바위→①바우(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함평, 광산, 신안, 무안, 나주, 화순, 영암, 진도, 해남, 강진, 장흥, 보성, 고흥, 완도 ※전북 : 옥구,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순창, 남원) ② 바구(승주, 광양, 여천)※ 바오<전북 익산, 완주, 무주>
 
== 문법 ==
* 목적격 조사(대격토)로 ‘얼, 럴’ 등이 쓰인다.
177번째 줄:
* 전남방언에서 종결어미에 ‘-잉’을 덧붙여 ‘친근한 다짐’이나 ‘당부’를 나타낸다.
- ''가세잉, 그랍디다잉, 가지 말아잉''
 
=== 전라북도 문법 ===
<인칭대명사>
줄 258 ⟶ 259:
* '''-멘''' : 화순
 
== 서남 방언으로 된 창작물 ==
== 전라도 사투리와 관련된 노래 ==
* [[문희옥]]〈천방지축〉, 1987년1987년에 발표발표된 노래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