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양동마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42번째 줄:
}}
 
'''경주 양동마을'''(慶州 良洞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경주시)|강동면]] 양동리 북쪽 설창산에 둘러싸여 있는 유서 깊은 양반 집성촌으로 1984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7월 31일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제 34차 회의에서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ref>{{웹 인용|url=http://whc.unesco.org/en/news/642|제목=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seven cultural sites on World Heritage List|출판사=[[유네스코]]|언어=영어}}</ref> 201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협약 선포 40주년 기념 세계 최고의 모범 유산(The Best Model Case)로 선정되었다. >{{웹 인용|url=http://english.donga.com/List/3/all/26/407290/1?m=kor}</ref>
 
[[한국]]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고 규모가 크며,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조선]]시대 양반 씨족마을로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재상이자 성리학자요 [[영남학파]]의 선구자가 되신 회재 [[이언적]] 선생을 배출한 6대 국반(國班) [[여주이씨]]([[광산 김씨]], [[반남 박씨]], [[은진 송씨]], [[덕수 이씨]], [[진보 이씨]]가 6대 국반), 이조판서와 우참찬을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된 우재 손중돈 선생을 배출한 명문 도반(道班) [[경주손씨]] 양성이 서로 협동하고 경쟁하며 600여년의 역사를 이어왔다. [[영남]] [[남인]]의 구심점 역할을 하면서 문과 31명 포함 과거 급제자가 총 116명에 달했으며, 이밖에도 수많은 학자와 충절대의 명장,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면서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한국]]에서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전통마을인 [[양동마을]]은 [[한국]] 최대 규모와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동성(同姓)취락으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국반(國班) 가문인 [[여강 이씨]]와 월성 손씨 양성의 양반가문이 서로 경쟁 및 협동하며 600여년의 역사를 일궈온 마을이다. [[이황]]의 스승이자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대(大)유학자 [[이언적]]을 비롯하여 지금까지도 주로 학자들을 많이 배출하고 있는 마을로 이 마을에서만 조선시대 과거급제자가 116명에 달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가옥의기와집의 수는 전국 최다로 이를 포함하여 국보 1점, 보물 4점, 중요민속자료국가민속문화재 12점, 경상북도지정문화재 7점8점 등 도합 24점의25점의 국가지정문화재를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1992년 영국의 찰스 황태자가 방문한 곳이기도 하다.
 
[[한국]]에는 7개소의 국가 지정 전통마을이 있으나 마을의 역사와 규모 및 보존상태, 문화재의 수와 전통성 및 가치, 그리고 뛰어난 건축과 조경양식,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때묻지 않은 향토성 등의 면에서 [[한국]]에서 가장 우수한 가치를 지닌 마을로 평가받고 있다.
52번째 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의 가치 ==
 
양동마을은 한국인의한국인 지배계급의 전통적인 삶의 공간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받았다.
 
첫째, 양동마을은 한국의 씨족마을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조선 전기 씨족마을 형성기의 전형 중 하나인 처가입향 유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64번째 줄:
다섯째, 양동마을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학술적, 문화적 성과물인 고문헌과 예술작품을 보관하고, 전통적인 가정의례와 특징적인 무형의 마을 행사를 오늘날까지 유지하고 있는 가장 훌륭한 사례이다. <ref>{{웹 인용|url=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world_heritage/culture_treasure_10.jsp&mn=NS_04_04_02|}}</ref>
 
== 지리 및 규모와 환경 ==
[[경주시]] 시내에서 동북방으로 20km쯤 떨어져 있다.
마을은 경주시에서 동북방으로 20km쯤 떨어져 있다. 양동마을은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통마을이다. 이 마을은 씨족마을의 대표적 사례인데, 씨족마을은 성씨를 매개로 하는 부계의 혈연집단이 대를 이어 한 곳에 정착해 이뤄진 정주 형태다. 조선 전기 이후 재산과 제사의 장자 상속이 강화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하나 혹은 두 성씨의 양반이 마을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면서 의사결정의 주도권을 가지는데 벼농사를 경제적 기반으로 삼는다. 양동마을은 조선 전기 씨족마을 형성기의 한 가지 전형, 즉 혼인으로 처가에 들어와 살면서 자리를 잡는 처가입향의 경우다.
 
 
마을은 경주시에서 동북방으로 20km쯤 떨어져 있다. 양동마을은 한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통마을이다. 이 마을은 씨족마을의 대표적 사례인데, 씨족마을은 성씨를 매개로 하는 부계의 혈연집단이 대를 이어 한 곳에 정착해 이뤄진 정주 형태다. 조선 전기 이후 재산과 제사의 장자 상속이 강화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하나 혹은 두 성씨의 양반이 마을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면서 의사결정의 주도권을 가지는데 벼농사를 경제적 기반으로 삼는다. 양동마을은 조선 전기 씨족마을 형성기의 한 가지 전형, 즉 혼인으로 처가에 들어와 살면서 자리를 잡는 처가입향의 경우다.
 
양동마을은 풍수의 길지에 입지했다. 마을의 뒷배경이자 주산인 설창산의 문장봉에서 산등성이가 뻗어 내려 네줄기로 갈라진 능선과 골짜기가 여럿 나란히 있는 ‘勿(물)’자 형의 형국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 마을은 조선시대 유명한 지리지인 [[택리지]]에서 길지로 언급됐으며 [[조선의 풍수]]에서‘삼남의 사대길지’에 포함됐다. 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많은데 일예로 勿자의 아랫부분에 획 하나를 더하면 血자가 된다하여 일제가 계획한 마을 안으로의 철도통과를 우회시켰고, 남향의 양동초등학교 건물을 동향으로 돌려 앉혔다.