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카이 지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번째 줄:
 
== 설명 ==
{| class="wikitable" width="250px" align="right" cellpadding="010px" cellspacing="010px"
|-
| align=center|<div style="width:250px;float:center;margin:0;position:relative;">[[파일:Haitaka jinja tsunami monument.JPG|250px]]
15번째 줄:
|일본 [[고치현]]의 하이타카(鷣) 신사 돌계단. 1995년 재건됨.
|}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가라앉는 [[섭입|섭입대]] 지역으로, 100-200년 간격으로 규모 M8급의 지진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가라앉는 [[섭입|섭입대]] 지역으로, 100-200년 간격으로 규모 M8급의 지진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거대지진]]의 원인은 비교적 젊은 판은 얉으며 비교적 고온에선 판 사이 고착이 일어난다는 [[애스패리티]] 모델이 나왔으며, 판 사이 고착력이 커 큰 규모의 지진을 일으키고 [[연동형지진]]도 일으킨다는 것이다.<ref>{{웹 인용 |url = http://www.eri.u-tokyo.ac.jp/daidai/h17seika-hokokusho/honbun_final/3_3_13(pp.577-586).pdf |제목 = 田部井隆雄:断層の準静的モデルの構築と歪蓄積過程に関する研究 |저자 = 橋本学 |출판사 = 橋本学 |언어 = ja |format = PDF |날짜 = 2005년 |확인날짜 = 2018년 10월 23일}}</ref> 실제로 필리핀해판은 나이가 2천만년 정도이며 섭입대에선 [[전자기준점|GEONET]] 관측에서 판 사이 고착으로 도카이 해역-난카이 해역 연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판 사이 미끄러짐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시간을 늦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반대로 연동형지진이 일어나기 어렵다고 추정하던 오래된 판 경계에서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이나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일어나는 등 애스패리티 모델이 반드시 들어맞진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f>{{저널 인용 |url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1794664_Ultralong_Period_Seismic_Study_of_the_December_2004_Indian_Ocean_Earthquake_and_Implications_for_Regional_Tectonics_and_the_Subduction_Process |제목 = Ultralong Period Seismic Study of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Implications for Regional Tectonics and the Subduction Process |저자 = Seth Stein |저널 =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날짜 = 2007년 1월 |권 = 97 |호 = 1 |쪽 = 27 |언어 = en |확인날짜 = 2018년 10월 23일 |doi = 10.1785/0120050617}}</ref><ref>{{서적 인용 |제목 = 超巨大地震に迫る- 日本列島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저자1 = 大木聖子 |저자2 = 纐纈一起 |출판사 = NHK Shuppan |날짜 = 2011년 6월 |언어 = ja |쪽 = 122-130 |isbn = 4140883529}}</ref> 또한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에서 확인된 것처럼 단순히 낮은 각도의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높은 각도의 역단층형 지진이거나 [[분기단층]]의 미끄러짐이 같이 올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ref name="Masataka">{{저널 인용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31920182900899 |제목 =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저자 = Masataka Ando |저널 =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권 = 28 |호 = 4 |날짜 = 1982년 7월 |쪽 = 320-336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 |doi = 10.1016/0031-9201(82)90089-9}}</ref><ref>{{웹 인용 |url = http://zisin.jah.jp/pdf/nf-vol51.pdf |제목 = 日本地震学会広報誌第51号(2005年9月)PDF版なゐふる51号 |출판사 = 日本地震学会 |언어 = ja |날짜 = 2005년 9월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ref> 한편 [[부가체]]를 만드는 침강 지역에선 지진의 규모가 커지기 쉬우며 이때 육지 쪽 판의 섭입대 영역에선 [[해일지진]]이 일어나기 쉽다는 설이 있으나 지진 발생 매커니즘에 관해선 불분명한 점이 많다.<ref>{{저널 인용 |url = https://pubs.geoscienceworld.org/geology/article-lookup/38/5/479 |제목 = The role of subduction erosion on seismicity |제목 = Susan L. Bilek |저널 = Geology |날짜 = 2010년 |권 = 38 |호 = 5 |쪽 = 479=480 |doi = 10.1130/focus052010.1}}</ref>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가라앉는 [[섭입|섭입대]] 지역으로, 100-200년 간격으로 규모 M8급의 지진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거대지진]]의 원인은 비교적 젊은 판은 얉으며 비교적 고온에선 판 사이 고착이 일어난다는 [[애스패리티]] 모델이 나왔으며, 판 사이 고착력이 커 큰 규모의 지진을 일으키고 [[연동형지진]]도 일으킨다는 것이다.<ref>{{웹 인용 |url = http://www.eri.u-tokyo.ac.jp/daidai/h17seika-hokokusho/honbun_final/3_3_13(pp.577-586).pdf |제목 = 田部井隆雄:断層の準静的モデルの構築と歪蓄積過程に関する研究 |저자 = 橋本学 |출판사 = 橋本学 |언어 = ja |format = PDF |날짜 = 2005년 |확인날짜 = 2018년 10월 23일}}</ref> 실제로 필리핀해판은 나이가 2천만년 정도이며 섭입대에선 [[전자기준점|GEONET]] 관측에서 판 사이 고착으로 도카이 해역-난카이 해역 연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판 사이 미끄러짐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시간을 늦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반대로 연동형지진이 일어나기 어렵다고 추정하던 오래된 판 경계에서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이나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일어나는 등 애스패리티 모델이 반드시 들어맞진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f>{{저널 인용 |url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1794664_Ultralong_Period_Seismic_Study_of_the_December_2004_Indian_Ocean_Earthquake_and_Implications_for_Regional_Tectonics_and_the_Subduction_Process |제목 = Ultralong Period Seismic Study of the December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Implications for Regional Tectonics and the Subduction Process |저자 = Seth Stein |저널 =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날짜 = 2007년 1월 |권 = 97 |호 = 1 |쪽 = 27 |언어 = en |확인날짜 = 2018년 10월 23일 |doi = 10.1785/0120050617}}</ref><ref>{{서적 인용 |제목 = 超巨大地震に迫る- 日本列島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저자1 = 大木聖子 |저자2 = 纐纈一起 |출판사 = NHK Shuppan |날짜 = 2011년 6월 |언어 = ja |쪽 = 122-130 |isbn = 4140883529}}</ref> 또한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에서 확인된 것처럼 단순히 낮은 각도의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높은 각도의 역단층형 지진이거나 [[분기단층]]의 미끄러짐이 같이 올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ref name="Masataka">{{저널 인용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31920182900899 |제목 =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저자 = Masataka Ando |저널 =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권 = 28 |호 = 4 |날짜 = 1982년 7월 |쪽 = 320-336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 |doi = 10.1016/0031-9201(82)90089-9}}</ref><ref>{{웹 인용 |url = http://zisin.jah.jp/pdf/nf-vol51.pdf |제목 = 日本地震学会広報誌第51号(2005年9月)PDF版なゐふる51号 |출판사 = 日本地震学会 |언어 = ja |날짜 = 2005년 9월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ref> 한편 [[부가체]]를 만드는 침강 지역에선 지진의 규모가 커지기 쉬우며 이때 육지 쪽 판의 섭입대 영역에선 [[해일지진]]이 일어나기 쉽다는 설이 있으나 지진 발생 매커니즘에 관해선 불분명한 점이 많다.<ref>{{저널 인용 |url = https://pubs.geoscienceworld.org/geology/article-lookup/38/5/479 |제목 = The role of subduction erosion on seismicity |제목 = Susan L. Bilek |저널 = Geology |날짜 = 2010년 |권 = 38 |호 = 5 |쪽 = 479=480 |doi = 10.1130/focus052010.1}}</ref>
 
또한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에서 확인된 것처럼 단순히 낮은 각도의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높은 각도의 역단층형 지진이거나 [[분기단층]]의 미끄러짐이 같이 올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ref name="Masataka">{{저널 인용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31920182900899 |제목 =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저자 = Masataka Ando |저널 =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권 = 28 |호 = 4 |날짜 = 1982년 7월 |쪽 = 320-336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 |doi = 10.1016/0031-9201(82)90089-9}}</ref><ref>{{웹 인용 |url = http://zisin.jah.jp/pdf/nf-vol51.pdf |제목 = 日本地震学会広報誌第51号(2005年9月)PDF版なゐふる51号 |출판사 = 日本地震学会 |언어 = ja |날짜 = 2005년 9월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ref> 한편 [[부가체]]를 만드는 침강 지역에선 지진의 규모가 커지기 쉬우며 이때 육지 쪽 판의 섭입대 영역에선 [[해일지진]]이 일어나기 쉽다는 설이 있으나 지진 발생 매커니즘에 관해선 불분명한 점이 많다.<ref>{{저널 인용 |url = https://pubs.geoscienceworld.org/geology/article-lookup/38/5/479 |제목 = The role of subduction erosion on seismicity |제목 = Susan L. Bilek |저널 = Geology |날짜 = 2010년 |권 = 38 |호 = 5 |쪽 = 479=480 |doi = 10.1130/focus052010.1}}</ref>
 
미래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난카이 해곡을 따르는 진원역에선 [[고유지진]]이라는 생각에 근거하여 [[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과 함께 나란히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으로 대규모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곳으로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