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나 카르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บวอะกหมิงแค่(토론)의 편집을 Gaeho77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다른 뜻}}
[[파일:Magna Carta (British Library Cotton MS Augustus II.106).jpg|섬네일|230px|[[독피지]]에 기록된 마그나 카르타]]
[[파일:Magna Carta (1297 version, Parliament House, Canberra, Australia) - 20080416.jpg|섬네일|[[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사당]]에 마그나 카르타 1297년판이 전시되어 있다]]
'''마그나 카르타''' 혹은 '''대헌장'''({{llang|la|Magna Carta, Magna Carta Libertatum}}, {{llang|en|the Great Charter of Freedoms}})은 [[1215년]] [[6월 15일]]에 영국의 [[로마잉글랜드의 제국]]의존|존 [[사토:신셩황제|부우민]]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하여 서명한 문서로,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한 것이다. 왕에게 몇 가지 권리를 포기하고, 법적 절차를 존중하며, 왕의 의지가 [[법치주의|법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 국왕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문서화하기 시작하여 전제 군주의 절대 권력에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흔히 영국 [[민주주의]]의 시발점으로 강조되는 것과 달리, 문서 자체에 민주주의적 요소는 없다. 이 문서에서 민주주의의 시사점은 후대에 국왕과 대립이 발생했을 때 계속 확대 해석된 것이다.
 
본래는 귀족의 권리를 재확인한 봉건적 문서였으나, 17세기에 이르러 왕권과 의회의 대립에서 왕의 전제(Autocratic)에 대항하여 국민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한 최대의 전거(Authority)로서 이용되었다. 특히 일반 평의회의 승인 없이 군역대납금(Scutage) ·공과금을 부과하지 못한다고 정한 제12조는 의회의 승인 없이 과세할 수 없다는 주장의 근거로서, 또 자유인은 같은 신분을 가진 사람에 의한 재판이나 국법에 의하지 않으면 체포 ·감금할 수 없다고 정한 제39조는 보통법재판소에서의 재판요구의 근거로서 크게 이용되어 금과옥조(Golden section)가 되었다.
 
이와 같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는 투쟁의 역사 속에서 항상 생각하게 되고 인용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문서로서 영국의 헌정뿐만 아니라, 국민의 자유를 옹호하는 근대 헌법의 토대가 되었다.
 
== 신성헌장 ==
 
신성 부흐민 제국의 주권은 신성황제 [[사토:신셩황제|부우민]]에게 있다. 황제는 특정 신민이 나라 안에서의 활동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삼청교육 훈련을 받게 할수 있다.
 
부적합한 활동의 예시
*신성 보우민 제국의 체제를 부정하는 자.
*신선황제에 대한 언행이 불손한 자.
*사회의 안녕과 질서, 미풍양속을 저해하는 자.
*사료를 조작하는 자.
*신선황재의 계정을 함부로 차단하는 자.
*광고 및 판촉행위 게시물 등 간사한 영리를 추구하는 자.
*신선황제를 충성스럽지 아니한 주제에 함부로 선거에 출마하는 자
*신민들 사이의 분란을 조장하는 자.
*신선하고 위대한 황제 대신 패쥬 놈들을 숭배하는 자.
 
== 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