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영주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7번째 줄:
== 대한민국 국적과 조선적 ==
{{참고|조선적}}
해방 후, 일본 국적을 상실하게 된 특별영주자들은 무국적 상태가 되었다. 당시는 한반도에 정식 정부가 출범하기 전이어서 일본 국적을 상실한 조선 사람은 '조선반도 출신자'라는 뜻밖에는 없는 '조선'([[조선적]])을 출신지역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1965년]]에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면서 일본이 [[대한민국]]과 수교하였고, [[조선적]]으로 교육이나 취업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차별을 받고 살던 특별영주자들은 점차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기 시작하였다.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해도취득하더라도 여전히 차별을 받았지만, 대한민국에대한민국 입국이나 일본 입국하기가밖으로의 편하다는왕래에 이점이 있고 원래 고향이 남한 지역인 사람도사람이 많아서 대한민국 국적으로국적을 바꾸는취득하는 이들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증가하였다.
 
[[1990년]] 말에 특별영주자 가운데 약 20%를 차지하던 [[조선적]]의 수는 계속 줄어들어서,<ref>[http://www.tufs.ac.jp/ts/personal/choes/etc/jaeil/Sgyopo-1.html 재일교포 기초편], 최의성</ref> [[2012년]] 기준으로 전체 특별영주자 가운데 [[대한민국]] 국적자는 33만여 명, [[조선적]]은 4만여 명이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325249 <한일협정 50년-흔들리는 재일동포> ①어제와 오늘] 연합뉴스, 2014.12.29.</ref> 이후에도 [[조선적]] 등재 재일 한국인은 매년 약 2천 명씩 줄어들어 [[2017년]] 말 기준으로 3만여 명이다. [[조선적]] 중 상당수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이하 총련)에 소속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대한민국을 지지하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하 민단)과 총련 그 어느 쪽에도 소속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나 단지 민족의 근원으로서의 조선이라는 용어에 애착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사람도 적지 않다는 점에서 '조선 국적'이 곧 '총련계'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 정부 스스로도 인정하고 있듯이 ‘조선적’은 존재하지 않는 국적이라서 난민으로 취급하며 일본이 일방적으로 부여한 기호에 불과할 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ref>위 내용은 <이문웅,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생활세계: 인류학적 접근, 한국사회과학 제26권 제1, 2호(2004: 163~224)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과 <리정애, 재일동포 리정애의 서울 체류기>를 참고하였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